목차
▶셀애니메이션(cel animation)
1>풀 애니메이션(full animation)
2>리미티드 애니메이션(limited animation)
▶특수 효과
리토스코핑(Rotoscoping)
▶소감
1>풀 애니메이션(full animation)
2>리미티드 애니메이션(limited animation)
▶특수 효과
리토스코핑(Rotoscoping)
▶소감
본문내용
9.5필드의 규격인데도, 극장용과 TV 시리즈 모두 9.5필드로 제작, 극장용의 경우 인건비와 셀의 단가, 물감의 사용량 등을 극도로 제한하는 전략
로봇메커닉물은 '철인 28호'와 '마징가Z'로 시작되는데, 이후 선라이즈사의 '건담' 시리즈가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일체형 로봇 시대가 소멸하고 분해와 결합을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전이되는 로봇의 패러다임이 주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부터 매회 시리즈마다 로봇이 직접 분해되고, 결합되는 장면이 반복적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는 결국 정해진 시간대의 셀 수를 최소로 관리할 수 있는 시나리오의 구성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주 캐릭터를 시리즈가 장기화되면서 계속 증가시켜 '세일러문'의 경우, 세일러문 1명에서 5명으로, 최근에는 13명에 이르는 여전사 군단이 형성되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게 될 때 13명의 변신을 모두 지켜봐야 한다는 극도의 상황을 연출하여, 변신이 다 되는 시간만으로도 거의 수백 프레임을 절약한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주관객층이 어린이와 청소년들인 이 장르는 대부분 '분해'와 '결합', '변신' 상황이 수용자측과 동일시되는 주인공 캐릭터의 이데올로기 강화변수가 되며, 항상 승리의 담론을 형성시키는 사전 메타포로 작동되기 때문에 어느 수용자라도 매번 반복되는 장면에 항의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또한, 되려 반가운 감정체계가 무의식적으로 가동되어,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이 캐릭터 상품을 구매하는 효과로도 직결된다는 것이다.
최근 저패니메이션에서 두드러지는 리미티드 전략은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TV 시리즈물의 규격셀을 사용하여 제작 단가를 감소시키는 전략이다. 실제 이러한 전략은 일본 특유의 자국시장 환경이 형성시킨 방식이다. 이는 일본 국내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와 프로덕션이 경쟁구조에서 극심한 환경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자국 내에서 스스로 생존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특화시키면서 만들어지는 제작방식이 구체화된 것이다.
TV용 셀인 9.5필드 셀로 극장용을 제작하다 보면 재촬영률이 올라가는데, 이러한 1차 혹은 2차 재촬영시 발생하는 셀만 다시 12필드로 그려 내는 방식을 적용, 작품의 질적 통제와 제작비 관리를 동시에 구현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방식이다.
결론적으로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은 TV 시리즈물에는 적당하지만, 실제 극장용 장편에서는 사용하기에 어려우며, 작품의 질적 경쟁에 있어서는 위험성이 높은 제작방식이다. 그래서 저패니메이션도 앞 부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은 풀 애니메 이션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특수 효과
-로토스코핑(Rotoscoping)
로토스코핑은 Betty Boop과 뽀빠이에게 생명을 불어넣기 위해서 1915년 경 Max Fleischer이 개발
로토스코핑은 크게 2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하나는 실제 영화의 한 장면에 애니메이션을 삽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진속에 있는 특정 인물이나 사물을 투명종이 위에 그려 넣는 작업을 말한다. 대개 로토스코핑은 전자보다는 후자를 일컫는다.
원본의 이미지에 다른 이미지를 추가하는 로토스코핑을 설명하는 그림
영화 "누가 로저래빗을 모함했나?"에서 사용된 로토스코핑
리처드 링클레이터... 웨이킹 라이프 (Waking Life, 2001)
한국 장편 상업 영화로는 최초로 디지털 로토스코핑 기법을 이용하는 애니메이션 <라이프 이즈 쿨>
로토스코핑(Rotoscoping)은 실제 사람을 촬영한 필름을 참고하여 움직임을 한 프레임씩 본떠서 그리는 애니메이션 기법이다. 원리는 동작이 촬영된 필름을 거울을 사용해 라이트 테이블에 반사시키면 라이트 테이블에 투영된 이미지를 트레이싱 페이퍼를 이용해 한 장 한 장 본 떠 그리는 것이다. 필름을 활용한 로토스코핑 기법은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었다. 옛날엔 이런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로토스코핑 작업을 했다. 하지만 작업이 디지털화되면서 ‘디지털 로토스코핑’ 이라고 부를 만한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컴퓨터를 활용하면서 로토스코핑 기법을 활용한 애니메이션의 제작이 한결 쉬워진 것이다. 로토스코핑 기법은 실제 움직임을 촬영한 것을 본떠서 동작을 만들기 때문에 움직임이 아주 부드럽다. 또한 이 기법은 실사 움직임에 나름의 조형적 스타일을 덧붙여 새로운 시각스타일을 만들려는 젊은 예술가들에게 좋은 도전의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로토스코핑 기법은 움직임에 대해 공부하려는 애니메이터들에게 좋은 참고가 될 있다. 우리가 어떤 움직임에 대해 이해하고자 했을 때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움직임이 촬영된 동영상을 한 프레임 한 프레임 베껴 그려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소감
예전부터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많아서 고등학교도 애니메이션 전공을 하였다.
그런데 이번 수업을 통해서 내가 고등학교 때 정말 열심히 수업을 안 들었구나 하는 생각이 절실히 느껴졌다. 1초에 24프레임이라는 것을 16프레임과 혼동되기도 했었고 오늘 조사한 로토스코핑과 리미티드는 처음 들어본 이야기 같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리미티드 애니메이션은 흔히 저패니메이션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들은 적은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일본 애니메이션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동작 보다는 차갑고 자극적 이여서 그 이미지가 강해 잊혀 지지 않는 것이 장점인 것 같다. 로토스코핑이라는 것은 정말 어떤 효과였는지는 정말 몰랐다. 와니와 준하 영화를 보았을 때도 저것이 어떤 애니메이션의 기법의 효과인지를 알지 못하였고, 관심도 없었는데 이번 로토스코핑 알게 되어서 어떤 방식으로 영화를 만들었을 지를 조금이나마 알 수 있을 것 같다. 로토스코핑은 정말 많은 매력이 있는 것같다. 실사 위에 그대로 본을 따서 실제 인물을 그래픽 적이면서도 수채화적인 느낌이 나는 효과가 실제 인물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 들면서 정말 애니메이션의 재미를 한 것 더 느낄 수 있는 것 같다.
목 차
▶셀애니메이션(cel animation)
1>풀 애니메이션(full animation)
2>리미티드 애니메이션(limited animation)
▶특수 효과
리토스코핑(Rotoscoping)
▶소감
로봇메커닉물은 '철인 28호'와 '마징가Z'로 시작되는데, 이후 선라이즈사의 '건담' 시리즈가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일체형 로봇 시대가 소멸하고 분해와 결합을 통해 다양한 모습으로 전이되는 로봇의 패러다임이 주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부터 매회 시리즈마다 로봇이 직접 분해되고, 결합되는 장면이 반복적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는 결국 정해진 시간대의 셀 수를 최소로 관리할 수 있는 시나리오의 구성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주 캐릭터를 시리즈가 장기화되면서 계속 증가시켜 '세일러문'의 경우, 세일러문 1명에서 5명으로, 최근에는 13명에 이르는 여전사 군단이 형성되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게 될 때 13명의 변신을 모두 지켜봐야 한다는 극도의 상황을 연출하여, 변신이 다 되는 시간만으로도 거의 수백 프레임을 절약한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주관객층이 어린이와 청소년들인 이 장르는 대부분 '분해'와 '결합', '변신' 상황이 수용자측과 동일시되는 주인공 캐릭터의 이데올로기 강화변수가 되며, 항상 승리의 담론을 형성시키는 사전 메타포로 작동되기 때문에 어느 수용자라도 매번 반복되는 장면에 항의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또한, 되려 반가운 감정체계가 무의식적으로 가동되어,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이 캐릭터 상품을 구매하는 효과로도 직결된다는 것이다.
최근 저패니메이션에서 두드러지는 리미티드 전략은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TV 시리즈물의 규격셀을 사용하여 제작 단가를 감소시키는 전략이다. 실제 이러한 전략은 일본 특유의 자국시장 환경이 형성시킨 방식이다. 이는 일본 국내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와 프로덕션이 경쟁구조에서 극심한 환경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자국 내에서 스스로 생존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특화시키면서 만들어지는 제작방식이 구체화된 것이다.
TV용 셀인 9.5필드 셀로 극장용을 제작하다 보면 재촬영률이 올라가는데, 이러한 1차 혹은 2차 재촬영시 발생하는 셀만 다시 12필드로 그려 내는 방식을 적용, 작품의 질적 통제와 제작비 관리를 동시에 구현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방식이다.
결론적으로 리미티드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은 TV 시리즈물에는 적당하지만, 실제 극장용 장편에서는 사용하기에 어려우며, 작품의 질적 경쟁에 있어서는 위험성이 높은 제작방식이다. 그래서 저패니메이션도 앞 부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은 풀 애니메 이션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특수 효과
-로토스코핑(Rotoscoping)
로토스코핑은 Betty Boop과 뽀빠이에게 생명을 불어넣기 위해서 1915년 경 Max Fleischer이 개발
로토스코핑은 크게 2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하나는 실제 영화의 한 장면에 애니메이션을 삽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진속에 있는 특정 인물이나 사물을 투명종이 위에 그려 넣는 작업을 말한다. 대개 로토스코핑은 전자보다는 후자를 일컫는다.
원본의 이미지에 다른 이미지를 추가하는 로토스코핑을 설명하는 그림
영화 "누가 로저래빗을 모함했나?"에서 사용된 로토스코핑
리처드 링클레이터... 웨이킹 라이프 (Waking Life, 2001)
한국 장편 상업 영화로는 최초로 디지털 로토스코핑 기법을 이용하는 애니메이션 <라이프 이즈 쿨>
로토스코핑(Rotoscoping)은 실제 사람을 촬영한 필름을 참고하여 움직임을 한 프레임씩 본떠서 그리는 애니메이션 기법이다. 원리는 동작이 촬영된 필름을 거울을 사용해 라이트 테이블에 반사시키면 라이트 테이블에 투영된 이미지를 트레이싱 페이퍼를 이용해 한 장 한 장 본 떠 그리는 것이다. 필름을 활용한 로토스코핑 기법은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었다. 옛날엔 이런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로토스코핑 작업을 했다. 하지만 작업이 디지털화되면서 ‘디지털 로토스코핑’ 이라고 부를 만한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컴퓨터를 활용하면서 로토스코핑 기법을 활용한 애니메이션의 제작이 한결 쉬워진 것이다. 로토스코핑 기법은 실제 움직임을 촬영한 것을 본떠서 동작을 만들기 때문에 움직임이 아주 부드럽다. 또한 이 기법은 실사 움직임에 나름의 조형적 스타일을 덧붙여 새로운 시각스타일을 만들려는 젊은 예술가들에게 좋은 도전의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로토스코핑 기법은 움직임에 대해 공부하려는 애니메이터들에게 좋은 참고가 될 있다. 우리가 어떤 움직임에 대해 이해하고자 했을 때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움직임이 촬영된 동영상을 한 프레임 한 프레임 베껴 그려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소감
예전부터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많아서 고등학교도 애니메이션 전공을 하였다.
그런데 이번 수업을 통해서 내가 고등학교 때 정말 열심히 수업을 안 들었구나 하는 생각이 절실히 느껴졌다. 1초에 24프레임이라는 것을 16프레임과 혼동되기도 했었고 오늘 조사한 로토스코핑과 리미티드는 처음 들어본 이야기 같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리미티드 애니메이션은 흔히 저패니메이션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들은 적은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일본 애니메이션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동작 보다는 차갑고 자극적 이여서 그 이미지가 강해 잊혀 지지 않는 것이 장점인 것 같다. 로토스코핑이라는 것은 정말 어떤 효과였는지는 정말 몰랐다. 와니와 준하 영화를 보았을 때도 저것이 어떤 애니메이션의 기법의 효과인지를 알지 못하였고, 관심도 없었는데 이번 로토스코핑 알게 되어서 어떤 방식으로 영화를 만들었을 지를 조금이나마 알 수 있을 것 같다. 로토스코핑은 정말 많은 매력이 있는 것같다. 실사 위에 그대로 본을 따서 실제 인물을 그래픽 적이면서도 수채화적인 느낌이 나는 효과가 실제 인물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 들면서 정말 애니메이션의 재미를 한 것 더 느낄 수 있는 것 같다.
목 차
▶셀애니메이션(cel animation)
1>풀 애니메이션(full animation)
2>리미티드 애니메이션(limited animation)
▶특수 효과
리토스코핑(Rotoscoping)
▶소감
키워드
추천자료
[애니메이션] 일본 문화 - 일본의 힘 애니메이션 ( 만화 )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을 통한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방향 연구보고
애니메이션 속에서 보여지는 공간의 의미와 공간 디자인
애니메이션을 통한 일본어 교육 - 치비마루코짱
[애니매이션] 미국애니메이션의 역사 - 미국애니메이션, 요약
[수출][수출보험제도][농산물 수출][방송컨텐츠 수출][애니메이션 수출][외국 수출 활성화 정...
[남북영화합작][한일영화합작][한중영화합작][한미영화합작][한중애니메이션합작][남북합작][...
[A+자료]2D애니메이션 와 3D애니메이션 비교 분석
[카지노][스키리조트][영화][게임][애니메이션]엔터테인먼트산업 카지노산업, 엔터테인먼트산...
[방송국, 방송사, 보도연성화, 애니메이션쿼터]방송국(방송사)의 보도연성화, 방송국(방송사)...
[동아시아, 농업, 바이오산업, 만화(애니메이션)산업, 영상산업, IT산업]동아시아의 농업, 동...
[일본문화][일본][문화][영화][만화][애니메이션][가옥][다도][성인식][요괴]일본문화와 영화...
[동화][동화 애니메이션화][동화와 동화작가][동화와 천도교소년운동]동화의 환상성, 동화의 ...
[멀티미디어개론] 1.각자 사용하고 있는 PC에는 어떠한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