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과정과 정보활동 및 의사결정과 정보지원체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정책과정과 정보활동
■ 정책과정의 개관
■ 정책과정과 정보활동
■ 현 우리나라 정책과정 사례로 유추해 본 정보지 원체제의 필요성(조원의견)

Ⅱ. 의사결정과 정보지원체제
■ 의사결정과정과 정보지원체제의 역할
■ 컴퓨터에 의한 의사결정 지원체제
■ 전문가 시스템

본문내용

적합한 이용자 지향적 단말장치: 다시 말하면, 입출력 및 표시장치가 하나의 세트로 되어 있는 단말장치)의 설계를 보다 능률적으로 개선하는 등의 문제를 의미한다.
(2) 전문가 시스템의 활용사례
전문가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는 분야로는 농업, 제조업, 물리, 화학, 수학, 의학, 공학, 기상학, 지질학, 벌률 등으로 광범위하다.
1) 화학 분야에서의 전문가 시스템
① 1965년 발족한 스탠포드 대학의 DENDRAL 프로젝트의 최초 성과인 heuristic DENDRAL 시스템은 주어진 분자식을 만족하는 가능한 모든 구조식을 열거하는 프로그램이다.
heuristic DENDRAL은 알고리즘과 미지 화합물의 질량 스펙트럼 을 해석하는 일련의 규칙(heuristic)을 조합한 전문가 시스템으로서, 간단한 화합물들의 구조를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시스템의 가치는 화학의 문제를 인공지능의 연구 대상으로 인식시킨 데 있다.
② MIT의 MACSYMA 시스템
수학의 대수식을 변환하고 제한된 범위내에서 계산, 기호 통합, 등식 해결 등을 하기위한 시스템이다.
2) 컴퓨터 시스템 분야
최초로 성공한 전문가 시스템은 XCON으로서, 카네기멜론 대학과 Digital Equipment사가 1970년대 공동으로 연구개발한 것이며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조언하는 상업용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
XCON은 VAX 컴퓨터의 이상적인 시스템 구성을 도와주었다.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적인 윤곽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관계 및 위치에 관한 도표까지 제시하며 각 부품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까지 결정할 수 있게 했다. 또한 XCON은 숙련된 전문가나 가능한 작업을 전문가 보다 훨씬 빨리 일을 처리 할 수 있게 해 주었으며 OPS5에 의해 구현되었다.
3) 전자공학에서 전문가 시스템
고장 진단과 IC 디자인에 집중한 시스템이다. 1980년대 초, 벨 연구소가 개발한 ACE는 고장 진단 시스템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ACE는 전화 선로의 유지, 보수 활동에 관한 자료들을 검토한 후, 전화 선로가 불량하다고 생각되는 지점을 찾아주고 고장 내용의 특성을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OPS4와 Franz LISP로 구현되었다.
4) 기계공학 분야의 전문가 시스템
1980년대 중반 General Electric이 개발한 DELTA가 대표적이며, 디젤 기관차의 고장을 발견하기 위해 고안하였다. 현재 공학 분야의 전문가 시스템 연구는 복잡한 공정 제어 시스템의 고장 진단이나 결함을 진단 및 처리하는데 집중한다.
5) 지질학에서의 전문가 시스템의 연구
1970년대 중반에 스탠포드 연구소에서 개발된 PROSPECTOR가 시초가 되었다.
이 시스템은 지질학자가 광석 매장지를 찾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1980년대에 수 백만 달러의 몰리브덴 광맥의 위치를 정확히 탐사하는데 성공한 사례도 있다.
6) 의학에서 전문가 시스템의 연구
스탠포드 대학에서 1970년대 중반에 개발된 MYCIN으로부터 시작되었다. MYCIN은 가장 널리 알려진 전문가 시스템 중의 하나로 혈액 감염증의 진단과 항생 물질을 이용한 치료를 조언하는 시스템으로 의학 교육과 연구를 위해 사용된다.
현재 의학 분야에서 전문가 시스템의 연구는 의학 실험, 자료 분석, 질병 진단 및 치료 등의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7)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사의 신용거래 승인에 관한 의사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가 시스템(Authorizer's Assistant)
거래승인자가 컴퓨터에 내용을 입력한 후 카드 소지자의 정보를 찾기 위해 12개정도의 데이터베이스를 독립적으로 검토 후 승인결정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즉, 카드 소지자에 대한 신상을 파악한 후 컴퓨터가 그것을 기반으로 승인여부를 내린다고 볼 수 있다.
8) 대우조선의 일정관리 전문가시스템개발 조선의 일정계획 수정 및 통제 - 이정승, 이재규, 최형림 - 한국전문가시스템학회지 제2권 1호
조선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인력과 시설의 효율 극대화와 선박의 적기인도가 관건이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일정계획의 수립과 통제가 필수불가결한 과제이다.
조선공업의 생산계획수립 및 관리의 최적화는 많은 하부 생산계획시스템 내에서의 최적화뿐만 아니라 전체적 최적화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생산계획수립 및 관리의 전체적 최적화는 상황에 따른 다양하고 신속한 생산전략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생산일정계획의 재수립 혹은 수정을 의미한다.
장기적으로는 생산전략의 변화를 고려한 생산일정수립 및 수정은 생산조직의 변화, 생산시설의 변화 외에도 마케팅전략의 변화까지도 요구하게 되며, 단기적으로는 생산일정의 변화, 시설 할당계획의 변화, 공기 및 공수의 조정 등으로 반영될 수 있다. 조선 공업의 생산계획 수립 및 관리시스템은 이러한 생산전략의 변화와 목표의 변화를 전체 최적화의 관점에서 각 단계별 하부단위 생산계획에 흡수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우조선에서는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한 일정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일정관리시스템 대우조선의 일정계획 수립체계는 다음과 같다.
선박의 수주, 주문취소 등이 발생할 때마다 선박수주 현황을 고려하여 선박조립을 위한 전체적인 선표계획을 수립한다(대일정계획).
이러한 선표계획이 수립되면 도크(dock)와 각 블록조립 공장시설의 총괄적 활용도를 균등화하는 탑재일정계획을 수립하고, 각 블럭을 조립할 공장을 결정한다. 블럭조립 공장은 크게 이동정반 조립공장과 고정정반 조립공장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 블록조립 공장에서는 6개월 단위로 공장내의 정반면적, 조립인력 등을 고려하여 블록의 일변 조립계획을 세운다(중일정계획).
선박을 건조하기 1개월 전에 중일정계획을 바탕으로 탑재일정계획과 각 블록조립 공장의 일정계획을 세밀화한다(소일정계획).
소일정계획을 기본으로 해서 구체적인 작업위치, 작업인원을 고려한 주간계획을 수립하고(작업일정계획), 이를 현장에 전달한다.
이 시스템으로 인하여 선박건조에 있어서의 공기단축, 조업도의 증대, 공수의 절감, 납기의 만족, 생산성의 향상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0.02.08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1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