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맥그리거의 X,Y 이론
2) 아지리스의 미성숙- 성숙이론
Ⅲ.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또는 집단)의 구성원 성숙도 사정
Ⅳ. 결론
< 참고 문헌 >
Ⅱ. 본 론
1) 맥그리거의 X,Y 이론
2) 아지리스의 미성숙- 성숙이론
Ⅲ.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또는 집단)의 구성원 성숙도 사정
Ⅳ.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매 출근시간마다 시간을 준수하지 않고 늦는 사람
-리더나 팀원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 사람
-계획에 없던 상황에 항상 불만을 표출하는 사람
-문제발생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고 남의 탓으로 돌리는 사람
-팀원의 업무회의 시 소극적이고 방관자적인 사람
-변화된 업무에 대해 관심이 없으며 학습하지 않고 현실 안주적인 사람
-charge nurse지만 직접 업무를 실행하고 적극적인 사람
-매 출근시간마다 시간을 준수할 뿐 아니라 일찍 와서 업무를 준비하는 사람
-계획에 없던 특정상황에 잘 순응하는 사람
-문제발생에 대해서 자신이 책임지고 반성하는 사람
-팀원의 업무회의에 참여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석하는 사람
-변화된 업무를 빠르게 인식하고 항상 학습하는 사람
(3)아지리스 이론에 적용
◆구성원 분석
<미성숙 이론>
-업무와 팀원활동에 수동적이고 소극적이고 의존적 사람
-생각 없이 주어진 업무만 하는 사람
-관심과 직업의식 없이 환자를 대하는 사람
-단기적 직장으로 현실 안주적인 사람
-acting업무에 만족하고 charge업무에 관심이 없으며 두려워하는 사람
-자아인식이 결여된 사람
<성숙 이론>
-모든 업무에 적극적이고 참여적인 사람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독립적인 사람
-환자를 아픈사람이 아니라 한 인간으로 대하고 존중하는 사람
-과거를 반성할 줄 알고 미래를 위해 항상 노력하는 사람
-자기 업무를 확실히 하고 고차원의 업무에도 관심과 열정을 가지는 사람
-자아인식과 자아통제가 가능한 사람
(4)적용
-업무나 팀 구성원내의 불만요소를 경청하고 사정할 필요가 있다.
-동기가 유발될 수 있도록 업무에 대한 사항과 지침을 정확히 전달하고 긍정적, 부정적 강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개인적인 차원의 기본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도움을 주어야 한다.
-지속적으로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사람에게는 상담이나 지적을 하여 행동변화를 추구하도록 한다.
-매슬로우의 욕구이론에 근거하여 고차원적 욕구를 채워 줄 수 있도록 더욱 명확하고 큰 목표와 비젼을 제시하고 긍정적인 강화를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개인적인 목표이행 뿐 아니라 구성원도 도울 수 있는 협력자적 모습을 제시하고 격려해 준다.
-자신스스로 통제능력이 있으므로 실수하더라도 크게 지적하지 않는다.
-직무확대 및 자기발전의 기회를 제공한다.
Ⅳ. 결론
이상으로 우리는 x-y이론과 성숙-미성숙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두 가지 이론을 접하면서 앞으로의 경영은 조직이 중심이 아닌, 그렇다고 개인이 중심이 아닌 인간존중의 경영으로 발전해나가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어떤 조직사회에서 활동하게 되더라고 좀 더 성숙한 인간으로 변화하도록 언제어디서나 능동적은 개인으로 재탄생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현 조직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관이기 때문이다.
< 참고 문헌 >
김병식(1997), 조직행동론, 형설출판사.
유기현(1997), 인간관계론, 무역경영사.
네이버 백과사전 참고
-리더나 팀원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 사람
-계획에 없던 상황에 항상 불만을 표출하는 사람
-문제발생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고 남의 탓으로 돌리는 사람
-팀원의 업무회의 시 소극적이고 방관자적인 사람
-변화된 업무에 대해 관심이 없으며 학습하지 않고 현실 안주적인 사람
-charge nurse지만 직접 업무를 실행하고 적극적인 사람
-매 출근시간마다 시간을 준수할 뿐 아니라 일찍 와서 업무를 준비하는 사람
-계획에 없던 특정상황에 잘 순응하는 사람
-문제발생에 대해서 자신이 책임지고 반성하는 사람
-팀원의 업무회의에 참여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석하는 사람
-변화된 업무를 빠르게 인식하고 항상 학습하는 사람
(3)아지리스 이론에 적용
◆구성원 분석
<미성숙 이론>
-업무와 팀원활동에 수동적이고 소극적이고 의존적 사람
-생각 없이 주어진 업무만 하는 사람
-관심과 직업의식 없이 환자를 대하는 사람
-단기적 직장으로 현실 안주적인 사람
-acting업무에 만족하고 charge업무에 관심이 없으며 두려워하는 사람
-자아인식이 결여된 사람
<성숙 이론>
-모든 업무에 적극적이고 참여적인 사람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독립적인 사람
-환자를 아픈사람이 아니라 한 인간으로 대하고 존중하는 사람
-과거를 반성할 줄 알고 미래를 위해 항상 노력하는 사람
-자기 업무를 확실히 하고 고차원의 업무에도 관심과 열정을 가지는 사람
-자아인식과 자아통제가 가능한 사람
(4)적용
-업무나 팀 구성원내의 불만요소를 경청하고 사정할 필요가 있다.
-동기가 유발될 수 있도록 업무에 대한 사항과 지침을 정확히 전달하고 긍정적, 부정적 강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개인적인 차원의 기본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도움을 주어야 한다.
-지속적으로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사람에게는 상담이나 지적을 하여 행동변화를 추구하도록 한다.
-매슬로우의 욕구이론에 근거하여 고차원적 욕구를 채워 줄 수 있도록 더욱 명확하고 큰 목표와 비젼을 제시하고 긍정적인 강화를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개인적인 목표이행 뿐 아니라 구성원도 도울 수 있는 협력자적 모습을 제시하고 격려해 준다.
-자신스스로 통제능력이 있으므로 실수하더라도 크게 지적하지 않는다.
-직무확대 및 자기발전의 기회를 제공한다.
Ⅳ. 결론
이상으로 우리는 x-y이론과 성숙-미성숙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두 가지 이론을 접하면서 앞으로의 경영은 조직이 중심이 아닌, 그렇다고 개인이 중심이 아닌 인간존중의 경영으로 발전해나가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어떤 조직사회에서 활동하게 되더라고 좀 더 성숙한 인간으로 변화하도록 언제어디서나 능동적은 개인으로 재탄생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현 조직사회에서 요구하는 인간관이기 때문이다.
< 참고 문헌 >
김병식(1997), 조직행동론, 형설출판사.
유기현(1997), 인간관계론, 무역경영사.
네이버 백과사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