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광고의 개념
2. 사진 메이크업
1) 컬러사진
(1) 증명사진
(2) 광고 사진
2) 흑백 광고 사진
3. 영상매체(TV, CF)를 위한 메이크업
1) TV 메이크업
(1) TV 기본 분장 (남자)
(2) TV 기본 분장(여성)
2) 광고 /CF 메이크업
2. 사진 메이크업
1) 컬러사진
(1) 증명사진
(2) 광고 사진
2) 흑백 광고 사진
3. 영상매체(TV, CF)를 위한 메이크업
1) TV 메이크업
(1) TV 기본 분장 (남자)
(2) TV 기본 분장(여성)
2) 광고 /CF 메이크업
본문내용
‘피부색’으로서 건강한 소녀의 볼 색을 기준으로 안색이 정확히 재현되어야 하고 수상기 화면의 색상, 채도, 밝기를 조정한다. TV화면에서의 메이크업 색상은 일반적으로 차가운 색보다는 따뜻한 적색, 오렌지, 갈색, 황갈색 등이 더 잘 어울리고 잘 표현된다.
펄이 너무 많이 들어간 아이섀도나 립글로스보다는 깔끔한 매트 타입이 좋고 아이섀도의 색상은 오렌지 브라운이나 핑크계열이 무난하다. 너무 밝은 피부톤일 경우, 분홍빛으로 표현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가무잡잡한 얼굴은 특히 조명 반사가 더 심하므로 파운데이션과 파우더를 필히 발라주어야 한다.
② 색 균형
출연자의 피부는 지나치게 유분이 많거나 너무 뽀얗게 보일 경우 둘 다 바람직하지 않고 안면에 적당한 윤기와 광택이 있어 자연스럽고 건강미가 느껴지도록 표현되어야 한다.
③ 클로즈 업
남성 출연자의 경우 얼굴이 클로즈업되었을 경우에도 메이크업이 잘 표시가 나지 않고 자연스러워야 한다. 특히 여드름이 있는 사람이나 수염자국, 푸른기가 유난히 강한 남자 출연자의 경우에는 얼굴이 지저분하고 톤이 얼룩져 보이므로 메이크업 베이스와 컨실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④ 주변색
밝은 드레스나 양복을 입었을 경우 출연자는 다소 밝은 분장을 해야 하고 의상색과 주위 세트의 색은 얼굴색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세트의 주색도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다.
(1) TV 기본 분장 (남자)
남자 기본 분장은 인물의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부각시키는 것이 목적으로 너무 무리한 윤곽 수정이나 결점 수정 등은 오히려 부자연스러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피부 표현의 경우, 무리한 스킨 톤과 결점커버보다는 남성의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살리는데 중점을 두도록 해야 한다.
파운데이션은 여성의 스킨 톤보다 두 톤 정도 어두운 내추럴 베이지나 오커(ocher)계열이 적합하고 얼굴의 외곽과 눈두덩이 위에는 피부톤보다 약간 어두운 갈색으로 음영을 준 다음 펴 바른다. 눈썹은 에보니 팬슬을 이용하여 빈 곳만 메워 주도록 하며 아이라인이나 립 라인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약하게 그린다.
(2) TV 기본 분장(여성)
여성의 경우에는 본인의 피부 톤과 차이가 나지 않는 약간 밝은 톤의 파운데이션을 선택해 바른 다음 컨실러나 밝은 파운데이션을 덧발라 줌으로써 자연스럽게 T존을 부각시키고 얼굴 외곽이나 눈두덩이에는 약간 더 어두운 스킨 톤을 펴 발라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콘트라스트 효과를 줌으로써 얼굴의 윤곽을 부각시키도록 한다.
여성 출연자의 텔레비전 영상을 위한 파운데이션의 스킨 톤 색상 선택은 핑크나 오렌지 톤보다는 밝은 베이지 계열의 톤이 가장 무난하므로 베이지 계열의 파운데이션을 바른 후 소량의 파우더를 덧발라 조명의 반사에 신경을 쓰도록 한다. 무리한 윤곽 수정이나 눈매 수정 혹은 과한 색조사용은 화면에 부적합하므로 주의하도록 하고 인조 속눈썹도 자연스러운 것을 선택하며 무리한 글로스 타입의 립글로스나 펄 아이새도는 영상 화면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주의한다. 텔레비전 영상에 잘 어울리는 색조는 주로 파스텔 핑크와 밝은 베이지, 오렌지 계열의 색상이 무난하다.
2) 광고 /CF 메이크업
광고 메이크업은 메이크업을 하기 이전에 먼저 광고 영상 기획의도를 충분히 파악하여 제품의 이미지와 특성에 맞는 메이크업을 해야 한다. 광고해야 할 기업의 제품이 결정되면 영상이나 지면, 콘티 등을 논의하고 전달하기 위한 미팅에 참여하게 되고 이후 광고 이미지에 맞는 광고 출연 모델을 광고주가 선정하게 되며 광고 컨셉에 맞는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링 및 의상 등의 스타일링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실제로 메이크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광고 영상을 위한 메이크업을 실시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사항은 단순히 모델의 미화나 외모의 치장이 아닌 광고할 제품의 특성과 소비자층의 특성 파악, 광고 기획 의도 및 전달 방법 등 광고 전반에 대한 이해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메이크업을 할 때는 촬영 장소와 셋트, 조명 등을 중시해야 하고 특별한 광고 컨셉이 없는 경우에는 제품이 모델보다 돋보이도록 과대한 색상의 사용이나 강한 메이크업은 지양해야 하나다.
다음은 제품별로 적합한 메이크업 컨셉 설정에 대한 예이다.
① 주방 용품이나 가정용품 광고의 경우 : 내추럴하게
② 술, 속옷, 향수 등의 광고의 경우 : 여성미를 강조하거나 섹시한 이미지로
③ 세안용품, 기초 화장품 광고의 경우 : 자연스럽고 투명한 자연미로
④ 과자, 아이스크림, 음료 등의 광고의 경우 : 귀엽고 상큼하게
펄이 너무 많이 들어간 아이섀도나 립글로스보다는 깔끔한 매트 타입이 좋고 아이섀도의 색상은 오렌지 브라운이나 핑크계열이 무난하다. 너무 밝은 피부톤일 경우, 분홍빛으로 표현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가무잡잡한 얼굴은 특히 조명 반사가 더 심하므로 파운데이션과 파우더를 필히 발라주어야 한다.
② 색 균형
출연자의 피부는 지나치게 유분이 많거나 너무 뽀얗게 보일 경우 둘 다 바람직하지 않고 안면에 적당한 윤기와 광택이 있어 자연스럽고 건강미가 느껴지도록 표현되어야 한다.
③ 클로즈 업
남성 출연자의 경우 얼굴이 클로즈업되었을 경우에도 메이크업이 잘 표시가 나지 않고 자연스러워야 한다. 특히 여드름이 있는 사람이나 수염자국, 푸른기가 유난히 강한 남자 출연자의 경우에는 얼굴이 지저분하고 톤이 얼룩져 보이므로 메이크업 베이스와 컨실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④ 주변색
밝은 드레스나 양복을 입었을 경우 출연자는 다소 밝은 분장을 해야 하고 의상색과 주위 세트의 색은 얼굴색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세트의 주색도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다.
(1) TV 기본 분장 (남자)
남자 기본 분장은 인물의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부각시키는 것이 목적으로 너무 무리한 윤곽 수정이나 결점 수정 등은 오히려 부자연스러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피부 표현의 경우, 무리한 스킨 톤과 결점커버보다는 남성의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살리는데 중점을 두도록 해야 한다.
파운데이션은 여성의 스킨 톤보다 두 톤 정도 어두운 내추럴 베이지나 오커(ocher)계열이 적합하고 얼굴의 외곽과 눈두덩이 위에는 피부톤보다 약간 어두운 갈색으로 음영을 준 다음 펴 바른다. 눈썹은 에보니 팬슬을 이용하여 빈 곳만 메워 주도록 하며 아이라인이나 립 라인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약하게 그린다.
(2) TV 기본 분장(여성)
여성의 경우에는 본인의 피부 톤과 차이가 나지 않는 약간 밝은 톤의 파운데이션을 선택해 바른 다음 컨실러나 밝은 파운데이션을 덧발라 줌으로써 자연스럽게 T존을 부각시키고 얼굴 외곽이나 눈두덩이에는 약간 더 어두운 스킨 톤을 펴 발라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콘트라스트 효과를 줌으로써 얼굴의 윤곽을 부각시키도록 한다.
여성 출연자의 텔레비전 영상을 위한 파운데이션의 스킨 톤 색상 선택은 핑크나 오렌지 톤보다는 밝은 베이지 계열의 톤이 가장 무난하므로 베이지 계열의 파운데이션을 바른 후 소량의 파우더를 덧발라 조명의 반사에 신경을 쓰도록 한다. 무리한 윤곽 수정이나 눈매 수정 혹은 과한 색조사용은 화면에 부적합하므로 주의하도록 하고 인조 속눈썹도 자연스러운 것을 선택하며 무리한 글로스 타입의 립글로스나 펄 아이새도는 영상 화면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주의한다. 텔레비전 영상에 잘 어울리는 색조는 주로 파스텔 핑크와 밝은 베이지, 오렌지 계열의 색상이 무난하다.
2) 광고 /CF 메이크업
광고 메이크업은 메이크업을 하기 이전에 먼저 광고 영상 기획의도를 충분히 파악하여 제품의 이미지와 특성에 맞는 메이크업을 해야 한다. 광고해야 할 기업의 제품이 결정되면 영상이나 지면, 콘티 등을 논의하고 전달하기 위한 미팅에 참여하게 되고 이후 광고 이미지에 맞는 광고 출연 모델을 광고주가 선정하게 되며 광고 컨셉에 맞는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링 및 의상 등의 스타일링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실제로 메이크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광고 영상을 위한 메이크업을 실시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사항은 단순히 모델의 미화나 외모의 치장이 아닌 광고할 제품의 특성과 소비자층의 특성 파악, 광고 기획 의도 및 전달 방법 등 광고 전반에 대한 이해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메이크업을 할 때는 촬영 장소와 셋트, 조명 등을 중시해야 하고 특별한 광고 컨셉이 없는 경우에는 제품이 모델보다 돋보이도록 과대한 색상의 사용이나 강한 메이크업은 지양해야 하나다.
다음은 제품별로 적합한 메이크업 컨셉 설정에 대한 예이다.
① 주방 용품이나 가정용품 광고의 경우 : 내추럴하게
② 술, 속옷, 향수 등의 광고의 경우 : 여성미를 강조하거나 섹시한 이미지로
③ 세안용품, 기초 화장품 광고의 경우 : 자연스럽고 투명한 자연미로
④ 과자, 아이스크림, 음료 등의 광고의 경우 : 귀엽고 상큼하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