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술 치료에서 치료란?
2. 예술 치료에서 의미하는 예술
3. 예술이 가지는 심리치료적인 의의
4. 예술 치료의 발달사
참고 - 미국의 경우
- 한국의 경우
5. 예술 치료의 목적
5-1. 예술치료에 대한 이해
6. 문학 치료의 개념
6-1. 정 의
6-2. 구 분
6-3. 문학의 기능
6-4. 문학의 가치
6-5. 문학 치료의 이론적 배경
6-6. 문학 치료의 목적 및 목표
7. 미술 치료의 개념
7-1. 미술 치료의 가치
7-2. 미술치료를 통한 방법 및 효과
7-3. 미술 치료의 효과
7-4. 미술치료의 장점
8. 음악 치료의 정의
8-1. 음악의 10가지 치료적 특징
∎참고자료 및 사이트
2. 예술 치료에서 의미하는 예술
3. 예술이 가지는 심리치료적인 의의
4. 예술 치료의 발달사
참고 - 미국의 경우
- 한국의 경우
5. 예술 치료의 목적
5-1. 예술치료에 대한 이해
6. 문학 치료의 개념
6-1. 정 의
6-2. 구 분
6-3. 문학의 기능
6-4. 문학의 가치
6-5. 문학 치료의 이론적 배경
6-6. 문학 치료의 목적 및 목표
7. 미술 치료의 개념
7-1. 미술 치료의 가치
7-2. 미술치료를 통한 방법 및 효과
7-3. 미술 치료의 효과
7-4. 미술치료의 장점
8. 음악 치료의 정의
8-1. 음악의 10가지 치료적 특징
∎참고자료 및 사이트
본문내용
타임(Time)을 구성시켜 준다.
4) 음악은 반복적으로 의미 있고 즐겁게 해 주는 문맥관계를 제공한다.
5) 음악은 구두 및 비구두적인 대화(Verbal & nonverbal communication)의 안전한 방법으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게 한다.
6) 음악은 기억력을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주는데 도움이 된다.
7) 음악은 신체의 율동동작에 도움을 주며 고무시킨다.
8) 음악은 기억력과 정저감정에 가벼운 자극을 준다.
9) 음악은 쉼이나 침묵과 함께 감상적이고 즉각적인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한다.
10) 음악은 소질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능력수준의 사람들이 참여해서 성공할 수 있는 분야이다.
음악치료는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하여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보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음악의 전문 분야이다. ‘음악치료란 음악(music)과 치료(therapy)가 융합된 것으로 예술과 과학임과 동시에 교류적 과정(interpersonal process)이다.’
음악치료는 예술의 속성을 가지는 음악이 과학적 속성을 가지는 치료와 복합되었기 때문에 음악치료는 유아에서 노인까지, 특수아동에서 정신과, 장애인과 비장애인 너무나 다양한 대상을 위해, 또 그들의 제각기 다른 치료적 목적을 위해 참으로 다양한 음악과 음악활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좀더 명확한 설명이 준비되기 전까지 Boxil의 ‘발달장애인을 위한 음악치료’의 설명을 인용한다. 『음악이 변화의 매개물로서 치료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해 주고 인간의 성장발달을 도모하며 자아시현을 도와 줄 때, 그 과정이 바로 음악치료이다. 음악치료와 같이 비언어적인 치료양식은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이나 할 수 없는 사람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연령과 증상에 구애 받지 않기 때문에 진단에 도움을 주고 다른 치료양식을 강화시킬 수 있다. 예술로서의 음악치료는 치료의 매개체로서 음악은 하나의 예술 형식이며, 음악이 음악치료사에 의해 만들어질 때 그 치료과정은 예술이 된다. 치료사는 내담자와 충분히 상호작용 하면서 자신의 임상적 기술을 내담자와의 관계에 창조적으로 적용하여 음악치료를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다.
Kenneth E. Bruscia의 음악치료의 정의를 보면 음악치료는 치료사가 환자를 도와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해 음악적 경험과 관계들을 통해 역동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체계적인 치료의 과정이다.(1989) 라고 되어있다.
음악치료가 예술로서의 음악과 과학으로서의 치료가 복합된 개념이며, 치료의 도구로 음악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과정은 매우 체계적이며 적용 방법에 대한 효과의 검증도 매우 과학적이다.
실제 사례) 예술치료법의 비밀은 어디에? <병원에 음악과 그림을…>
세계에서 가장 큰 실내 조각작품은 강철로 만든 높이 18미터의 ‘애크로뱃’(Acrobat)이다. 설치된 장소는 뜻밖에도 미술관이 아니라 병원이다. 영국 런던의 이 병원에서 10만 파운드짜리 조각을 설치한 까닭은 예술작품이 환자의 치료에 크게 효과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병원에서는 고전음악에서 재즈까지 음악소리가 들리고 하얀 벽은 온통 그림으로 채워져 있다.
음악과 미술이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기능을 향상시켜 준다는 생각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가령 1860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간호일지에 환자들이 밝은 색의 꽃과 그림을 보면 회복 속도가 빨라진다고 적었다. 그러나 음악을 듣거나 그림을 본 환자가 빨리 회복되는 이유는 아직까지 과학적으로 설명되지 않고 있다.
음악요법의 경우, 19세기 말부터 음악이 심장박동, 호흡, 혈압 등의 생리과정에 끼치는 영향이 연구되었다. 2002년 오스트레일리아의 의료진들은 초창기의 19개 연구를 재분석하고 음악이 환자의 불안증을 경감시키는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특히 음악은 혈압을 낮추고 진통제 사용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술요법은 환자의 정서장애를 해결하거나 자의식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을 때 주로 활용된다. 1969년 미국미술요법협회가 창립되면서부터 전문화됐으며 84년 설립된 미국병원예술재단은 2002년 7월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165개국의 500여개 병원을 순회하며 2만점 이상의 그림을 그려주었다. 지난 여름 우리 나라를 찾은 이 재단 관계자들은 어린이 백혈병 환자와 함께 대형 조각그림을 완성하는 행사를 주최했다.
음악과 미술이 환자에게 주는 영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두 요법 모두 우울증이나 불안증 치료에 효과적임을 거듭해서 확인하고 있지만 그 이유는 여전히 밝혀내지 못한 상태이다. 가장 그럴 법한 설명은 플라시보 효과이다. 플라시보, 곧 위약은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주는 가짜 약을 의미한다.
위약의 투여에 의한 심리효과로 환자의 용태가 실제로 호전되는 현상을 플라시보 효과라 이른다. 플라시보 효과는 인체가 스스로 치유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요컨대 몸의 자연치유력은 마음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이다.
음악요법과 미술요법은 대체의학으로 분류되지만 환자들에게 유익한 것만은 분명하다. 우리나라 병원에서 환자들이 그림과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참고자료 및 사이트
과학문화연구소장 이인식 칼럼기고 〔 발췌 〕
1999,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42인의 세계적 음악치료사가 들려주는 음악치료 이야기
(음악치료 임상 사례집) 中 사례 4. 창조적 음악치료 안에서 자아과의 대화, 9살의 호주소녀 린다와의 치료 세션, 캐롤 라빈스글라이브 라빈스 참여, 노도프 라빈스 음악치료 클리닉센터에서 진행(p.51~66).
http://blog.naver.com/hye8723?Redirect=Log&logNo=20019974402
[출처] 시치료1|작성자 나팔수
http://www.bibliotherapy.pe.kr (독서치료)
http://blog.naver.com/susugirls?Redirect=Log&logNo=40045478903
[출처] 문학을 활용한 아동상담(문학치료) |작성자 신암점
http://www.naver.com/ 네이버 지식인 및 백과사전
4) 음악은 반복적으로 의미 있고 즐겁게 해 주는 문맥관계를 제공한다.
5) 음악은 구두 및 비구두적인 대화(Verbal & nonverbal communication)의 안전한 방법으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게 한다.
6) 음악은 기억력을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주는데 도움이 된다.
7) 음악은 신체의 율동동작에 도움을 주며 고무시킨다.
8) 음악은 기억력과 정저감정에 가벼운 자극을 준다.
9) 음악은 쉼이나 침묵과 함께 감상적이고 즉각적인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한다.
10) 음악은 소질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능력수준의 사람들이 참여해서 성공할 수 있는 분야이다.
음악치료는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하여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보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음악의 전문 분야이다. ‘음악치료란 음악(music)과 치료(therapy)가 융합된 것으로 예술과 과학임과 동시에 교류적 과정(interpersonal process)이다.’
음악치료는 예술의 속성을 가지는 음악이 과학적 속성을 가지는 치료와 복합되었기 때문에 음악치료는 유아에서 노인까지, 특수아동에서 정신과, 장애인과 비장애인 너무나 다양한 대상을 위해, 또 그들의 제각기 다른 치료적 목적을 위해 참으로 다양한 음악과 음악활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좀더 명확한 설명이 준비되기 전까지 Boxil의 ‘발달장애인을 위한 음악치료’의 설명을 인용한다. 『음악이 변화의 매개물로서 치료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해 주고 인간의 성장발달을 도모하며 자아시현을 도와 줄 때, 그 과정이 바로 음악치료이다. 음악치료와 같이 비언어적인 치료양식은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이나 할 수 없는 사람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연령과 증상에 구애 받지 않기 때문에 진단에 도움을 주고 다른 치료양식을 강화시킬 수 있다. 예술로서의 음악치료는 치료의 매개체로서 음악은 하나의 예술 형식이며, 음악이 음악치료사에 의해 만들어질 때 그 치료과정은 예술이 된다. 치료사는 내담자와 충분히 상호작용 하면서 자신의 임상적 기술을 내담자와의 관계에 창조적으로 적용하여 음악치료를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다.
Kenneth E. Bruscia의 음악치료의 정의를 보면 음악치료는 치료사가 환자를 도와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해 음악적 경험과 관계들을 통해 역동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체계적인 치료의 과정이다.(1989) 라고 되어있다.
음악치료가 예술로서의 음악과 과학으로서의 치료가 복합된 개념이며, 치료의 도구로 음악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과정은 매우 체계적이며 적용 방법에 대한 효과의 검증도 매우 과학적이다.
실제 사례) 예술치료법의 비밀은 어디에? <병원에 음악과 그림을…>
세계에서 가장 큰 실내 조각작품은 강철로 만든 높이 18미터의 ‘애크로뱃’(Acrobat)이다. 설치된 장소는 뜻밖에도 미술관이 아니라 병원이다. 영국 런던의 이 병원에서 10만 파운드짜리 조각을 설치한 까닭은 예술작품이 환자의 치료에 크게 효과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 병원에서는 고전음악에서 재즈까지 음악소리가 들리고 하얀 벽은 온통 그림으로 채워져 있다.
음악과 미술이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기능을 향상시켜 준다는 생각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가령 1860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간호일지에 환자들이 밝은 색의 꽃과 그림을 보면 회복 속도가 빨라진다고 적었다. 그러나 음악을 듣거나 그림을 본 환자가 빨리 회복되는 이유는 아직까지 과학적으로 설명되지 않고 있다.
음악요법의 경우, 19세기 말부터 음악이 심장박동, 호흡, 혈압 등의 생리과정에 끼치는 영향이 연구되었다. 2002년 오스트레일리아의 의료진들은 초창기의 19개 연구를 재분석하고 음악이 환자의 불안증을 경감시키는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특히 음악은 혈압을 낮추고 진통제 사용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술요법은 환자의 정서장애를 해결하거나 자의식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을 때 주로 활용된다. 1969년 미국미술요법협회가 창립되면서부터 전문화됐으며 84년 설립된 미국병원예술재단은 2002년 7월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165개국의 500여개 병원을 순회하며 2만점 이상의 그림을 그려주었다. 지난 여름 우리 나라를 찾은 이 재단 관계자들은 어린이 백혈병 환자와 함께 대형 조각그림을 완성하는 행사를 주최했다.
음악과 미술이 환자에게 주는 영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두 요법 모두 우울증이나 불안증 치료에 효과적임을 거듭해서 확인하고 있지만 그 이유는 여전히 밝혀내지 못한 상태이다. 가장 그럴 법한 설명은 플라시보 효과이다. 플라시보, 곧 위약은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해 주는 가짜 약을 의미한다.
위약의 투여에 의한 심리효과로 환자의 용태가 실제로 호전되는 현상을 플라시보 효과라 이른다. 플라시보 효과는 인체가 스스로 치유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요컨대 몸의 자연치유력은 마음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이다.
음악요법과 미술요법은 대체의학으로 분류되지만 환자들에게 유익한 것만은 분명하다. 우리나라 병원에서 환자들이 그림과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참고자료 및 사이트
과학문화연구소장 이인식 칼럼기고 〔 발췌 〕
1999,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42인의 세계적 음악치료사가 들려주는 음악치료 이야기
(음악치료 임상 사례집) 中 사례 4. 창조적 음악치료 안에서 자아과의 대화, 9살의 호주소녀 린다와의 치료 세션, 캐롤 라빈스글라이브 라빈스 참여, 노도프 라빈스 음악치료 클리닉센터에서 진행(p.51~66).
http://blog.naver.com/hye8723?Redirect=Log&logNo=20019974402
[출처] 시치료1|작성자 나팔수
http://www.bibliotherapy.pe.kr (독서치료)
http://blog.naver.com/susugirls?Redirect=Log&logNo=40045478903
[출처] 문학을 활용한 아동상담(문학치료) |작성자 신암점
http://www.naver.com/ 네이버 지식인 및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