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실험날짜 : 2005. 09. 07. 수요일
3. 보충이론
고체 - 비결정 고체 : 버터, 고무, 유리 등
- 결정고체 - 금속고체
- 이온고체
- 망상고체
- 분자고체
금속고체 : 원자가 전자의 바다에 의해 갇혀 있는 금속 양이온들로 구성. 전성, 연성, 광택이 있고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있다. 예) s와 d블럭 원소들
이온고체 : 양이온과 음이온의 상호인력으로 형성된다. 딱딱하고, 부서지기 쉽고, 녹는점 끓는점이 높다. 물에 녹으면 전도성 용액이 된다. 예) ,
망상고체 : 고체 내전구저에서 이웃과 공유결합하는 원자들로 구성. 딱딱하고, 부서지기 쉽고, 녹는점 끓는점이 높다. 물에녹지 않는다. 예) B, C, 흑인
분자고체 : 분자간 힘에 의해서 제 자리에 고정되는 분자들로 구성. 녹는점 끓는점 낮음. 예) , 얼음, 나프탈렌
* 고체 결정구조
가정 : 개개의 원자를 ‘딱딱한구’로 간주
밀집구조(조밀구조) - 육방밀집구조(hcp)
- 입방밀집구조(=면십입방구조)
비조밀구조 - 체심입방구조(bcc)
- 원시입방구조(pc)
* bcc, fcc, pc의 packing의 효율비교
① bcc<체심입방구조>
- 이론값
- 실험값
② fcc<면심입방구조>
- 이론값
- 실험값
③ pc<원시입방구조>
- 이론값
- 실험값
실험을 하지 않았다.
4. 고찰
분자모형보다는 어렵고 인내력을 요구하는 실험이었다. 처음부터 만드는데 너무 힘이 들었다. 이쑤시개가 너무 길어서 반으로 잘라서 사용하는 데 한쪽만 뾰족하다보니 뾰족하지 않은 부분의 스티로폼이 계속 빠졌다. 다 완성된거 같음 여기서 풀어지고, 저기서 풀어지고, 하지만 직접 만들어보니 이제 체심과 면심을 구별할 수 있겠다. 이쑤시개가 아닌 본드였으면 더 잘 만들 수 있을텐데 아쉽다.
실험결과
2. 체심격자
① 모서리의 길이 : 3.8cm
② 단위세포의 부피 : 3.83cm3 = 54.872cm3
③ 단위세포에 포함된 공의 수(원자수) : 2개
④
- 단위세포에 포함된 공의 부피 :
- 비어있는 공간의 부피 :
3. 면심격자
① 모서리의 길이 : 4.8cm
② 단위세포의 부피 : 4.83cm3 = 110.59cm3
③ 단위세포에 포함된 공의 수(원자수) : 4개
④
- 단위세포에 포함된 공의 부피 :
- 비어있는 공간의 부피 :
4. 구조
① 모서리의 길이 : 5cm
② 단위세포의 부피 : 53cm3
③ 이온의 수 : 14개
④ 이온의 수 : 13개
3. 보충이론
고체 - 비결정 고체 : 버터, 고무, 유리 등
- 결정고체 - 금속고체
- 이온고체
- 망상고체
- 분자고체
금속고체 : 원자가 전자의 바다에 의해 갇혀 있는 금속 양이온들로 구성. 전성, 연성, 광택이 있고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있다. 예) s와 d블럭 원소들
이온고체 : 양이온과 음이온의 상호인력으로 형성된다. 딱딱하고, 부서지기 쉽고, 녹는점 끓는점이 높다. 물에 녹으면 전도성 용액이 된다. 예) ,
망상고체 : 고체 내전구저에서 이웃과 공유결합하는 원자들로 구성. 딱딱하고, 부서지기 쉽고, 녹는점 끓는점이 높다. 물에녹지 않는다. 예) B, C, 흑인
분자고체 : 분자간 힘에 의해서 제 자리에 고정되는 분자들로 구성. 녹는점 끓는점 낮음. 예) , 얼음, 나프탈렌
* 고체 결정구조
가정 : 개개의 원자를 ‘딱딱한구’로 간주
밀집구조(조밀구조) - 육방밀집구조(hcp)
- 입방밀집구조(=면십입방구조)
비조밀구조 - 체심입방구조(bcc)
- 원시입방구조(pc)
* bcc, fcc, pc의 packing의 효율비교
① bcc<체심입방구조>
- 이론값
- 실험값
② fcc<면심입방구조>
- 이론값
- 실험값
③ pc<원시입방구조>
- 이론값
- 실험값
실험을 하지 않았다.
4. 고찰
분자모형보다는 어렵고 인내력을 요구하는 실험이었다. 처음부터 만드는데 너무 힘이 들었다. 이쑤시개가 너무 길어서 반으로 잘라서 사용하는 데 한쪽만 뾰족하다보니 뾰족하지 않은 부분의 스티로폼이 계속 빠졌다. 다 완성된거 같음 여기서 풀어지고, 저기서 풀어지고, 하지만 직접 만들어보니 이제 체심과 면심을 구별할 수 있겠다. 이쑤시개가 아닌 본드였으면 더 잘 만들 수 있을텐데 아쉽다.
실험결과
2. 체심격자
① 모서리의 길이 : 3.8cm
② 단위세포의 부피 : 3.83cm3 = 54.872cm3
③ 단위세포에 포함된 공의 수(원자수) : 2개
④
- 단위세포에 포함된 공의 부피 :
- 비어있는 공간의 부피 :
3. 면심격자
① 모서리의 길이 : 4.8cm
② 단위세포의 부피 : 4.83cm3 = 110.59cm3
③ 단위세포에 포함된 공의 수(원자수) : 4개
④
- 단위세포에 포함된 공의 부피 :
- 비어있는 공간의 부피 :
4. 구조
① 모서리의 길이 : 5cm
② 단위세포의 부피 : 53cm3
③ 이온의 수 : 14개
④ 이온의 수 : 13개
추천자료
Ascorbic acid의 분자량 결정
분자량 결정
[정책네트워크]정책결정과 정책네트워크, 제도로서 정책네트워크의 변화과정, 정책네트워크의...
물리화학실험_1주_어는점 내림을 이용한 분자량 결정
물류의사결정 모형
사회복지정책의 결정) 정책결정의 의미와 특징 및 사회복지정책결정의 이론모형
의사결정의 개념과 유형 및 의사결정 이론모형
일반화학 실험보고서 - 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의 분자량 결정
물리화학실험 - Victor meyer 법에 의한 분자량 결정
[물리화학실험] 어는점내림에 의한 분자량 결정 Molecular Weight Determination by Freezing...
[물리화학 실험] (예비 레포트) 어는점 내림을 이용한 분자량 결정 설계 : 용액의 어는점 내...
정책대안의 탐색과 결정이론(決定理論) - 합리모형,점증모형,혼합-주사모형,만족모형,다차원...
(예비레포트) 아보가드로수의 결정 : 분자의 실제 크기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1몰에 존재...
허시블랜차드상황모형 아지리스이론] 자신속해있는 부서 구성원성숙도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