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하여 격전을 벌이게 된 것, ③ 라스전투 이후 제지법이 아라비아를 통해 유럽에 전파된 것 등이다.
고선지는 중국 내부의 많은 조선족 가운데 가장 출세한 사람으로서 손꼽힌다. 중국 군사 1만을 거느리고 파밀고원을 넘나들었으며 중국 정사의 열전(烈傳)에도 올라 있다. 그러나 그가 이민족 출신이라는 민족사적 한계 때문에 중국에서는 그의 공로를 내세우지 않으며, 중국 국사교과서에도 고선지에 관한 행적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중화사관을 탈피하는 진정한 동아시아사의 정립이 요청되며 나아가 중국에서 활동한 조선인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저서
『한국인명대사전』(신구문화사, 1967)
논문
姚從吾,「唐客鄕高麗高仙之遠征羅與中國造紙術的西入歐洲」(『中韓文化論集』1, 1955)
고선지는 중국 내부의 많은 조선족 가운데 가장 출세한 사람으로서 손꼽힌다. 중국 군사 1만을 거느리고 파밀고원을 넘나들었으며 중국 정사의 열전(烈傳)에도 올라 있다. 그러나 그가 이민족 출신이라는 민족사적 한계 때문에 중국에서는 그의 공로를 내세우지 않으며, 중국 국사교과서에도 고선지에 관한 행적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중화사관을 탈피하는 진정한 동아시아사의 정립이 요청되며 나아가 중국에서 활동한 조선인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저서
『한국인명대사전』(신구문화사, 1967)
논문
姚從吾,「唐客鄕高麗高仙之遠征羅與中國造紙術的西入歐洲」(『中韓文化論集』1, 1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