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 자음전이란?
(1)Grimm`s Law
1.Grimm`s Law의 정의
2.인구어의 폐쇄음/파열음(stops/plosive)
3.Grimm의 법칙
Grimm`s law의 예외현상
Venner`s Law
(1)Grimm`s Law
1.Grimm`s Law의 정의
2.인구어의 폐쇄음/파열음(stops/plosive)
3.Grimm의 법칙
Grimm`s law의 예외현상
Venner`s Law
본문내용
뿐만 아니라 또한 idg. s가 germ. z로 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인구어 공통조어에서 주액센트가 바로 그 앞에 오는 음절에 나타나지 않을 경우 게르만어에서 무성마찰음이 유성의 환경에서 유성마찰음으로 되었다는 Verner의 법칙은 언어변화에 관한 연구에서 자음과 모음 등 분절음소 뿐만 아니라 액센트 등 초분절음소도 고려해야 한다는 언어학사상 매우 중대한 사실을 입증한 셈이다. Verner가 게르만어 음운추이의 마지막 셋째 예외 현상을 규명한 후부터는 언어자료를 면밀히 고찰만 한다면 규칙에서 벗어나는 모든 예외적인 언어현상을 해명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언어법칙의 정당성을 완전히 인정하게 되었다.
*(2) Venner's Law
게르만 基語에서 마찰음이 유성음 환경에 있을때, 그리고 인구어 강세가 그 바로 앞의 음절에 있지 않을때, 유성음화 되는것을 말한다. 그 예로 GK. pater는 GO. fadar로 변했다. /t/가 /θ/가 아니고 /o/로 변했다. 이 법칙이 적용된 후 게르만 어휘의 강세가 어근의 첫째 음절로 이동함으로써, 사실상 그 중요한 조건의 하나가 제거되어 버렸기 때문에 이 법칙은 모호해졌다. 강세가 유성음화에 끼친 영향은 exert[igzrt], exist[igzist](비교 : exercise [kssaiz], exigent[ksijnt])와 같은 외래어 기원의 일부 현대 영어 어휘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베르너 법칙에서 연유된 유성 마찰음의 그후의 발달은, 인구어 bh, dh, gh에서 발달된 유성 마찰음의 발달과 같다. 초기 s 에서 발달된 z 는 고오트어를 제외한 모든 기록된 게르만어에서 r 로 나타난다.
게르만어족의 일부어에서는 인구어 /p/,/t/,/k/가 불규칙적으로 발달한 것이 보인다.
그림의 법칙에 의하면 인구어/t/는 게르만어에서는 /θ/로 되었다. 그러나 라틴어 centum이 영어에서 hundred로 된 경우를 보면 처음음 /k/는 규칙에 따라서 /h/로 바뀌었으나, 중간음 /t/는 /d/로 바뀌었다.
인구어의 /p/,/t/,/k/,/s/가 어중에서와 어미에서 게르만어에서는/b//d//g//z/로,
고대영어에서는 /f//d//g//r/로 나타난다.
원시 게르만어 무성마찰음은 다음 세가지 조건중 어느 하나도 제지되지 않는 한 유성마찰음으로 된다.
① 단어의 첫째음인 경우
② 바로 앞에 다른 무성음이 있는 경우
③ 바로 앞의 음절에 인구어 강세가 있는 경우
*(2) Venner's Law
게르만 基語에서 마찰음이 유성음 환경에 있을때, 그리고 인구어 강세가 그 바로 앞의 음절에 있지 않을때, 유성음화 되는것을 말한다. 그 예로 GK. pater는 GO. fadar로 변했다. /t/가 /θ/가 아니고 /o/로 변했다. 이 법칙이 적용된 후 게르만 어휘의 강세가 어근의 첫째 음절로 이동함으로써, 사실상 그 중요한 조건의 하나가 제거되어 버렸기 때문에 이 법칙은 모호해졌다. 강세가 유성음화에 끼친 영향은 exert[igzrt], exist[igzist](비교 : exercise [kssaiz], exigent[ksijnt])와 같은 외래어 기원의 일부 현대 영어 어휘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베르너 법칙에서 연유된 유성 마찰음의 그후의 발달은, 인구어 bh, dh, gh에서 발달된 유성 마찰음의 발달과 같다. 초기 s 에서 발달된 z 는 고오트어를 제외한 모든 기록된 게르만어에서 r 로 나타난다.
게르만어족의 일부어에서는 인구어 /p/,/t/,/k/가 불규칙적으로 발달한 것이 보인다.
그림의 법칙에 의하면 인구어/t/는 게르만어에서는 /θ/로 되었다. 그러나 라틴어 centum이 영어에서 hundred로 된 경우를 보면 처음음 /k/는 규칙에 따라서 /h/로 바뀌었으나, 중간음 /t/는 /d/로 바뀌었다.
인구어의 /p/,/t/,/k/,/s/가 어중에서와 어미에서 게르만어에서는/b//d//g//z/로,
고대영어에서는 /f//d//g//r/로 나타난다.
원시 게르만어 무성마찰음은 다음 세가지 조건중 어느 하나도 제지되지 않는 한 유성마찰음으로 된다.
① 단어의 첫째음인 경우
② 바로 앞에 다른 무성음이 있는 경우
③ 바로 앞의 음절에 인구어 강세가 있는 경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