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조류의 중국(서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책의 특징

2. 책의 관점-루시앵 비앙코의 『중국 혁명의 기원』과 비교하여

3. 중국의 과거와 미래

본문내용

사회주의 국가건설의 기초라고 보는 등소평에게서 보인다. 54운동 때 서양사상의 적극적 도입과 반제국주의가 상반된 것 같으면서도 모순없이 합쳐질 수 있었던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중국은 사회주의 노선이 현재와 같은 경제적 성장을 가져다주는 한, 자본주의가 세계적인 대세라고 해더라도 부분 수용에 그칠 것이다. 마크 블레처가 중국이 걸어온 길을 한마디로 줄여 말한 ‘반조류’라는 것은 사실 외부의 입장에서 한 말이다. 중국 내부에서는 유기체로서의 생명력과 변동성으로 인해 끊임없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고, 자신에게 맞기만 하다면 외부의 조건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간다. 즉 내부에서 변동과 적응의 모습이 외부에서 ‘반조류’로 비쳤을 따름이다.
자유, 평등, 정의를 실현하려고 시도한 국가였다는 점에서 미국을 실험국가라고 부른다. 구소련 역시 공산주의 국가건설을 이상으로 한 실험국가였다. 중국은 사회주의 체제에서도 경제적 번영을 이루어, 자본주의의 길만이 유일한 ‘조류’가 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또다른 실험국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중국공산당은 자신들의 사회주의 틀 내에서 최대한 자본주의의 장점을 수용하려 할 것이다. 그럼에도 이것은 어디까지나 사회주의를 강화시키기 위한 범위 내에서가 될 것이다. 만약 중국이 미국과 같이 세계의 경제를 주도하는 위치가 되면 과거 시장경제 내에서도 영국이 보호무역에서 자유무역을 내세웠던 것처럼 다른 노선을 취할지 모른다. 하지만 중국이 성장하는 과정에 있는 한, 질서와 경제적 성장을 주는 현재의 사회주의 노선은 쉽사리 변하지 않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2.2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1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