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 사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마천 사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들어가며
1.작가 사마천에 대해서

Ⅱ. 본문
2.저술 배경
3.사기 열전의 목차
4.『사기』의 내용
5.사마천의 『사기』에 대한 감상
6.『사기』의 매력
7.사학사속에서의 『사기』의 위치

Ⅲ. 맺으며
8.맺으며

본문내용

48. 한장유열전(한안국)
49. 이광장군열전(이광 장군)
50. 흉노열전(흉노족 이야기)
51. 위장군표기열전(위청, 곽거병)
52. 평진후주보열전(공손홍, 주보언)
53. 남월열전(남월족 이야기)
54. 동월열전(동월족 이야기)
55. 조선열전(고조선 이야기)
56. 서남이열전(서남이족 이야기)
57. 사마상여열전(사마상여)
58. 회남형산열전(회남왕, 형산왕)
59. 순리열전(관대한 관리 이야기, 손숙오, 자산, 공의휴, 석사, 이이)
60. 급암정당시열전(급암, 정당시)
61. 유림열전(유학자 이야기, 신공, 원고생, 한생, 복생, 서생, 상구, 동중서, 호무 생)
62. 혹리열전(엄헌 관리 이야기, 후봉, 질도, 영성, 주양유, 조우, 장탕, 의종, 왕온 서, 윤제, 양복, 감선, 두주)
63. 대원열전(대원국 이야기)
64. 유협열전(협객 이야기, 주가, 왕맹, 곽해)
65. 영행열전(임금의 총애를 받던 미소년들 이야기)
66. 골계열전(해학과 유머 이야기, 순우곤, 우맹, 우전)
67. 일자열전(점쟁이들 이야기)
68. 귀책열전(점복관련 이야기)
69. 화식열전(경제생활, 재산가 이야기)
70. 태사공저서
즉, 『사기』의 구성
모두 130편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왕을 기록한 12본기(本紀), 제후를 기록한 30세가(世家), 뛰어난 인물을 기록한 70열전(列傳), 그리고 각종 제도를 기록한 8서(書), 연대기에 해당하는 10표(表)가 그것이다.
1) 본기
<본기>란 중국 건국 초기의 5제로부터 시작해서 한나라 무제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를 움직인 제왕의 전기이다.
2) 표
<표>는 <본기>에 나오는 제왕과 제후들의 흥망의 역사적 사실을 일람하기 위한 연표(年表)이다.
3) 서
<서>는 역법, 천문, 법제, 예법, 음악, 치수에 이르기까지 제도 문물의 변천, 학술의 전망과 그 발달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서>는 후일에 정사(正史)에서 <지(志)>라고 했다.
4) 세가
<세가>는 제왕 아래서 열국의 통치를 위임받은 제후(諸侯)의 집안 계보와 사적을 나라별로 기술한 전기다. 공자(孔子)는 제후가 아니지만 특별히 공자 세가라 하여 이 속에 포함시키고 있다
5) 열전
<열전>은 <본기>와 <세가>를 둘러싼 영웅 호걸에서부터 정치가, 군인, 학자를 위시하여 거리에서 살아가는 일반 서민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전기를 기술한 것이다.
거기에 기록의 배경과 조직을 보충하기 위해 설정, 기술한 것으로 <서>와 <표>가 있다.
4. 『사기』의 내용
『사기』는 전국 시기 이전의 역사는 간략하게 서술하였고 전국 이후의 역사는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특히 한초 시기의 경제, 정치 , 문화, 민족 관계, 국내외 왕래 등 여러면을 폭넓게 기술하였다. 『사기』는 역사 인물의 사적을 기록하는 방법으로써 역사적 형편을 반영하였다. 작자는 역사적 인물의 행위, 언어 심지어는 인물의 정신, 용모까지 생생하게 묘사하였다. 이런 인물들은 모든 일정한 계급과 계층에 속하였는데 어떤 인물들은 이야기 식의 방법으로 실록(實錄) 하였으며 묘사와 서술에 있어서 애증이 분명한 뜨거운 감정이 주입되고 작자의 견해와 염원이 스며들어 있다. 그러므로 사기에는 생동하는 인물 형상이 많다. 이런 점만 보더라도 『사기』는 문학적 역사인가 하면 역사적 문학이기도 한 것이다.
『사기』는 일정한 역사적 범주안에서 형형색색의 인문 형상을 서술하였다. 위로는 제왕에서부터 아래로는 창우(倡優), 점복(占卜), 농민봉기의 수령까지 각 계급, 계층의 인물 형상을 창조하였다.
첫째, 『사기』는 음란하고 포악한 제왕들의 작태를 밝혀놓았다.
사마천은 덕치와 배치되는 학정을 실시한 하걸(夏桀), 은주(殷紂), 주려(周)왕 및, 진시황과 같은 폭군들의 죄악을 규탄하고 그들의 멸망의 필연성을 드러내었다. 나아가서 그는 당시 이름난 군주에 대해서도 거리낌없이 견책하고 있다.
둘째, 통치 집단 내부의 첨예한 모순과 그들 사이의 아귀다툼을 진실하게 반영하였다.
<여후본기(呂后本紀)>의 기록을 보면 여후(呂后)와 척희(戚姬), 즉 봉건왕조 내부의 후비들 사이의 내부의 모순과 아귀다툼이 얼마나 치열하고 참혹하며 야만적이고 비인도적이었던가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후비들 사이의 모순과 아귀다툼은 최고 통치자인 황위의 계승권을 둘러싸고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폭로하고 있다.
셋째, 『사기』는 중하층의 사람들의 우수한 품성, 용감한 영웅적 행위를 찬양하였다.
<신릉군열전(信陵軍列傳)>에서 후영(候), 주해(朱亥), 모공(毛公)과 설공(薛公)은 시급한 대목에서 위나라 공자 신릉군(信陵軍)을 도와 조나라를 구하고 위나라를 보존하며 진나라에 저항하는 일을 수행하였다. 사마천은 여기에서 문지기 출신인 후영의 지혜와 의리를, 주해의 비범한 완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또 사마천은 사기에서 당시 넉넉하지 못한 사람들을 구제하며, 남이 시급할 때 나서는 협객들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당시 봉건 통치계급의 비난을 받는 존재인 협객들의 전기를 쓴 사마천의 사상 또한 높이 평가받을 만 하다 하겠다.
넷째, 『사기』는 애국영웅들과 역사적으로 중대한 기여를 한 역사 인물들을 찬양하였다.
<염파인상여열전(廉頗藺相如列傳)>에서 인상여(藺相如)의 애국정신과 용감하고 슬기로운 품성을, <이장군열전(李將軍列傳)> 용감하고 정직한 품격과 애국정신을 소유한 이광(李廣)을, <굴원가생열전(屈原賈生列傳)>에서는 굴원(屈原)의 애국정신과 그의 고결한 인격을 서술한 것에서 잘 드러난다.
다섯째, 사회 현실의 암흑상을 폭로하고 인민들의 고통을 반영하였으며 나아가 농민봉기의 영수를 구가하였다.
사마천은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민중들의 질고를 직접 목격하였으며, 민중들의 정서를 들을 수 있었다. 민중들의 질고와 반항심을 야기시키는 근본원인이 토지의 집중과 무위도식하며 학정을 일삼는 관리에 있음 보았다. 그리고 통치계급의 가혹한 착취와 잔혹한 탄압은 민중들을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넣고 이는 곳곳의 농민봉기로 이어짐을 보았다. 사마천은 이렇듯 통치집단의 잔혹한 통치에 대한 폭로와 당시 농민봉기의 현상을 반영하고 나아가 진섭(陳涉)농민

키워드

1,   4,   8
  • 가격3,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10.02.22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1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