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멜표류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두 가지가 있을 것 같다.
첫째는 현재의 입장에서 과거의 낙후된 모습을 부각시켜 이를 철저히 반성·비판해 역사 발전에 있어서의 교훈으로 활용하는 것이고, 그 반대로 둘째는 과거의 계승할만한 점을 발굴하여 그를 재해석해 발전 전략 수립에 지표로 설정하는 것이다. 저자는 아마 첫째 번 입장에 서 계신 듯 하다.
서문을 통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전혀 일리가 없지는 않다. 과거에 대한
철저한 자기 성찰 없이 발전은 있을 수 없다. 저자의 표현대로
“이런 식의 역사가 되풀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그러나 우려되는 것은, 역사 대중서에서의 이런 시각이 혹시라도 조선시대 일반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형성에 공헌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점이다.
하멜표루기는 서양인의 입장에서 우리나라에 대해 최초로 쓰여진 역사적 서술이라고 한다.특히 히딩크를 통해서 우리와 친숙해진 국가 네덜란드인에 의해 씌여졌다는 점에서 더욱더 흥미가 유발되었다.하멜의 입장에서 보면 당시 조선이라는 나라는 미지의 세계와도 같은 곳이었는데 그런 곳에서 13년 동안이나 억류생활을 하면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탈출하는 그를 보면서 참으로 인간의 정신력이 그 무엇보다도 강인한 것이구나 하는걸 느꼈다.그리고 이를 계기로 조선이 서구의 선진문물을 받아들여 큰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살리지 못했던것이 참으로 아쉬웠다.만약 그때를 잘 활용했다면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받지 않았을 수도 있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들었다.아무튼 서양인의 관점에서 당시 조선에 대해 씌여진 책이라는 점에서 관심있게 읽어볼 만한 책이라 여겨진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2.24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