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습목적
2. 실습 기자재, 부품 및 자료
3. 실습방법 및 순서
4. 실습결과보고서
2. 실습 기자재, 부품 및 자료
3. 실습방법 및 순서
4. 실습결과보고서
본문내용
1
0
0
0
8
0
1
1
1
7
9
1
0
0
1
9
0
1
1
0
6
10
1
0
1
0
10
0
1
0
1
5
11
1
0
1
1
11
0
1
0
0
4
12
1
1
0
0
12
0
0
1
1
3
13
1
1
0
1
13
0
0
1
0
2
14
1
1
1
0
14
0
0
0
1
1
15
1
1
1
1
15
0
0
0
0
0
16
0
0
0
0
0
1
1
1
1
15
17
0
0
0
1
1
1
1
1
0
14
18
0
0
1
0
2
1
1
0
1
13
2) 시프트 레지스터
CLK
Q3
Q2
Q1
Q0
0
0
0
0
0
1
0
0
0
1
2
0
0
1
0
3
0
1
0
0
4
1
0
0
0
5
0
0
0
1
6
0
0
1
0
7
0
1
0
0
3) 종합검토 및 논의
이번 실습은 비동기식 카운트-업 카운터 회로 및 카운트-다운 카운터 직렬입력-병렬출력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구성하고 각각의 동작원리 및 동작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회로도 1번을 보고 회로를 구성하였다. 먼저 브레드보드에 74LS76 JK 플리플롭 두 개를 사용해서 74LS74, 74LS76의 핀 배열과 기능을 보고 회로를 구성하였다. 각 IC에 전원을 공급하고 LED를 Q3 ~ Q0에 연결하였다. CLR에 0을 인가하고 함수 발생기로부터 0~5V의 사각파를 만들어 CLK에 연결하였다. PR에 1을 인가하여 LED의 점등을 관찰하니 0~15까지의 계수값을 출력하였고, 그 이후에는 다시 순환되는걸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회로도에서는 첫 번째 IC의 Q값이 CLK로 연결되는데 두 번째 회로도는 첫 번째 IC의 Q 값이 CLK로 연결되기 때문에 그것만 바꿔주고 CLR대신 PR에 1을 인가하여 실험을 하였다. LED의 점등을 확인하니 첫 번째 실험과는 반대로 15~0까지 계수값을 출력하였다.
J와 K의 입력 값이 모두 1일 때 토글현상이 일어나 펄스의 값을 1-0의 순차적인 값을 발생시켰다. 각 플립플롭의 출력 Q와 다음 CLK으로 연결되어 순차적인 펄스를 가지며 다음 플립플롭의 출력 값을 토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토글이 됨에 따라 Bit의 자리가 커질수록 토글 되는 시간이 지연됨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토글의 시차는 Bit의 증가에 따라 2배씩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을 하던 중 궁금증을 유발시킨 점은 토글링의 현상이 일어날 때 즉 Bit의 수가 올라감에 따라서 (1Bit에서 2Bit 로 2Bit에서 4Bit로 영향을 줄때)약간의 시간지체가 있음을 발견했는데 이 또한 순차적으로 펄스를 받게 됨에 지연현상이 일어나는지 좀 더 고찰할 필요가 있음을 느꼈다.
마지막 실험은 시프트 레지스터에 관한 실험이다. 브레드 보드 위에 74LS74 D 플리플롭 두 개를 사용해서 직렬 입력-병렬출력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회로도 3번을 보고 구성하였다. 마지막 실험도 1,2번 회로구성과 같이 하였는데 한 가지 다른점이 있었다. DIN에 1을 인가하고 Q0와 연결된 LED가 점등되는 것을 확인한 후, DIN을 Q3와 연결한다는 것이다.
회로를 제대로 구성하고 마친 줄 알았는데 위의 것을 빠뜨리고 했던것이다. 이상한것은 제대로 구성했다면 LED점등이 한 칸씩 이동해야 하는데 계속 두 칸씩 이동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회로를 바꿔서 구성해보고 해본결과 한 칸씩 이동하게끔 결과를 얻어냈다.
솔직히 실험이 진행될수록 점점 어려워져 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동안 열심히 해 왔기에 남은 실험 두 번도 잘 끝마치고 싶은 생각을 했다. 친절하게 실험을 도와주신 조교님과 공동실험자에게 감사드린다. 그리고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우리가 배운 예를 이해하고 다시금 생각해 보는 실험이 아니었나 싶다.
0
0
0
8
0
1
1
1
7
9
1
0
0
1
9
0
1
1
0
6
10
1
0
1
0
10
0
1
0
1
5
11
1
0
1
1
11
0
1
0
0
4
12
1
1
0
0
12
0
0
1
1
3
13
1
1
0
1
13
0
0
1
0
2
14
1
1
1
0
14
0
0
0
1
1
15
1
1
1
1
15
0
0
0
0
0
16
0
0
0
0
0
1
1
1
1
15
17
0
0
0
1
1
1
1
1
0
14
18
0
0
1
0
2
1
1
0
1
13
2) 시프트 레지스터
CLK
Q3
Q2
Q1
Q0
0
0
0
0
0
1
0
0
0
1
2
0
0
1
0
3
0
1
0
0
4
1
0
0
0
5
0
0
0
1
6
0
0
1
0
7
0
1
0
0
3) 종합검토 및 논의
이번 실습은 비동기식 카운트-업 카운터 회로 및 카운트-다운 카운터 직렬입력-병렬출력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구성하고 각각의 동작원리 및 동작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회로도 1번을 보고 회로를 구성하였다. 먼저 브레드보드에 74LS76 JK 플리플롭 두 개를 사용해서 74LS74, 74LS76의 핀 배열과 기능을 보고 회로를 구성하였다. 각 IC에 전원을 공급하고 LED를 Q3 ~ Q0에 연결하였다. CLR에 0을 인가하고 함수 발생기로부터 0~5V의 사각파를 만들어 CLK에 연결하였다. PR에 1을 인가하여 LED의 점등을 관찰하니 0~15까지의 계수값을 출력하였고, 그 이후에는 다시 순환되는걸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회로도에서는 첫 번째 IC의 Q값이 CLK로 연결되는데 두 번째 회로도는 첫 번째 IC의 Q 값이 CLK로 연결되기 때문에 그것만 바꿔주고 CLR대신 PR에 1을 인가하여 실험을 하였다. LED의 점등을 확인하니 첫 번째 실험과는 반대로 15~0까지 계수값을 출력하였다.
J와 K의 입력 값이 모두 1일 때 토글현상이 일어나 펄스의 값을 1-0의 순차적인 값을 발생시켰다. 각 플립플롭의 출력 Q와 다음 CLK으로 연결되어 순차적인 펄스를 가지며 다음 플립플롭의 출력 값을 토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토글이 됨에 따라 Bit의 자리가 커질수록 토글 되는 시간이 지연됨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토글의 시차는 Bit의 증가에 따라 2배씩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을 하던 중 궁금증을 유발시킨 점은 토글링의 현상이 일어날 때 즉 Bit의 수가 올라감에 따라서 (1Bit에서 2Bit 로 2Bit에서 4Bit로 영향을 줄때)약간의 시간지체가 있음을 발견했는데 이 또한 순차적으로 펄스를 받게 됨에 지연현상이 일어나는지 좀 더 고찰할 필요가 있음을 느꼈다.
마지막 실험은 시프트 레지스터에 관한 실험이다. 브레드 보드 위에 74LS74 D 플리플롭 두 개를 사용해서 직렬 입력-병렬출력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회로도 3번을 보고 구성하였다. 마지막 실험도 1,2번 회로구성과 같이 하였는데 한 가지 다른점이 있었다. DIN에 1을 인가하고 Q0와 연결된 LED가 점등되는 것을 확인한 후, DIN을 Q3와 연결한다는 것이다.
회로를 제대로 구성하고 마친 줄 알았는데 위의 것을 빠뜨리고 했던것이다. 이상한것은 제대로 구성했다면 LED점등이 한 칸씩 이동해야 하는데 계속 두 칸씩 이동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회로를 바꿔서 구성해보고 해본결과 한 칸씩 이동하게끔 결과를 얻어냈다.
솔직히 실험이 진행될수록 점점 어려워져 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동안 열심히 해 왔기에 남은 실험 두 번도 잘 끝마치고 싶은 생각을 했다. 친절하게 실험을 도와주신 조교님과 공동실험자에게 감사드린다. 그리고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우리가 배운 예를 이해하고 다시금 생각해 보는 실험이 아니었나 싶다.
키워드
추천자료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2002년 4월 7일 시행)
8051 어셈블러를 이용한 Key Scan
8051 어셈블러를 이용한 시리얼 PC 통신
워드 2급 3과목 기출 요약 (이것만은 꼭 외우자!)
RF를 이용한 장애물 피하는 모형자동차
연속된 5개의 1을 감지하는 모듈 (winbreadboard 와
RAM에서의loadstore 기능구현, 베릴로그, 쿼터스, 결과소스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점
2010년 1학기 디지털논리회로 기말시험 핵심체크
디지털논리회로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1년 1학기 디지털논리회로 기말시험 핵심체크
[컴퓨터의이해] 마이크로프로세서 발전과정과 컴퓨터 산업에 기여한 점 그리고 최신동향(1200...
MP3 포맷
플립플롭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