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변하는 사회와 사회학
제2장 사회학의 연구방법
제3장 문화
제4장 사회화
제5장 일탈
제6장 사회구조
제7장 사회계층
제8장 가족
제9장 종교
제10장 교육
제11장 경제제도
제12장 정치
제13장 집합행동과 사회운동
제2장 사회학의 연구방법
제3장 문화
제4장 사회화
제5장 일탈
제6장 사회구조
제7장 사회계층
제8장 가족
제9장 종교
제10장 교육
제11장 경제제도
제12장 정치
제13장 집합행동과 사회운동
본문내용
한다. 사회학은 특히 종교, 교육, 그리고 가족제도에 특히 관심을 가지고 있다.
차원 5는 문화다. 문화란 이념, 가치, 신앙 및 행위의 규범으로서의 지식체계를 말한다. 문화인류학의 연구분야가 바로 문화이지만 사회학에서도 문화에 관심을 갖는다.
특히 사회학에서는 이들 여러 차원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어떤 사회과학 보다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다.
3. 사회학의 과학성과 한계
사회학은 사회에서 일어나는 제반 현상들을 이해하고,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현상을 탐구함에 있어 연구자 개인의 주장이나 편견을 떠나 개관적이고 과학적인 절차에 의한 과학적인 방법을 따르지 않으면 안 된다. 사회학은 경험적(실증적), 과학적, 객관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즉 사회학은 과학이다. 그러나 자연과학과 달리 사회과학은 연구자 자신이 사회현상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구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인간이 개인적인 이익을 떠나 완전히 객관적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베버(M. Weber)는 사회과학의 완전 가치중립성을 주장했다. 그러나 요즘 사회과학자들은 인간이 자신이 자라온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 자연의 현상을 대하듯 그렇게 객관적일 수 있는가에 대해 진솔한 의문을 제기한다. 사회학이 학문이기 위해서는 객관적, 경험적, 과학적 방법을 추구한다. 그러나 사회학이 객관적 방법론에만 집착하다 보면 인간에 대한 열정과 애정이 결핍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 연구의 결과 때문에 의외로 피해를 보는 집단이 생길 수도 있다. 사회학은 객관성과 과학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신의 연구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회학은 다음과 같은 엄격한 윤리규범을 갖고 있다.
사회학 조사 연구의 8가지 원칙
① 객관성(objectivity): 사회 조사에 있어 객관성과 과학성을 유지해야 한다.
② 성실성(integrity): 연구자도 감정을 가진 인간이므로 자신의 한계성을 인정하라.
③ 사생활 존중(privacy of subjects): 연구 대상자들의 사생활을 존중해야 한다.
④ 인격존중과 보호(protection of subjects): 연구 대상자들의 인격을 존중하고, 연구과정이나 연구 결과 때문에 어떠한 피해도 입히지 말 것.
⑤ 비밀보장(preservation of confidentiality): 대상자들이 원하지 않으면, 그들의 정체나 사적 정보를 공개하지 말 것.
⑥ 사실왜곡(distortion of findings)에 대한 책임 및 방지: 자신들의 연구 격과를 재정후원자들이 왜곡하여 이용하지 못하도록 책임 있게 방어해야 한다.
⑦ 협조자들을 반드시 공개할 것(collaboration must be acknowledged)
⑧ 재정지원자를 공개할 것(research arrangements): 재정 지원자는 반드시 공개하고 비윤리적인 지원은 거절할 것.
제2장 사회학의 연구방법
사회학의 연구방법은 과학적, 객관적, 경험적(실증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공부했다. 과학적, 객관적으로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객관적, 과학적인 자료수집이 이루어 져야 한다.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대체로 ① 면접법, ② 질문지법, ③ 문헌기록, 그리고 ④ 참여관찰법이 이용되고 있다. 다음은 이 자료는 누구로부터 수집하는가? 만약 연구자가 질문지를 보내 자료를 수집하려고 한다면 누구에게 질문지를 보낼 것인가를 설계해야 한다. 사회학에서는 대체로 ① 통계조사, ② 실험, 그리고 ③ 사례연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한다. 사회조사가 객관성과 과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구과정이 엄격히 통제된다. ① 작업가설을 세우고, ② 연구계획을 설계하고, ③ 자료수집방법을 선택한 후 실제 자료수집에 착수한다.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으로부터 자료수집이 끝나면 ④ 그 자료를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⑤ 분석한 자료를 가지고 ①에서 세운 작업가설을 검증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가설에 대한 검증이 끝나면 기존이론을 재확인 하든가 부정 하든가 하는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3장 문화
1. 문화의 정의
문화란 말은 다양한 의미로 쓰인다. 일상 용어로서 쓰이는 의미와, 사회학에서 사용하는 의미가 다르고, 또 인류학에서 쓰이는 의미가 다르다. 각각의 의미를 알아두어야 한다.
① 일상 용어로서의 문화는 좋은 취미, 또는 깨끗한 것, 질서 정연한 것 등의 의미로 쓰인다.
② 인류학에서는 포괄적 의미로서 사용된다. 프랑스 문화, 동양문화라고 하듯이 문화를 “culture-as-everything\"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사회학에서는 문화라는 용어를 한정해서 사용한다.
③ 사회학자들은 문화를 지식과 가치체계로 파악한다.
(culture-as-knowledge-and-belief-systems)
2. 문화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문화는 우리 일상생활의 모든 면에 영향을 준다. 그것도 아주 강력한 힘으로 인간에게 다가온다. 인간은 문화 속에서 숨쉬며 살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는 무엇을 먹을 것인가, 무엇을 입을 것인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서로에게 감정의 표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등의 우리 일상생활의 매 순간마다 문화의 지시를 받는다. 문화는 인간의 사고, 감정, 행동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3. 문화의 내용
모든 문화는 다음의 내용을 가지고 있다. 즉 경험적 문화, 심미적 문화, 그리고 규범적 문화이다.
1) 경험적 문화:
인간이 경험을 통해서 축적한 지식체계이다. 주로 자연환경을 통제하는 지식, 즉 기술이 여기에 포함된다. 가뭄, 홍수, 질병 등의 자연재해에 대처하는 방법, 주어진 자연환경 하에서 어떤 농작물을 지어야 수확이 좋을 것인가 하는 지식, 농기계의 사용법, 집 짓는 법 등이 모두 경험에 의해서 축적된 기술이고 지식이다.
경험적 문화를 공부하면서 반드시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이 토마스(W.I. Thomas)의 “상황의 정의”라는 개념이다. 상황의 정의란 현재 상황에 대한 인식이 객관적인 현실(실재)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의해서, 또는 문화에 의해서 규정된 상황를 실재인양 받아들이고 그것에
차원 5는 문화다. 문화란 이념, 가치, 신앙 및 행위의 규범으로서의 지식체계를 말한다. 문화인류학의 연구분야가 바로 문화이지만 사회학에서도 문화에 관심을 갖는다.
특히 사회학에서는 이들 여러 차원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어떤 사회과학 보다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다.
3. 사회학의 과학성과 한계
사회학은 사회에서 일어나는 제반 현상들을 이해하고,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현상을 탐구함에 있어 연구자 개인의 주장이나 편견을 떠나 개관적이고 과학적인 절차에 의한 과학적인 방법을 따르지 않으면 안 된다. 사회학은 경험적(실증적), 과학적, 객관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즉 사회학은 과학이다. 그러나 자연과학과 달리 사회과학은 연구자 자신이 사회현상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구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인간이 개인적인 이익을 떠나 완전히 객관적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점에 봉착하게 된다. 베버(M. Weber)는 사회과학의 완전 가치중립성을 주장했다. 그러나 요즘 사회과학자들은 인간이 자신이 자라온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 자연의 현상을 대하듯 그렇게 객관적일 수 있는가에 대해 진솔한 의문을 제기한다. 사회학이 학문이기 위해서는 객관적, 경험적, 과학적 방법을 추구한다. 그러나 사회학이 객관적 방법론에만 집착하다 보면 인간에 대한 열정과 애정이 결핍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 연구의 결과 때문에 의외로 피해를 보는 집단이 생길 수도 있다. 사회학은 객관성과 과학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신의 연구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회학은 다음과 같은 엄격한 윤리규범을 갖고 있다.
사회학 조사 연구의 8가지 원칙
① 객관성(objectivity): 사회 조사에 있어 객관성과 과학성을 유지해야 한다.
② 성실성(integrity): 연구자도 감정을 가진 인간이므로 자신의 한계성을 인정하라.
③ 사생활 존중(privacy of subjects): 연구 대상자들의 사생활을 존중해야 한다.
④ 인격존중과 보호(protection of subjects): 연구 대상자들의 인격을 존중하고, 연구과정이나 연구 결과 때문에 어떠한 피해도 입히지 말 것.
⑤ 비밀보장(preservation of confidentiality): 대상자들이 원하지 않으면, 그들의 정체나 사적 정보를 공개하지 말 것.
⑥ 사실왜곡(distortion of findings)에 대한 책임 및 방지: 자신들의 연구 격과를 재정후원자들이 왜곡하여 이용하지 못하도록 책임 있게 방어해야 한다.
⑦ 협조자들을 반드시 공개할 것(collaboration must be acknowledged)
⑧ 재정지원자를 공개할 것(research arrangements): 재정 지원자는 반드시 공개하고 비윤리적인 지원은 거절할 것.
제2장 사회학의 연구방법
사회학의 연구방법은 과학적, 객관적, 경험적(실증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공부했다. 과학적, 객관적으로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객관적, 과학적인 자료수집이 이루어 져야 한다.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대체로 ① 면접법, ② 질문지법, ③ 문헌기록, 그리고 ④ 참여관찰법이 이용되고 있다. 다음은 이 자료는 누구로부터 수집하는가? 만약 연구자가 질문지를 보내 자료를 수집하려고 한다면 누구에게 질문지를 보낼 것인가를 설계해야 한다. 사회학에서는 대체로 ① 통계조사, ② 실험, 그리고 ③ 사례연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한다. 사회조사가 객관성과 과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구과정이 엄격히 통제된다. ① 작업가설을 세우고, ② 연구계획을 설계하고, ③ 자료수집방법을 선택한 후 실제 자료수집에 착수한다.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으로부터 자료수집이 끝나면 ④ 그 자료를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⑤ 분석한 자료를 가지고 ①에서 세운 작업가설을 검증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가설에 대한 검증이 끝나면 기존이론을 재확인 하든가 부정 하든가 하는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3장 문화
1. 문화의 정의
문화란 말은 다양한 의미로 쓰인다. 일상 용어로서 쓰이는 의미와, 사회학에서 사용하는 의미가 다르고, 또 인류학에서 쓰이는 의미가 다르다. 각각의 의미를 알아두어야 한다.
① 일상 용어로서의 문화는 좋은 취미, 또는 깨끗한 것, 질서 정연한 것 등의 의미로 쓰인다.
② 인류학에서는 포괄적 의미로서 사용된다. 프랑스 문화, 동양문화라고 하듯이 문화를 “culture-as-everything\"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사회학에서는 문화라는 용어를 한정해서 사용한다.
③ 사회학자들은 문화를 지식과 가치체계로 파악한다.
(culture-as-knowledge-and-belief-systems)
2. 문화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문화는 우리 일상생활의 모든 면에 영향을 준다. 그것도 아주 강력한 힘으로 인간에게 다가온다. 인간은 문화 속에서 숨쉬며 살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는 무엇을 먹을 것인가, 무엇을 입을 것인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서로에게 감정의 표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등의 우리 일상생활의 매 순간마다 문화의 지시를 받는다. 문화는 인간의 사고, 감정, 행동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3. 문화의 내용
모든 문화는 다음의 내용을 가지고 있다. 즉 경험적 문화, 심미적 문화, 그리고 규범적 문화이다.
1) 경험적 문화:
인간이 경험을 통해서 축적한 지식체계이다. 주로 자연환경을 통제하는 지식, 즉 기술이 여기에 포함된다. 가뭄, 홍수, 질병 등의 자연재해에 대처하는 방법, 주어진 자연환경 하에서 어떤 농작물을 지어야 수확이 좋을 것인가 하는 지식, 농기계의 사용법, 집 짓는 법 등이 모두 경험에 의해서 축적된 기술이고 지식이다.
경험적 문화를 공부하면서 반드시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이 토마스(W.I. Thomas)의 “상황의 정의”라는 개념이다. 상황의 정의란 현재 상황에 대한 인식이 객관적인 현실(실재)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의해서, 또는 문화에 의해서 규정된 상황를 실재인양 받아들이고 그것에
추천자료
[교육사회학][교육사회학 접근법][콩트][교육사회학 장점]교육사회학의 발달, 교육사회학의 ...
[교육사회학][신교육사회학]교육사회학의 의미, 교육사회학의 연구관점, 교육사회학의 접근이...
[교육사회학][교육사회학 접근이론][교육사회학 연구방법][교육사상]교육사회학의 정의, 교육...
[범죄사회학][범죄사회학 목적][범죄사회학 흐름][범죄사회학과 일탈][청소년폭력][비판범죄...
[사회학][사실][형상학적 사회학][종교적 경험]사회학의 개념, 사회학의 방법, 사회학과 사실...
[사회학, 현대 사회학, 사회학적 저항, 탈사회학, 하버마스 및 루만]사회학의 대상, 사회학의...
[사회학, 사회학 이론, 사회학과 사회학자, 사회학과 인간, 사회학과 상상력, 이데올로기, 비...
인간과사회 1C형] 도서 중 ‘사회학’과‘사회학하기’생각하면서 작성 - 지난 5년간 우리 사회의...
[교육 사회학]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과 교육사회학의 성립과 발전 과정(한국 교육사회학...
[교재요약정리] 교육사회학 - 갈등주의 패러다임 (갈등주의 이론, 갈등주의 교육사회학 패러...
[교육사회학] 기능주의 교육이론, 갈등주의 교육이론, 신교육사회학 교육이론의 이론적 특...
[사회학] 사회학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고 사회학은 어떤 학문인가를 서술하시오.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관련 경쟁하는 이론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제시하고 설명하시오...
사회학이 구조가 아닌 인간들의 상호작용 행위를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해의 사회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