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가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가정의 중요성

2. 가정의 기능

3.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격특성

4. 현대가정의 특징

5. 가정교육의 올바른 방향

본문내용

다.
이상으로 교육의 세 마당 중의 하나인 가정의 의의와 기능 그리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하였다. 사회가 급변하고 인간의 가치, 특히 교육적 가치가 변한다고 해도 인간이 인간으로 남아있어야 하는 한 가정교육의 중요성은 계속 강조될 것이다.
일찍이 이율곡 선생은 『聖學輯要』의 「正家篇」 제일절에서 다음과 같이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가르친 바 있다.
즉, "부모가 부모의 할 일을 하고, 자식이 자식의 할 일을 하며, 형이 형의 할 일을 하고, 아우가 아우의 할 일을 하며, 남편이 남편의 할 일을 하고, 아내가 아내의 할 일을 할 것 같으면 집안의 규범이 바로 서게 되고, 집안이 바르게 되면 천하가 안정된다.", "부자, 형제, 부부가 각기 그 도를 지킬 수가 있다면 곧 그 집안의 家道가 바로 서게 된다. 한 집안의 가도를 미루면 천하의 모든 일에 미칠 수 있다. 옛부터 聖王은 자기를 공손하게 하고 집안을 바르게 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지 아니한 일이 없다. 그러므로 그 집안의 가도가 이미 지극하면, 근심하거나 수고하지 아니하여도 천하는 다스려진다. 사감의 도리와 기강을 바르게 하고, 은혜와 덕을 드텁게 하는 것이 집안 살마이 해야 할 道義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오질어나 문어는 뼈가 없으니 줏대없는 아이를 낳게 되고, 토끼는 눈이 붉고 입이 째져 있으니 아니도 그처럼 되고, 게는 옆으로 보행하니 아이도 그렇게 된다.'고 믿었다. 그래서 임신 중에는 그런 음식을 먹지 않는 등 子女의 태아교육에까지 정성을 다해 왔다. 오늘날의 과학의 눈으로 보면 임신 중의 식사에 대한 이런 주의사항은 분명히 미신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의 지성에 깊은 감동을 받는다. 우리는 조상의이런 정성을 이어받아 슬기로운 가정교육을 통해서 의롭고 굳센 다음 세대를 길러내기 위한 터전을 닦아 주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하여 한국의 부모는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고, 온 가족이 지혜를 다하여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또한 정치가는 국민의 안정된 가정생활을 즐길 수 있게 제도적인 보장을 해주어야 하고, 교육자들은 가정교육에 관련된 문제들을 보다 여러 측면에서 계속 연구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각종 매스컴은 보다 양식있는 교육적 견지에서 운영해야 한다. 특히 현대학교는 아동,학생이 장차 슬기로운 아버지, 어머니가 될 수 있게 부부와 부모윤리를 포함한 가정교육론을 남,녀 모두에게 올바로 가르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