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본문내용
염 경로 : Mansonia와 Anopheles 모기에 의해서 주로 전파
다. 회선사상충증
- 열대, 아열대 아프리카의 저지대의 강유역과 중남미의 고산지대에서 유행
-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 감염 경로 : 먹파리(black fly, Simulium spp.)가 흡혈할 때 사상유충이 감염
라. 로아사상충증
-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의 늪지에 분포
-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 감염 경로 : 흡혈성 등에(Chrysops spp.)가 흡혈할 때 유충이 감염
(3) 임상 소견
가. 반크롭프트사상충증
- 급성 림프사상충증
· 사상충 발열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식욕부진, 구토 등의 증상이 3-7일간 있다가 저절로 소실됨
· 림프관염 및 림프선염
팔, 다리는 물론 정삭염, 부고환염 등 발증 범위가 넓음. 음낭 부종, 발적 등이 반복됨
· 남자에서는 음경, 음낭이 침범되어 유미뇨(chyluria)가 있을 수 있으며, 여자에서는 유방, 대음순
등에 병변이 나타날 수 있음
- 만성 림프사상충증
· 상피증 : 팔, 다리, 음낭의 림프부종이 비가역적으로 형성된 경우
나. 말레이사상충증
- 반크롭프트사상충 감염시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나 체간을 침범하는 경우가 없고 유미뇨의 배출도 없으며 전반적으로 증상이 가벼움
- 상피증 : 비가역적인 림프부종이 주로 팔과 다리에 국한되어 나타나 피부와 팔, 다리가 두꺼워짐
다. 회선사상충증
- 피부 증상 : 피하결절, 발진, 소양감, 피부노화, 피부탄력 소실로 인한 탈장 등
- 안과 증상 : 각막염, 맥락막염, 치료하지 않고 장기간 지속될 경우에는 실명
라. 로아사상충증
- 성충이 피하조직을 이행하면서 특징적인 calabar swelling(일시적 부종) 또는 fugitive swelling (도망 다니는 부종)이라고 불리는 피하 부종이 가장 특징적 주로 손등과 팔에 잘 나타나고 피하나 결막 아래로 충체가 기어가는 것을 환자가 발견할 수도 있음
(4) 검사실 소견
가. 반크롭프트 및 말레이사상충증
- 야간 혈액의 후층도말(thick smear) 염색에서 microfilaria를 확인하면 진단
- 면역학적 진단 : 보조적인 방법으로 혈액내 항원이나 항체를 검사
나. 회선사상충증
- 호산구 증가
- 피하결절 생검에서 성충이나 자충을 증명하면 진단
- 각막 세극등 검사에서 자충을 검출하여 진단
다. 로아사상충증
- 호산구 증가
- 결막이나 피하를 기어가는 충체를 확인하여 진단
- 낮에 채취한 혈액에서 자충을 확인하여 진단
(5) 치료 및 환자 격리
가. 반크롭프트 및 말레이 사상충증
- Diethylcarbamazine (DEC)
· 6mg/kg/day 용량으로 12일간 경구투여
·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죽이며 성충은 일부에만 효과가 있음
· 사상충발열과 림프관염의 재발을 방지하고 림프부종이나 초기 상피병에도 효과가 있음
- 상피병의 치료 : 취침시 하지를 올리는 방법, 압박붕대, 감염방지, 이뇨제의 사용 등으로 림프부종이나 상피병의 악화를 최대한 지연시킴
나. 회선사상충증
- Ivermectin 150mg/kg를 1회 투여하며, 유행지에서는 1-2년에 한 번씩 복용
- Diethylcarbamazine (DEC)은 자충을 너무 빨리 죽여 충체가 있는 각 부위의 염증을 급속히 악화시키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함
다. 로아사상충증
- 성충을 병변에서 발견하면 즉시 외과적으로 제거
- Diethylcarbamazine 6mg/kg를 3주간 투여하면 자충은 죽지만 성충에 대한 효과는 불확실함
자충의 농도가 높을 경우 대량으로 죽으면서 중추신경계 경색을 일으킬 수 있음
- Mebendazole 100-500mg을 매일 3회, 4-6주간 사용하면 성충은 죽지 않으나 자충은 서서히 죽어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적게 발생함
(6) 예방
-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5. 포충증 (Hydatidosis)
(1) 정 의
- Echinococcus granulosus(단방조충)의 유충에 의한 감염증
(2) 역학적 특성
- 목축업이 발달한 지역에서 목장을 중심으로 유행 :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북부 및 남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중동, 일본, 필리핀 등
- 국내에서 보고된 예중 대부분이 외국에서 감염되어 귀국한 수입 증례이나, 1예는 외국에 나간 경험이 없는 환자여서 국내에서도 감염 가능성이 있음
- 목동과 어린이에서 호발
- 종숙주 : 육식성 동물인 개, 이리, 늑대, 여우, 퓨마, 하이에나, 쟈칼 등
- 중간숙주 및 보유숙주 : 주로 초식동물로 원숭이, 비비, 코끼리, 영양, 사슴, 순록, 들소, 야생라마, 기린, 캥거루, 얼룩말, 양, 소, 돼지, 말, 염소, 낙타 등
- 감염 경로 : 주로 감염동물, 특히 개와의 접촉에 의해 충란이 경구적으로 섭취되어 감염되거나, 충란에 오염된 먼지, 채소, 가구 등이 감염원이 됨
(3) 임상 소견
- 낭종 형성 : 간(66%), 폐(22%), 신장, 뇌, 근육, 비장, 안구, 심장, 골수 등
- 발열, 황달, 복통, 무력증, 기침, 객혈, 호흡곤란, 흉통 등 낭종 형성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남
- 합병증 : 색전, 농양, 전이, 쇽(anaphylaxis)
(4) 검사실 소견
- 백혈구 증가(호산구 증가)
- 각종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낭종을 발견
- 수술후 낭종을 적출하여 낭액으로부터 원두절을 검출하여 확진
- 생검시 낭액이 주변 조직으로 유출되면 daughter cyst를 만들기도 하고 쇽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생검은 하지 말아야 함
(5) 치료 및 환자 격리
- 외과적으로 낭종을 적출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 방법
- Mebendazole이나 albendazole을 수개월간 사용하여 효과를 보았다는 보고도 있으나 입증되지 않았으며, 다만 낭종 적출후 복용하는 것은 추천되고 있음
(6) 예방
- 유행지역에서는 개와의 접촉을 피하고,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을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것이 최상의 예방책
다. 회선사상충증
- 열대, 아열대 아프리카의 저지대의 강유역과 중남미의 고산지대에서 유행
-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 감염 경로 : 먹파리(black fly, Simulium spp.)가 흡혈할 때 사상유충이 감염
라. 로아사상충증
-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의 늪지에 분포
- 국내에는 분포하지 않음
- 감염 경로 : 흡혈성 등에(Chrysops spp.)가 흡혈할 때 유충이 감염
(3) 임상 소견
가. 반크롭프트사상충증
- 급성 림프사상충증
· 사상충 발열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식욕부진, 구토 등의 증상이 3-7일간 있다가 저절로 소실됨
· 림프관염 및 림프선염
팔, 다리는 물론 정삭염, 부고환염 등 발증 범위가 넓음. 음낭 부종, 발적 등이 반복됨
· 남자에서는 음경, 음낭이 침범되어 유미뇨(chyluria)가 있을 수 있으며, 여자에서는 유방, 대음순
등에 병변이 나타날 수 있음
- 만성 림프사상충증
· 상피증 : 팔, 다리, 음낭의 림프부종이 비가역적으로 형성된 경우
나. 말레이사상충증
- 반크롭프트사상충 감염시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나 체간을 침범하는 경우가 없고 유미뇨의 배출도 없으며 전반적으로 증상이 가벼움
- 상피증 : 비가역적인 림프부종이 주로 팔과 다리에 국한되어 나타나 피부와 팔, 다리가 두꺼워짐
다. 회선사상충증
- 피부 증상 : 피하결절, 발진, 소양감, 피부노화, 피부탄력 소실로 인한 탈장 등
- 안과 증상 : 각막염, 맥락막염, 치료하지 않고 장기간 지속될 경우에는 실명
라. 로아사상충증
- 성충이 피하조직을 이행하면서 특징적인 calabar swelling(일시적 부종) 또는 fugitive swelling (도망 다니는 부종)이라고 불리는 피하 부종이 가장 특징적 주로 손등과 팔에 잘 나타나고 피하나 결막 아래로 충체가 기어가는 것을 환자가 발견할 수도 있음
(4) 검사실 소견
가. 반크롭프트 및 말레이사상충증
- 야간 혈액의 후층도말(thick smear) 염색에서 microfilaria를 확인하면 진단
- 면역학적 진단 : 보조적인 방법으로 혈액내 항원이나 항체를 검사
나. 회선사상충증
- 호산구 증가
- 피하결절 생검에서 성충이나 자충을 증명하면 진단
- 각막 세극등 검사에서 자충을 검출하여 진단
다. 로아사상충증
- 호산구 증가
- 결막이나 피하를 기어가는 충체를 확인하여 진단
- 낮에 채취한 혈액에서 자충을 확인하여 진단
(5) 치료 및 환자 격리
가. 반크롭프트 및 말레이 사상충증
- Diethylcarbamazine (DEC)
· 6mg/kg/day 용량으로 12일간 경구투여
· 마이크로필라리아를 죽이며 성충은 일부에만 효과가 있음
· 사상충발열과 림프관염의 재발을 방지하고 림프부종이나 초기 상피병에도 효과가 있음
- 상피병의 치료 : 취침시 하지를 올리는 방법, 압박붕대, 감염방지, 이뇨제의 사용 등으로 림프부종이나 상피병의 악화를 최대한 지연시킴
나. 회선사상충증
- Ivermectin 150mg/kg를 1회 투여하며, 유행지에서는 1-2년에 한 번씩 복용
- Diethylcarbamazine (DEC)은 자충을 너무 빨리 죽여 충체가 있는 각 부위의 염증을 급속히 악화시키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함
다. 로아사상충증
- 성충을 병변에서 발견하면 즉시 외과적으로 제거
- Diethylcarbamazine 6mg/kg를 3주간 투여하면 자충은 죽지만 성충에 대한 효과는 불확실함
자충의 농도가 높을 경우 대량으로 죽으면서 중추신경계 경색을 일으킬 수 있음
- Mebendazole 100-500mg을 매일 3회, 4-6주간 사용하면 성충은 죽지 않으나 자충은 서서히 죽어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적게 발생함
(6) 예방
- 유행지역으로 알려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5. 포충증 (Hydatidosis)
(1) 정 의
- Echinococcus granulosus(단방조충)의 유충에 의한 감염증
(2) 역학적 특성
- 목축업이 발달한 지역에서 목장을 중심으로 유행 :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북부 및 남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중동, 일본, 필리핀 등
- 국내에서 보고된 예중 대부분이 외국에서 감염되어 귀국한 수입 증례이나, 1예는 외국에 나간 경험이 없는 환자여서 국내에서도 감염 가능성이 있음
- 목동과 어린이에서 호발
- 종숙주 : 육식성 동물인 개, 이리, 늑대, 여우, 퓨마, 하이에나, 쟈칼 등
- 중간숙주 및 보유숙주 : 주로 초식동물로 원숭이, 비비, 코끼리, 영양, 사슴, 순록, 들소, 야생라마, 기린, 캥거루, 얼룩말, 양, 소, 돼지, 말, 염소, 낙타 등
- 감염 경로 : 주로 감염동물, 특히 개와의 접촉에 의해 충란이 경구적으로 섭취되어 감염되거나, 충란에 오염된 먼지, 채소, 가구 등이 감염원이 됨
(3) 임상 소견
- 낭종 형성 : 간(66%), 폐(22%), 신장, 뇌, 근육, 비장, 안구, 심장, 골수 등
- 발열, 황달, 복통, 무력증, 기침, 객혈, 호흡곤란, 흉통 등 낭종 형성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남
- 합병증 : 색전, 농양, 전이, 쇽(anaphylaxis)
(4) 검사실 소견
- 백혈구 증가(호산구 증가)
- 각종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낭종을 발견
- 수술후 낭종을 적출하여 낭액으로부터 원두절을 검출하여 확진
- 생검시 낭액이 주변 조직으로 유출되면 daughter cyst를 만들기도 하고 쇽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생검은 하지 말아야 함
(5) 치료 및 환자 격리
- 외과적으로 낭종을 적출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 방법
- Mebendazole이나 albendazole을 수개월간 사용하여 효과를 보았다는 보고도 있으나 입증되지 않았으며, 다만 낭종 적출후 복용하는 것은 추천되고 있음
(6) 예방
- 유행지역에서는 개와의 접촉을 피하고,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을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것이 최상의 예방책
추천자료
영유아 예방접종 대상, 시기, 방법, 이상반응, 금기
보건소 예방접종실 컨퍼런스
아동간호학- 예방접종
[간호학]예방접종
HEPATITIS
법정 전염병
2013년 1학기 아동발달 중간시험과제물 A형(영아기의 애착발달에 대하여)
2013년 2학기 세법 중간시험과제물 B형 (세법의 형식적 제약)
2015 특수아교육B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최근 어떠한 방향에서의 ...
[의료사회사업론 B형]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변천, 급여, 개선방안 등에 대하여 ...
아동 간호학 - 아동 예방접종 정리
(영유아교사론B형 2016) 교육관에 따른 교사의 자질을 설명하고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
예방접종메뉴얼(백신사진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