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국내적으로는 다시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증가하고 노동자의 파업이 발생하는 등 잠재되어있던 국내문제들이 다시 표출되었으며, 국외적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의 승리자로 나타난 공산주의 국가인 소련의 팽창이 위협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당시의 트루먼 행정부는 동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 있어서의 소련과 공산주의의 팽창에 대응하기 위하여 “포위정책”을 폈으며, 전세계적으로 공산화의 위험을 안고 있는 나라들에게 군사 및 경제 원조를 제공함으로써 냉전시대가 열렸다. 즉 미국은 군사적으로는 서방국가들의 군사동맹을 위하여 북대서양 조약기구를 창설하여 소련이 주도하는 공산화의 위협에 대항하고, “마셜 플랜”이라는 유럽부흥법을 통해 유럽에 경제적인 지원을 함으로써 공산화를 사전에 방지하고 국제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간의 냉전은 중국의 공산화로 아시아로 확대되었으며, 그 결과 1950년에는 한국전쟁이 발발하였다. 미국내적으로는 공산주의자들과 공산주의 단체들의 등록을 의무화하도록 한 국가보안법 일명 메카란법이 제정되는 등 미국내 공산주의자에 대해 철저하게 통제하는 반공운동이 일어났으며, 미국내 극단적인 반공주의인 메카시즘은 공포정치를 불러오기도 했다.
추천자료
미국의 독립혁명 과 종교개혁 및 1차 세계대전
2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제 무역의 변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스페인 프랑코 정권하의 정치, 외교
제국주의(Imperialism)와 제 1차 세계대전
1·2차 세계대전후의 민족주의에 대한고찰
2차 세계대전과 원자탄 개발
1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의 외교정책 연구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노동당 정권과 보수당 정권의 경제정책수행 과정
[과외]중학 사회 2-08 제1차 세계대전과 전후 세계 03
2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주의
제1차 세계대전과 미국의 참전
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였는가
경제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