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사이로 부는 바람 - 바람난 가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 사이로 부는 바람 - 바람난 가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선정이유

*줄거리

*작품분석

*Review

*영화 속에 나타난 문제점과 그 해결책

본문내용

한다는 것이다.
"다른 애들은 엄마들이 배 아파서 낳았다고 하는데 나는 엄마가 가슴이 아파서 낳았대요" 엄마를 토닥거릴 줄 아는 조숙한 아이이며 가정을 지탱하는 유일한 끈으로 아들이 죽음으로 해서 가족은 해체된다.
아들은 왜 죽는가? 감독이 말하길 "우리는 다 느닷없이 죽지 않아요?" 라고 한다. 우리의 가족은 어떠한가? 느닷없이 찾아오는 불행을 견디어 낼만큼 견고한가? 감독은 가족의 유일한 결속을 제거함으로써 마지막을 보여준다. 해체된 가족의 모습을 통해 그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⑤ 주영작과 성지루
주영작이 중상위층이라면 성지루는 하위 층이다. 성지루가 영작의 아들을 죽이는 장면은 자연스럽고 경쾌함을 강조하는 영화 분위기를 일탈한다. 영작은 교통사고 후 바람 핀 것을 은폐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위선적 행동을 보이고, 그 대가로 아들을 잃고 가족 붕괴의 일차적 책임을 지게 된다. 성지루가 사회적 약자로서의 피해의식이 폭발하여 영작의 아들을 던지는 장면으로 빈부격차 등의 우리 사회 구조적 모순을 드러내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부유층이 가족해체나 정의롭지 못한 문화를 만들고 있다는 말을 하려는 것인가?
<그렇다면 문제점과 해결책은 무엇일까?>
가족이 그들의 공동의식을 잃어버렸을 때 그 최후의 종말은 비극이었다. 임상수 감독이 의도했던 것은 가족이 스스로 가족임을 포기했을 때, 아니 가족의 형태를 외부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내면으로는 그것을 파괴 시킬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그 책임이 결국 누구에게로 돌아가는가를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다.
바람 즉 불륜이라는 소재는 요즘 우리 현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한창 인기를 몰고 있는 드라마들도 불륜이란 흔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즐겨 보는 이유는 더 이상 불륜이 남의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 옛날 그 시절엔 어느 남편이 첩을 데려온들 조강지처가 한마디 할 수 있었겠는가. 그러나 이러한 모습들은 성개방화의 단면을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매번 신문을 다양하게 장식하는 기사거리 중 대부분은 남편 혹은 아내의 외도 등의 의한 가정해체이다. 그로 인해 따라오는 부수적인 문제들. 즉 이혼급증과 더불어 이혼으로 인한 고아발생 등이 그것이다.
영화 속 사랑에서는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서로에게 충실하지 못한 채 다른 사람과의 외도를 하고 또한 그것이 오직 성적 욕구 충족을 위한 듯 보인다. 오히려 자신의 만족을 위해 상대 배우자에 대한 방관적인 태도를 취한다. 이것은 우리 시대의 사랑을 대변하는 모습으로 사랑을 위한 전제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교제기간도 짧아지고 만남 또한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한 만남으로 이어 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의 상대방들은 자신들의 성적행위에 대한 책임감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다. 그 예로 혼전임신, 그로인한 낙태 등등....... 이런 인스턴트식의 만남 우리는 지속해야 하는 것일까?
이 영화를 통해서 우리는 우리시대의 사랑을 엿볼 수 있다. 한 가족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우리에게 오늘날 사랑의 의미를 알려준다. 이전 영화들이 보여줬던 사랑의 모습은 사랑을 받는 대상이 주로 외부에 있었다. 애인에 대한 헌신, 희생 등 외부대상에게 쏟는 모습이었으나 오늘날 특히 바람난 가족에서 보여주는 사랑은 사랑을 받는 대상이 외부에 있지 않고 내부에 있다. 즉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자신의 부족한 부분 혹은 공허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사람을 만나고 사랑을 한다.
사랑 자체가 원래부터 자기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행위일수도 있다. 하지만 과거에는 사회적 규범, 관습, 예절 같이 규약 때문에 표면적으로 들어 나지 않다가 점점 솔직함을 추구하는 사회풍토와 쾌락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로 이러한 모습들이 점점 노골적으로 들어 나고 있다. 사랑을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자기만족이다.
우리는 이렇게 ‘바람난 가족’이라는 영화를 통해서 가족이 스스로 가족임을 포기했을 때 또는 가족의 형태를 외부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내면으로는 그것을 파괴 시킬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그 책임이 결국 우리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신의 부족한 부분 혹은 공허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가장 큰 힘이 바로 가족이라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영화를 통해 우리가 위에서 살펴보았던 문제들 또한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그 사랑의 진정한 의미를 되찾을 때야 비로소 해결 될 것이며, 지금 이시대의 젊은이들이 쉽게 취급하는 인스턴트식의 사랑도 그 한계를 넘어서 진정한 사랑이 될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5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