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일시
3. 실험목적
4. 실험재료
5. 실험 방법
6.실험 과정
7. 결과
실험방법 Ⅱ
결과
실험방법 Ⅲ
실험과정
결 과
실험방법 Ⅳ
실험과정
결 과
TLC 확인
TLC 결과
2. 실험일시
3. 실험목적
4. 실험재료
5. 실험 방법
6.실험 과정
7. 결과
실험방법 Ⅱ
결과
실험방법 Ⅲ
실험과정
결 과
실험방법 Ⅳ
실험과정
결 과
TLC 확인
TLC 결과
본문내용
이 가능하다.
hesperidin
naringin
TLC 확인
ⓐ toluene:ethyl formate:formic acid
= 5 : 4 : 1
ⓑ methylene chloride : MeOH : water
= 90 : 20 : 2
spot 순서 ①anthraquinone 대황②yellow pigment 대황 ③강황 ④황백⑤계피 ⑥지실
TLC 결과
전개 용매 ⓐ에서 올린 TLC를 보면 실험 (1)의 대황에서는 chrysophanol의 spot 하나만 관찰 되었으며, 실험 (2)의 대황에는 chrysophanol을 비롯한 세 개의 spot이 관찰되었다. 강황에서는 끌리기는 했지만 두 개의 spot이 관찰되었고, 계피는 한 개, 지실은 4개의 spot이 관찰 되었다. 전개용매 ⓐ에서 황백의 spot이 움직이지 않았는데 수용성이 상당히 큰 전개 용매 ⓑ에서는 황백의 spot이 세 개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성분이 UV에 detection 되어 각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황백의 경우 이동상의 지용성과 수용성에 따라 다른 Rf값을 보였다. TLC전개시 물을 잘 말려야 하고, spotting 시에는 여러번 찍어야 관찰가능하였다.
hesperidin
naringin
TLC 확인
ⓐ toluene:ethyl formate:formic acid
= 5 : 4 : 1
ⓑ methylene chloride : MeOH : water
= 90 : 20 : 2
spot 순서 ①anthraquinone 대황②yellow pigment 대황 ③강황 ④황백⑤계피 ⑥지실
TLC 결과
전개 용매 ⓐ에서 올린 TLC를 보면 실험 (1)의 대황에서는 chrysophanol의 spot 하나만 관찰 되었으며, 실험 (2)의 대황에는 chrysophanol을 비롯한 세 개의 spot이 관찰되었다. 강황에서는 끌리기는 했지만 두 개의 spot이 관찰되었고, 계피는 한 개, 지실은 4개의 spot이 관찰 되었다. 전개용매 ⓐ에서 황백의 spot이 움직이지 않았는데 수용성이 상당히 큰 전개 용매 ⓑ에서는 황백의 spot이 세 개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성분이 UV에 detection 되어 각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황백의 경우 이동상의 지용성과 수용성에 따라 다른 Rf값을 보였다. TLC전개시 물을 잘 말려야 하고, spotting 시에는 여러번 찍어야 관찰가능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