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시장 진출에 성공한 기업의 사례 - 파리바게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회사 소개
1. 개요
2. 경영이념 및 연혁
3. 파리바게트의 SWOT분석

Ⅲ. 본론
1. 5C분석
2. STP분석
3. 5P전술

Ⅳ. 결론
1. 파리바게트 성공 요인
2. 향후계획
3. 시사점

본문내용

수 있는 웰빙 제품 무스케익 다양한 재료를 응용한 샌드위치 등을 음료와 함께 즐길 수 있는 베이커리 카페 스타일(내부 인테리어는 철저한 유럽풍을 지향)로 차별화 하였다. 또한 기존의 빵과 케이크의 제품 카테고리를 빵, 케이크, 조리빵, 샌드위치, 선물류로 확대 및 세분화한 재편성으로 매장에서 직접 만든 조리빵과 샌드위치 다양화로 신선한 이미지를 강조하였고 고급스러운 제품구성과 포장을 강조한 선물류를 보강하여 브랜드를 고급화 하고 있다.
소비자의 오감(五感)에 근거한 시장 선도형 제품개발로 소비자의 기호변화에 대응하고 점포 컨셉도 기존의 테이크아웃 판매위주의 베이커리에서 탈피하였다. 또한 업계 최초로‘패밀리 카드’발행을 통해 고객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것을 ‘해피포인트 카드’로 운영함으로써 CRM 기반을 마련했다. 한편 파리바게트 홈페이지(www.paris.co.kr)를 통한 다양한 컨텐츠와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의 고급화를 통한 차별화와 고정고객 확보를 위한 프로모션, FC사업 노하우의 집결이 파리바게트의 중국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이다.
2. 향후계획
SPC는 베이커리 본고장이 미국과 중국에 파리바게트 브랜드의 컨셉 그대로 진출해 베이커리 문화를 성공적으로 선도하였다. 미국에서는 지난 해 10월 LA에 파리바게트 1호점을 성공적으로 오픈하였고, 향후 미국 동부 지역으로도 브랜드를 전파, 확산시킬 목표로 진출을 준비 중에 있다.
중국의 경우에는 향후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0년 상하이 엑스포를 기점으로 화둥 둥베이, 광둥 지역에 500여 개의 점포를 오픈 할 계획이다.
SPC는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로 고객으로부터 사랑과 신뢰를 받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 가는 기업”이 되고자 하는 비전과 중국 상하이를 기점으로 칭다오와 베이징을 연결하고 베트남, 인도 등을 연결하는 Global Belt를 구축하여 2020년 세계 제 1의 제과제빵 전문그룹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나아갈 것이다.
3. 시사점
국내 대표적 제빵업체 가운데 한 곳인 파리바게트가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는 점이 일단 가장 크게 행보가 주목되는 점이다. 파리바게트는 중국 상하이 구베이에 1호점을 여는 것을 시작으로 중국 베이커리 시장에 뛰어들었다. 구베이 지역은 상하이에서도 소득과 소비 수준이 가장 높은 외국인 집단 거주지역이다. 이렇듯 파리바게트는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한 시장을 공략하여 마케팅을 시도함으로서 중국진출의 성공을 이루어냈으며 현재는 고소득층뿐만 아니라 일반 고객에 까지 확대해 나가고 있고 실제로 그 효과가 크다.
중국 시장에서 빠르게 정착할 수 있었던 힘은 한 박자 빨리 수요변화에 대응했기 때문이다. 2004년 초 상하이의 빵집은 미리 만들어 파는 진열식에서 현장 생산 방식으로 전환하려는 조짐이 있었는데 이에 한 발 먼저 전 제품의 현장생산을 시작해 시장을 주도한 것이 주효한 것이다. 파리바게트는 중국베이커리협회로부터 ‘중국 제빵 문화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SPC는 단독투자 형태로 진출함에 따라 고유 브랜드인 ‘파리바게뜨’를 그대로 사용할 뿐 아니라, 현지 공장까지 직접 운영해 중국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을 계획을 세워 그 단계를 차근히 밟아 가면서 성공에 이르렀으며 파리바게트는 현지 공장과 매장에서 매일 생산하는 한국과 차이를 두지 않는 전략으로 진출하여, 신선한 빵과 함께 음료를 즐기는 ‘베이커리 카페’식 운영으로, 앞서 입점한 대만과 홍콩의 브랜드와 차별화를 꾀한다는 전략으로써 성공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또한 기본적인 형태는 국내의 파리바게트를 그대로 도입한다는 전략을 활용했지만, 중국에 안정적 지출을 위해 유럽풍 베이커리를 통한 ‘제품의 고급화’를 시도하였고 기존 중국의 ‘단과자빵’중심의 베이커리가 발달한 점을 착안해 중국 현지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제품군으로, 페스츄리, 샌드위치, 무스케익, 타르트, 곡물을 이용한 웰빙 빵 등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 냄으로써 중국진출을 성공적으로 이루어 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기존에 이미 진출해 있었던 기업들과는 다르게 차별성과 서비스 또 ‘카페 베이커리’라는 새로운 장르의 개발로 우리기업의 아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아주 좋은 성과를 올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남방지역은 중국 타이완과 일본계 베이커리가 어느 정도 보급되어 비교적 서구식 베이커리에 익숙해져 있지만, 북방지역은 전통적인 식문화로 인해 베이커리 사업이 다양화되지 못했고, 기존의 외지기업 투자에 대한 각종규제로 인해 유수한 외국기업이 쉽사리 매장을 열지 못한 이유도 있었다. 이런 무대 위에서 한국계 베이커리 업계들의 잇따른 베이징 지점 진출은 새로운 시장 개척과 실험이라는 면에서 행보가 주목되고 있으며, 다른 외국계 베이커리 업체보다는 더욱 구체적이고 공격적인 마케팅이 전개되고 있어 북방지역을 기반으로 전국의 베이커리 산업을 선점해 나간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참고문헌 및 출처 -
파리바게트 http://www.paris.co.kr/
http://www.spc.co.kr/
김용준, [CHINA MARKETING] (박영사, 2004) p.16, 17, 142, 225
외식경제신문 2005.08.25
식품외식경제신문 2005.10.21
식품음료신문 2005.03.08
조선일보 2007.03.07
조선일보 2007.03.08
한국경제신문 2005.01.05
한국경제신문 2006.08.13
동아일보 경제 2006.09.18
뉴스메이커 2006.08.09
한겨레신문 2004.09.09
한국식품정보원
http://blog.naver.com/changhac88/1400566580
http://blog.naver.com/arrighi/30007320388
http://blog.naver.com/css708/60029102210
http://blog.naver.com/shinyshysky/140016681792
http://company.paris.co.kr;company/about/about_11.html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3.0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