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케이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case study)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3)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Ⅱ. 문헌고찰
1) 병리 및 생리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Ⅲ.본론
1. 간호사정
1) 간호력 및 신체검진
2) 입원후 경과

간호과정

본문내용

증, 임질, 수술후 감염예방 등
성인 1회 1.5~3g을 1일 3~4회 정주 또는 근주
주사부위 통증, 정맥염, 빈혈,혈소판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무과립구증, 구역, 구토, 복부 팽만, 고창, 설사 , 위염, 구내염, 가려움증 등
펜실린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전염성 단핵증 환자
Menoxine
월경곤란증, 치아조직의 염증,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급성상기도염, 수술후 동통
1회 50~100mg씩 1일 2회 경구토여. 필요시 1회 200mg을 1일 2회까지 투여가능
가슴 쓰림, 구역, 복통, 어지러움, 졸음,소화성 궤양, 위장 출혈 등
소화성궤양 환자, 아스피린에 과민증 환자, 위장출혈환자, 임부, 수유부, 어린이
<검사소견>
WBC
RBC
Hb
Hct
6/16일 결과
8.02
3.72
12.5
36
정상치
4.0~10.0
4.2~6.3
13~17
39~52
임상적 의의
↑:백혈병,급성감염
↓:재생불량성빈혈,악성빈혈,비장기능항진,과립구감소증
RBC 증가:진성다혈구혈증, 저산소증이 있는 만성폐질환, 이차적인 다혈구증, 혈액이 농축되게 되는 탈수시
RBC 감소:조혈장애, 과다한 혈액세포의 파괴, 혈액소실, 만성질환시
Hb는 세포로 산소를 운반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수치가 감소될 경우 빈혈이 나타날 수 있다.
Hct는 전체 혈액량 중 적혈구 dml 비율로 측정되어 백분율로 나타낸다
검사 목적 및 적응증
①Hb에 따른 혀액소실을 확인하고 혈액대체에 반응하기 위해
②Hb에 따른 빈혈과 빈혈치료를 확인하기 위해
①CBC(Complete blood count) 검사
Abdomen ECT(6/12)
U.G.I-gastro(6/12)
결과
-Stomach posterior aspect 와 pancreas 주위에 fluid collection이 보이고 있음.
-Scan된 right lower lung에도 effusion이 보임.
-기타 특이 소견 없음.
-Early gastric cancer로 laparoscopic subtotal gastrectomy 시행 4일째임.
-Contrast material의 leakage는 보이지 않음.
-Distal passage는 비교적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anastomosis site에 significant l uminal narrowing이나 stricture는 보이지 않음.
② CT와 U.G.I
진단명: EGC 수술명:LADG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진통제 좀 주세요.
- 배가 아파요.
- 머리가 아파요.
- 식은 땀이 나고 추워요.
- 도대체 왜 이렇게 아픈거예요?
객관적 자료
- 통증사정 척도로 8점을 선택하였다. (10점 만점)
- 가만히 있는대도 얼굴을 찡그린다.
- 4일 연속 체온이 37C°이상으로 유지되며 열이난다.
- 이불을 여러겹 겹쳐 덮고 가만히 누워있다.
- 수술전 혈압이 130/90에서 수술후에 160/100 으로 높 게 Check되었다.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통증
목적/ 기대되는결과
- 3일 이내에 통증 사정척도로 5이하를 선택한다.
- 편안한 표정과 자세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 체온과 혈압이 내려가 두통을 호소 하지않는다.
간호계획
① V/S 4hr check한다.
② 통증, 불안척도를 사정한다.
③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④ 통증시 환자와 같이 있어주고 지지하며 불편감을 경청한다.
⑤ POPC를 Pumping한다.
⑥ 통증 자체에만 집중하지 말고 관심을 다른곳으로 돌리게 한다.
⑦ 조기이상(운동)을 격려하고 열이 계속 유지 되면 의사의 처방대로 해열 제를 투여 한다.
과학적근거
① V/S은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이다.
② 대상자의 정확한 통증사정을 통해 그에 맞는 간호를 적용할 수 있다.
③ 편안하고 안정된 체위는 통증을 감소 시킨다.
④ 신뢰감이 형성되며 경청은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⑤ 진통제 투여는 통증을 감소 시킨다.
⑥ 통증이 아닌 다른 즐거웠거나 행복했던 일등을 회상하게 해 통증을 경 감 시킬 수 있다.
⑦ 운동과 해열제는 체온 감소에 효과가 있다.
간호수행
모두수행 했음.
평가
- 대상자의 통증 사정 척도가 8점에서 4점으로 통증이 감소되었다.
- 통증이 감소되어 편안함을 표현한다.
- 체온과 혈압 모두 정상범위이며 두통호소가 없다.
Ⅳ. 결론
<사례요약>
나의 case 환자는 EGC환자로 2006. 6. 7일 입원하였다. type Ⅱc (T1N0M0) 으로 6. 8일 subtotal gastrectomy 수술을 하셨다. 수술 후 객담과 기침에 용이하도록 가습기를 적용해 주고, 기침과 호흡을 교육하도록 격려했다.
수술이후에 심한 두통과 복통을 호소 하였고 원래 고혈압약을 복용하다가 수술로 인하여 복용을 못하여 혈압도 높으셨다.
열도 많이 나셔서 해열제와 진통제를 투여했고, 다행히 6. 14일 부터는 심한 통증 호소 하지 않으셨고 gas가 나오셔서 NPO에서 SFD로 그리고 위절제후 식이로 바꾸셨다.
소화기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위를 subtotal gastrectomy 했기 때문에 식이 섭취에 관한 교육이 필요했다. 그래서 주의해야할 점 같은 것을 프린트해서 드리고 교육시켰다.
위절제후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o 소량씩 자주 식사한다. (3끼 정규 식사와 2-3회 간식)
o 너무 차갑거나 뜨거운 음식을 피한다.
o 지방은 칼로리가 많고 음식물의 위통과 속도를 늦추므로 식사에 적절히 포함시킨다.
o 식사 도중에는 수분(국, 물)을 너무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하고 식전, 식후 45-60분 정도에 섭취하도록 한다.
o 사탕, 꿀 등의 단순당의 섭취를 제한한다.
o 수술 후 체중감소를 막기 위해 충분한 복합당질 및 단백질, 적당량의 지방을 섭취하여 적절한 열량을 공급한다.
o 식사는 천천히 하도록 하고 식사후에는 15-30분간 비스듬히 누운 자세를 취하여 음식물 통과 시간을 늦춘다.
o 가스 생성 가능성이 있는 향신료나 강한 향의 채소를 제한한다.
o 카페인의 섭취를 제한한다.
Ⅴ. 참고 문헌
<간호진단과 중재> 이은옥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
<성인간호학 下> 전시자 외, 현문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3.04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