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청소년대상 미디어교육의 현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미디어교육의 초기역사 : 사회운동단체, 사회시민단체,종교단체의 미디어‘운동’에서 미디어 ‘교육’으로

III. 1990년대 말 미디어교육의 대중화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구축

V. 나오는 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육은 상당한 인프라를 구축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교회의 미디어교육은 아직도 당위성문제를 논의수중을 넘어서지 못하는 것 같다. 물론 예배 때에나 주일학교 내에서 설교시간에 디지털 미디어를 부분적으로 활용하고 있기도 하지만 이것은 단지 활용수준에서만 그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활용도 교역자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카톨릭은 오래전부터 청소년 담당 성직자, 수도사, 교리교사를 대상으로 2학기 유료과정의 ‘청소년 사목전문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21세기 영상문화시대에는 영상문화에서 청소년 사목을 시작해야 한다고 전제하고 이 과정의 교육목적을 청소년들의 다양한 문화적 환경변화에 대응할 사목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이론과 실습을 통한 강의로 영상매체와 신학을 종합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청소년 사목양성에 두고 있다. 개신교 교회도 21세기 영상문화시대를 대비해서 미디어와 신학을 종합하는 교사들을 양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도 역시 문화의 주체임과 신앙의 주체임을 볼 때 마땅히 세상의 빛으로 살아야할 책임이 있음이 분명하다. 앞선 미디어 교육 습득과 신학적인 내용을 신앙적인 삶으로 종합하여 적용해서 마땅히 세상 속에서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감당해야할 것이다. 21세기 기독교 문화의 창조의 일꾼으로써 청소년을 문화선교사역에 동참시키기 위해서는 미디어교육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겠다.
※ 참고문헌
1. 이정준, 미디어교육론 : 미디어에 살다, 파주:집문당, 2004.
2. 정현선, 청소년 대상 미디어 교육의 현황과 제도화 움직임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청소년연구(Vol. 15. No. 1), 200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3.04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