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다노(GIORDANO)의 마케팅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지오다노 소개
2. SPA와 의류산업 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4P 분석
6. 향후 발전방안

본문내용

매만 하는 소매기능에서 더 나아가 직접 디자인을 기획·생산하는 제조기능을 보다 강화하는 것을 말한다. SPA의 장점은 팔릴 수 있는 상품을 만들기 위해 철저하게 매장 내 예상 고객반응을 토대로 기획·생산·판매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또한 SPA는 기획·생산·유통의 합리화와 비용절감을 통해 가격의 거품을 없앤다. 또 SPA의 경우는 직영의 형태이기 때문에 옷을 만드는 사람의 컨셉이 매장에 직접 전달될 수 있는 고유한 특징이 있다. 대표적인 SPA로는 미국의 갭(GAP), 영국의 넥스트(Next) 등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Giordano와 함께 SK글로벌의 아이겐포스트(Eigenpost)가 대형 직영 매장형태이다.
3) Speed 물류 시스템
지오다노 매장엔 러닝재고를 위한 창고가 없기로 유명하다. 매장 공간은 거의 직접적인 판매시설로 동원된다. 매장의 창고는 중앙 유통센터가 대신하기 때문이다. 지오다노 매장엔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물량과 3일치 매출목표에 해당하는 재고만 준비되어 있다. 지오다노 유통센터는 창고 기능과 배송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한다. 지오다노 코리아는 구로동에 있는 6평 규모의 유통센터에 6주간 러닝 될 재고만 보유한다. 매장과 유통센터 간에 컴퓨터로 연결된 POS시스템에 하루 영업이 끝나면 판매정보가 유통센터에 모두 기록된다. 이 판매정보가 다음날 장사를 위한 매장 주문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충되어야 할 품목과 새로운 상품은 밤늦게 포장되어 아침 일찍부터 배달을 시작해서 매장 문이 열리기 전 매장에 도착하게 된다. “하나가 팔리면 하나를 채워 넣는다.”는 이상적인 물량공급 체제가 실제로 시행되고 있는 것이다.
(4) Promotion
1) 톱모델을 기용한 광고전략
지오다노는 철저히 소비자의 상징적 소비 행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왠지 비싼 옷만 입을 것 같은 연예인인 정우성, 전지현, 장동건, 정려원을 광고모델로 내세움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비록 저가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이미지 포지셔닝이 가능해졌다. 톱모델 기용 광고는 매장의 고급화와 함께 가격 면에서는 중저가이지만 고급스러움을 잃지 않도록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또한 신세대를 대상으로 공격적인 인터넷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홈페이지 역시 다른 타사의 홈페이지와는 달리 기본 모토인 심플함을 강조함과 동시에 다양한 동영상 및 유틸리티를 제공하고 있다.
2) 가치마케팅의 전개
지오다노는 브랜드 이름만으로 살아남는 '프리미엄 브랜드'가 아니라 철저히 상품가치 (Value for Money)를 중시하는 '밸류 브랜드'이다. 구찌와 샤넬 같이 브랜드 로열티에 치중, 명성을 얻기 위해 크리에이티브나, 광고 등 포장하는데 많은 투자를 하는 프리미엄 브랜드와는 달리, 지오다노는 매스 마켓을 겨냥해서 감도보다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하모니를 추구 한다. 과거 80년대 정상을 달리던 여타 캐주얼 브랜드 그룹이 가격 마케팅에 중점을 둔 전략을 추구하다 몰락했지만 지오다노는 가격에 품질을 더한 가치 마케팅을 펴 최고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 지오다노는 고객에게 단순히 브랜드 이름만이 아닌 철저히 상품가치(Value formoney)로 평가받는다는 전략이다. 이것은 다시 대 고객 서비스로 연결된다. 지오다노 매장에 처음 들어서는 대부분의 고객들은 고급스러운 분위기에 깜짝 놀란다. 시장만큼 싼 값의 옷이지만 고객들에게 최고의 쇼핑환경을 제공한다는 게 지오다노의 방침이다.
6. 향후 발전방안
(1) 제품 중심의 다양한 Sub Brand
보통 한 의류 브랜드가 인기를 끌게 되면 좀 더 많은 고객을 포섭하고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Sub Brand를 출시하게 된다. 이러한 Sub Brand들은 모 브랜드의 후광을 이용, 비교적 쉽게 시장에 정착할 수 있는 태생적인 이점도 갖게 마련이다. Sub Brand를 출시할 때 업체들은 대부분 연령을 중심으로 또는 성별을 중심으로 고객을 나누어 “○○○ women”, “○○○ Kids” “○○○ Sports”를 런칭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럴 경우 각 서브 브랜드간 중복되는 제품이 생기게 되어 서브 브랜드 간 차별화도 크게 부각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제품을 중심으로 서브 브랜드를 런칭하면 각 브랜드의 특성이 부각될 수 있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지오다노와 지오다노 Jean이 함께 입점한다면 타 브랜드 진출을 방지하면서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예상도 해본다.
(2) 지오다노존(GIORDANO ZONE)을 통한 고객 Promotion
소비자들이 유명브랜드나 백화점을 신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대형매장이 품질과 가격 서비스 청결도 등에서 작은 점포보다 훨씬 나을 것이라는 고객들의 기대로 인해 메가숍(Mega Shop) 열풍은 명품 업체들의 대형 단독점(Flagship-Store) 확대와 함께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다. 이러한Mega Shop은 엄밀히 말해 Mega Concept Shop, 약어로 MCS라 불리는데 100평 이상의 매장에 단일 브랜드의 제품을 판매하는 새로운 유통형태로 의류뿐만 아니라 패션소품, 잡화, 인테리어 등을 한곳에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지오다노는 대형 매장의 기능을 단순히 보다 많은 제품의 진열이나 제품 판매에서 고객의 체험공간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카페처럼 몇 개의 작은 테이블과 의자들, 그리고 컴퓨터 검색 등이 가능하도록 매장 내에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것이다. 편의시설 확충과 함께 매장 내 이벤트를 벌인다든지 하는 방식으로 고객이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것들을 마련하여 대형 매장 자체를 체험 마케팅의 장으로 활용한다면 지오다노만의 차별화가 가능할 것이다.
<참고자료>
www.giordano.co.kr
www.samsungdesign.net
www.apparelnews.co.kr
www.fashionchannel.co.kr
www.fastretailing.com
www.kaia.or.kr
www.qrsc.or.krwww.hankyung.com
www.economy.hankooki.com
www.munhwa.com
  • 가격1,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04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