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GMO란 무엇인가?
* GMO 개발 방법
1. 아그로박테리움법
2. 원형질 세포법
3. Particle-gun
* GMO 개발 방법
1. 아그로박테리움법
2. 원형질 세포법
3. Particle-gun
본문내용
는 허점이 많다. 표시를 해야 하는 경우는 유전자 조작 성분이 주요 원재료 5가지에 해당하거나, 원료 농산물에 유전자 조작 농산물이 3%를 초과해 들어 있거나, 최종 제품에 유전자 변형 DNA나 외래 단백질이 존재하는 경우다. 이 방법에 따라 콩나물, 두부, 두유는 GMO 사용 여부를 표기하고 있으나 간장 및 식용유(콩기름이나 옥수수유, 카놀라유 등), 각종 옥수수에서 추출한 당류와 그 가공품(포도당, 올리고당, 물엿 등)에는 GMO 표시 라벨을 붙일 필요가 없다. 특히 문제가 되는 건 식용유의 경우. 지금 팔고 있는 식용유의 원료가 되는 콩은 100% GMO는 아니라고 할지라도, 원료 콩에 GMO 콩이 어느 정도 섞여 있는 상태. 자신이 고른 상품의 원료가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먹을 소비자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현실적으로는 없는 셈이다.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반면, 일부 국가는 표시제를 실시해 소비자가 알고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아직도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는 GMO 표시제가 시행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유럽과 미국, 홍콩 등지에서는 GMO를 사용하지 않기로, 심지어 GMO 사료를 먹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축산물조차도 취급하지 않는다고 다국적 식품 기업들(네슬레, 거버, 하인즈, 켈로그, 맥도날드 등)은 선언했다.
* GMO에 대한 나의 생각
- 유전자 조작 식물은 생산력 증대와 우량 품종의 다량 생산으로 식량난에 허덕이는 많은 이들을 구제해 줄 수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자연적으로 자라야할 식물을 인력으로 조작해서 만드는 것이니 만큼 부작용이 없지가 않다. 이 부작용 때문에 GMO를 선진국에서는 달갑게 여기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시각을 식량난에 허덕이고 있는 국민의 시각으로 맞추어 이 GMO 기술을 본다면 얼마나 획기적이고 대단한 것인가? 그런 시대 흐름이라면 이 기술을 개발한 사람은 에디슨 못지 않게 대우받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기술이 개발된 곳도 선진국이고 이 기술을 널리 이용할 수 있고 상품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곳 도 역시 선진국이라서 지금 식품의 안정성과 생태계의 파괴 문제를 가지고 반대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이 기술이 아프리카나 오지에서 식량난에 허덕이는 아이들을 구제해 줄 수 있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먼저 유전자 조작 식물이 해로운지에 대한 여러 가지 검증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나서 이 기술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정도의 선을 그어 놓고 남용을 하지 않도록 세계적으로 규약을 정해야 한다.
더불어서 해충에 강한 식물을 만들 수 있는 것도 이 기술인데, 해충에 상대적으로 강한 식물을 만드는데는 아직 이용하기는 이른 것 같다. 왜냐하면 그렇게 이용하다 보면 생태계에 파괴를 초래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유전자 조작 식물은 무궁무진하게 개발하고 이용할 수 있겠지만, 갑작스럽게 다양한 곳에서 이용하면 혼란을 야기 시키게 되므로 조금씩 검증해 나가며 이용하되, 평화적인 곳에 이용될 시에는 적극 이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반면, 일부 국가는 표시제를 실시해 소비자가 알고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아직도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는 GMO 표시제가 시행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유럽과 미국, 홍콩 등지에서는 GMO를 사용하지 않기로, 심지어 GMO 사료를 먹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축산물조차도 취급하지 않는다고 다국적 식품 기업들(네슬레, 거버, 하인즈, 켈로그, 맥도날드 등)은 선언했다.
* GMO에 대한 나의 생각
- 유전자 조작 식물은 생산력 증대와 우량 품종의 다량 생산으로 식량난에 허덕이는 많은 이들을 구제해 줄 수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자연적으로 자라야할 식물을 인력으로 조작해서 만드는 것이니 만큼 부작용이 없지가 않다. 이 부작용 때문에 GMO를 선진국에서는 달갑게 여기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시각을 식량난에 허덕이고 있는 국민의 시각으로 맞추어 이 GMO 기술을 본다면 얼마나 획기적이고 대단한 것인가? 그런 시대 흐름이라면 이 기술을 개발한 사람은 에디슨 못지 않게 대우받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기술이 개발된 곳도 선진국이고 이 기술을 널리 이용할 수 있고 상품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곳 도 역시 선진국이라서 지금 식품의 안정성과 생태계의 파괴 문제를 가지고 반대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이 기술이 아프리카나 오지에서 식량난에 허덕이는 아이들을 구제해 줄 수 있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먼저 유전자 조작 식물이 해로운지에 대한 여러 가지 검증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나서 이 기술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정도의 선을 그어 놓고 남용을 하지 않도록 세계적으로 규약을 정해야 한다.
더불어서 해충에 강한 식물을 만들 수 있는 것도 이 기술인데, 해충에 상대적으로 강한 식물을 만드는데는 아직 이용하기는 이른 것 같다. 왜냐하면 그렇게 이용하다 보면 생태계에 파괴를 초래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유전자 조작 식물은 무궁무진하게 개발하고 이용할 수 있겠지만, 갑작스럽게 다양한 곳에서 이용하면 혼란을 야기 시키게 되므로 조금씩 검증해 나가며 이용하되, 평화적인 곳에 이용될 시에는 적극 이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친 환경농산물의 유통
유전자변형식품
[식품영양학]GMO(유전자변형식품)의 안전성 논쟁에 관한 고찰 (A+리포트)
[한국농업][농업협상][농산물협상]한국농업의 실태, 한국농업의 문제점, 농업협상(농산물협상...
유전자변형식품의 개발은 허용되어야 하는가
[유전학] 유전자 변형 식품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의 현황 및 활성화방안
GMO(유전자변형식품, 유전자재조합식품)의 목적과 정보표시, GMO(유전자변형식품, 유전자재조...
GMO(유전자 변형 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가 인간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A+ ] 유전자 변형 식품 및 유전자 재조합 식품에 대해 설명하시오.
[A+] 유전자 변형 식품 및 유전자 재조합 식품에 대해 설명.
[A+자료]GMO, LMO에 관한 조별과제, GMO의 장점 단점, LMO의 장점 단점, 사례, GMO 현황, 유...
[국제통상론] 유전자변형식품(GMO : 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이해와 이점,위험성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