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로스, 알렉산더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알렉산드로스, 알렉산더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序論: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진정한 의미

本論: 1.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탄생과 생애

2.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략과 전술

3.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뛰어난 점


結論: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대한 나의 생각

본문내용

차례에 걸쳐 자신의 업적을 디오니소스나 헤라클레스의 업적과 비교해 가며 자신의 신성성에 대해 확신을 갖고 그것을 다른 사람들이 인정하도록 요구하며 자신의 독보적인 입지를 탄탄히 다져나갔다.
또한 마케도니아군에게 가장 큰 위험 중 하나였던 스피타메네스의 반란 진압 과정에서, 수적으로 엄청난 열세에 몰리게 되었던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생존자들에게 현재의 참패 상황을 절대 누설하지 못하도록 강요 하는 등의 우수한 정보 장악력을 보여준다.
(b)이문화에 대한 너그러운 자세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그의 영향으로 철학과 의학, 과학적 탐구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리스인이 아닌 사람들은 노예처럼 다루어야 한다는 스승의 편협한 가르침을 뛰어넘었다. BC 332년 11월에 그는 이집트에 도착했으며 그곳 에서 그는 타 종교에 대한 거부감 전혀 없이 그들의 토착 신인 그리스어로 '아피스' 라고 하는 하피 신에게 이집트의 신성한 황소를 제물로 바치고 파라오들의 전통적인 이중왕관으로 대관식을 치렀다. 또한 토착 제사장들을 회유하고 그들의 종교를 장려하는 정책을 폈다. 이집트의 국민들 역시 이러한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기쁘게 맞아들였다.
또한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마케도니아와 페르시아에서 통용되던 화폐 제도인 복본위제(復本位制) 대신 아테네의 방식에 입각해 은본위제의 새 주화를 제정한다. 이 제도는 도처에서 교역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아울러 페르시아 국고에서 방대한 양의 은괴가 방출된 사실과 더불어 전체 지중해권의 경제에 꼭 필요한 활력소가 되었다. 헌 제도보다 더 좋은 제도가 있으면 주저 없이 바꾸고 그 정책을 강경하게 밀고 나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페리시아 여성과 결혼하고 동방 전제 군주적인 의례를 채용하는 등 오리엔트 문화를 도입하였다. 그 결과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가 융합된 헬레니즘 문화가 탄생하였다.
【참고 자료】
- ‘알렉산더 대왕’ 피에르 브리앙 시공사 1995
- ‘알렉산더 대왕’ 발레리오 들녘 2004
- ‘알렉산더 대왕’ 유한준 대일출판사 1999
- 네이버 백과사전
Ⅲ. 結論
지금까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탄생부터, 그가 수많은 전투에 참가하여 많은 전쟁을 하는 가운데 발휘한 다양한 전략, 전술들에 관하여 다루었다. 비록 앞서서는 그의 두 가지 전략에 관하여만 다루었으나, 나는 그에게는 앞서 서술하였던 것 보다 더 많은 것들이 그의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으리라 자신한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투, 전략 전술에 관하여 공부를 하고, 나름의 생각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같은 사람이 동양에 과연 있을까? 견주어 보다가 진시황을 생각해 내었다. 비록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마케도니아처럼, 진시황이 사라지자 영원할 것만 같았던 그의 진도 멸망하였지만, 또한 역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역사에 기억될 위대한 업적을 이루고, 그 영향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처럼, 진시황의 조정과 선견지명이 없었다면, 중국은 하나의 국가로 발전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로마에 문명을 가져다 주고, 로마의 세계국가 창출에 기여하고 나아가 그리스도교로 하여금 로마를 정복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은 바로 이 헬레니즘 시대의 문화였다. 강력한 힘만이 그러한 국가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영웅의 등장은 위대하나, 그가 사라지는 과정까지 위대하게 남기란 힘든 것인가? 힘없이 열병으로 인해 젊은 날에 병사했던 알렉산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었지만 오늘날까지 세계를 자신의 궁전 드나들 듯 하였던 용맹과, 적과의 전투에서는 자신의 최대한의 역량을 끌어올려 최선의 노력으로 최고의 성과를 거두었던 그를, 오늘날 우리는 어떻게 생각해보아야 할까? 이것 또한 역사가 역사가로서의 삶을 소망하는 우리에게 던져주는 또 하나의 과제인 것 같다.
참 고 문 헌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알렉산더 대왕」 시공사. 1995.
월 뱅크(Walbank, F.W.)「헬레니즘 세계」아카넷. 2002.
유재원「그리스 신화의 땅 인간의 나라」 리수. 2004.
파사보즈(Bose, Partha)「전략의 기술(Art Of Strategy)」매일경제신문사. 2003.
토머스 R. 마틴(Martin, Thomas R.)「고대 그리스의 역사」가람기획. 2003.
Bauer, Susan Wise.「The story of the world : Antient Times」Peace Hill Press. 2001.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05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