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고 있습니다.
1. 청각장애인이 통행 가능한 횡단보도
모든 횡단보도에 잔여시간 표시기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2. 모든 도로에는 도로 이용시 발생한 비상사태에서 긴급연락을 할 수 있는 팩스 겸용 전화기 혹은 청각장애인용 전화기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3. 청각장애인이 이용가능한 화장실
모든 화장실에서는 이용 여부를 알 수 있는 표시가 장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4. 수화통역 서비스
청각장애인의 시설 이용 및 정보 접근을 위해 수화통역 서비스를 제공되어야 합니다
5. 팩스 번호 및 이메일 주소 공지 의무화
시설 이용 관련 전화 번호 및 팩스 번호, 이메일 주소를 공시하여야 한다
6. 시설 및 정보 접근 안내문 제공 의무화
청각장애인 등이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정리한 안내문 혹은 안내책자을 제공하여야 한다
7. 시설 이용 안내 서비스
청각장애인 등이 시설 이용 및 정보 접근을 위한 안내를 사전에 요청한 경우 안내 서비스를 청각장애인 사전에 통지한 의사소통 방법을 통해 제공하여야 한다
8. 팩스겸용 전화기 혹은 청각장애인용 전화기(문자전화기, 전자우편 가능 단말기, 영상전화, 음성증폭장치 등) 설치
시설 내 모든 공중전화기에 3대 중 한 대는 팩스 겸용 전화기 혹은 청각장애인용 전화기(문자전화기, 전자우편 가능 단말기, 영상전화, 음성증폭장치 등)을 설치하고 수신 번호를 병기하여야 한다.
9. 노트 필기 서비스
청각장애인의 시설 이용 및 정보 접근을 위해 노트필기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10. 컴퓨터 속기 서비스
청각장애인의 시설 이용 및 정보 접근을 위해 컴퓨터 속기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1. 청각장애인이 통행 가능한 횡단보도
모든 횡단보도에 잔여시간 표시기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2. 모든 도로에는 도로 이용시 발생한 비상사태에서 긴급연락을 할 수 있는 팩스 겸용 전화기 혹은 청각장애인용 전화기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3. 청각장애인이 이용가능한 화장실
모든 화장실에서는 이용 여부를 알 수 있는 표시가 장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4. 수화통역 서비스
청각장애인의 시설 이용 및 정보 접근을 위해 수화통역 서비스를 제공되어야 합니다
5. 팩스 번호 및 이메일 주소 공지 의무화
시설 이용 관련 전화 번호 및 팩스 번호, 이메일 주소를 공시하여야 한다
6. 시설 및 정보 접근 안내문 제공 의무화
청각장애인 등이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정리한 안내문 혹은 안내책자을 제공하여야 한다
7. 시설 이용 안내 서비스
청각장애인 등이 시설 이용 및 정보 접근을 위한 안내를 사전에 요청한 경우 안내 서비스를 청각장애인 사전에 통지한 의사소통 방법을 통해 제공하여야 한다
8. 팩스겸용 전화기 혹은 청각장애인용 전화기(문자전화기, 전자우편 가능 단말기, 영상전화, 음성증폭장치 등) 설치
시설 내 모든 공중전화기에 3대 중 한 대는 팩스 겸용 전화기 혹은 청각장애인용 전화기(문자전화기, 전자우편 가능 단말기, 영상전화, 음성증폭장치 등)을 설치하고 수신 번호를 병기하여야 한다.
9. 노트 필기 서비스
청각장애인의 시설 이용 및 정보 접근을 위해 노트필기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10. 컴퓨터 속기 서비스
청각장애인의 시설 이용 및 정보 접근을 위해 컴퓨터 속기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추천자료
[특수교육]청각과 언어장애
장애인의 고용 현황 및 문제점-지원고용
중증 장애인의 고용 현황 및 발전방안
장애인가족지원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창업보육센터를 통한 지원정책 방안
[지원고용]지원고용(지원고용프로그램)의 개념, 지원고용(지원고용프로그램)의 필요성, 지원...
[지원고용][지원고용제도]지원고용(지원고용제도)의 정의, 지원고용(지원고용제도)의 의의와 ...
[지원고용]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필요성,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특성과 지원고용...
청각 장애
정보 통신과 청각 장애
[자원봉사론 공통]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자...
[장애인복지론] 장애인 활동 지원제도 시행에 따른 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해 서술 (활동지원)
[유아교육과] [특수아교육 A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
[특수아교육 A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