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핸드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론

제품 아이디어 탐구

아이디어의 스크리닝

제품 컨셉트의 개발

제품화하기 위한 시장분석

위험요소

시장 접근 방법

STP전략

연령별

결론

후기

본문내용

델 구입이유에서 부모님이 그냥 사오셨다는 답이 많은 것으로 봐서 휴대폰을 구입할 때 학생 자신보다는 부모님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하며 직접 구입을 하는 부모님에게 긍정적 시각을 심어주는 광고 또한 필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4. 신뢰도 있는 사업체와의 기술제휴-이는 다른 업체에서 모방하더라도 우리 제품이 더 좋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다.
현재 휴대폰 브랜드 인식 및 점유율
2002년 상반기
A
B
판매대수
시장점유율
판매대수
시장점유율
삼성전자
437
59.3%
414.6
56.6%
LG전자
140.3
19.0%
173.71
23.7%
모토롤라
65.8
8.9%
57.5
7.8%
기타
93.5
12%
87.3
11.9%
합계
736.6
100%
733.11
100%
5. 적정한 가격선 유지- 40~50만원대
-현재 LCD화면에 40화음을 기본으로 한 휴대폰의 일반 가격이 35만원선을 유지하고 있다.(통신사를 제외한 순수 기기 가격)그리고 PDA의 중저가 가격이 60만원 선을 유지 하는 것으로 볼때 PDA의 가격보다는 낮추고 원가를 감안하여 휴대폰의 가격보다는 높게 책정하여 이 가격을 도출하게 되었다.
6. 확실한 A/S와 업그레이드-이는 현재 새로운 휴대폰에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조건이다.
7. 조사 대상이였던 고교생 이외에도 영어공부를 필요로 하는 직장인, 대학생에까지 판매효과를 늘리는 방안 모색-고등학생에게만 소비층을 국한시키게 되면 소비자의 범주가 좁아진다. 이 때문에 넓은 소비시장 개척을 위해 고교생만을 범주로 하여 그칠 것이 아니라 어학을 공부하는 모든 사람에게까지 범위를 확대시키는 전략을 써야 한다.
STP전략
이번 신제품은 이전까지 단순 통화기능만을 제공하던 이동전화 서비스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종합 문화상품으로 확장함으로써 이동전화 서비스가 생활의 중심으로 자리잡게 하였다. 특히 전자사전기능은 Mass Marketing 일변도의 이동전화 시장에서 고객을 특성별로 세분화하여 차별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Target Marketing을 시행함으로써 이동통신 마케팅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렸고 경쟁의 새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던 20대 시장에서의 점유율 우위를 확보함으로써 전 연령대에 걸친 마켓리더십 확보는 물론 향후 지속적인 성장의 기반을 구축 할 수 있다.
10대 청소년 시장을 대상으로 한 전자사전 기능 브랜드, 젊은 직장인을 위한 비즈니스 사전 브랜드 통해 고객의 생애주기에 걸친 종합적 상품을 제공하는 등 영업활동을 강화해나가야한다. 신제품은 이 밖에도 고객의 평생생애주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Segment 상품의 Line-up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며, 보다 고도화된 Segmentation을 통해 고객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연령별
10대(1318세대) - 기초영어단어 기능
중고생을 대상으로 하여 기초적인 영단어 사전기능을 포함하여 인터넷을 이용한 업그레이드를 용이하게 하며 여러 가지 단어숙어를 탑재한다
20대(1924세대) - 대학영어기능(토익,토플단어 강화)
대학생을 대상으로하여 고급의 영단어를 수록해서 토익이나 토플등 졸업이후의 진로에 관한 영어 들을 다룬다.
30대(2535세대) - 비즈니스 영어 기능
30대 이상 직장인들에게 바이어들과의 상담등 여러 가지 비즈니스 상황하에서 꼭 필요한 회화등 그들만의 영어사전을 탑재한다.
결론
유명 조사기관인 SRI는 향후 3G환경 하에서 나타날 단말기의 유형을 4가지 제품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다기능 폰(Feature Phone) : 고속프로세서 확장 메모리 등을 내장하고, MMS(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나 음악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임
다기능 폰은 프로세서와 메모리의 용량이 확대되고 화면의 크기가 커지며 다양한 색상을 표시하고, 컴퓨팅 기능보다는 AV기능이 강화됨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발전, 향후 영상폰의 형태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됨
게이트웨이 단말기 (Gateway Device): 작고 가벼운 형태로 데이터 송수신, 블루트스 기능을 지니며, PDA와 동기화 할 수 있는 PIM기능을 제공함
다기능 폰의 기능이 강화되며 다기능 폰으로 흡수
지능형 커뮤티케이터(Intelligent Communication): 휴대폰과 PDA를 결합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현재의 스마트폰과 같은 형태임
개별휴대폰이나 PDA보다 성능이 약하고 유연성이 없으며, 가격이 비싸고 무겁다는 단점이 있음
특정용도 단말기: 이동통신망 연결게임기나 MMS송수신 단말기, PIM전용 단말기 등 용도별로 고유 기능에 특화된 단말기임
특정기능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중화되기는 힘들 것이나 시장형성은 가능할 전망임
앞으로 몇 년간은 다기능 폰 형태가 시장을 주도할 것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디지털 컨버전스 진전, 고객의 다기능 선호 경향 심화, 기업들의 기능 차별화 노력 지속 등을 기초하여 현재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단일기기에 충족시킬 수 있는 통합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우리 제품은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후기
“일년 전에 없던 상품을 만들어라. 독창적인 아이디어......”이는 3M사의 슬로건이다. 이에 충실하게 새로운 신상품을 개발하자고 처음에 다짐한 것 같은데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신상품을 만든다는 것이 얼마나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지 조금은 알 것 같았다. 시장조사를 하면서 그들이 얼마나 솔직하게 답변을 해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고, 시장조사의 신뢰도를 의심하면서 과연 제대로 된 신상품 개발이 될지 걱정도 많이 되었다. 그리고 우리 제품에 유리하게 대답이 나왔을 때 방향 설정에 있어 제대로 되었다는 생각과 신상품 아이디어가 대중성이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만족해했다. 조원이 3명이라 미흡한 점이 많다. 미흡한 점이 있지만 나름대로 프로젝트를 잘(?)준비하고 발표도 무사히 마쳤다. 전반적으로 분량이 좀 적은 듯한 느낌도 들지만 나름대로는 최선을 다한 프로젝트였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06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