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아동의 건강력 ]
[문헌 고찰]
[간호 과정]
[문헌 고찰]
[간호 과정]
본문내용
4))
4.제대 잘린 끝을 깨끗이 유지한다.
-제대를 소독 용액인 포타딘을 적신 솜으로 제대 위부분부터 닦아준다.
-제대가 마르기 전까지 기저귀를 채워줄 때 제대의 끝을 위로 향하게 하고, 제대부분은 기저귀로 덮지 않았다.
탯줄 절단면은 박테리아 성장에 좋은 배지가 되므로 여러 가지의 택줄 간호 방법이 적용되어 오고 있다.(김미예 외(2004))
5.감염을 막기 위해 기저귀를 적절하게 교환해준다.
-기저귀를 수시로 확인하고 교환해 주었으며, 교환 전후에 손 소독을 철저히 하여 감염을 예방하였다.
3. 모체 당뇨와 관련된 성장발달장애(6/16)
주관적 자료: 어머니가 GDM으로 식이조절로만 관리했다고 하였다.
객관적 자료: 38주 2일에 출생하였음.
어머니가 GDM으로 3.22kg으로 출생하였음.
간호목표: 6월 17일까지 혈당이 정상(60-100mg/dl)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 혈당을 측정한다.
-출생 직후와 1시간, 2시간 후에 측정하고 4시간 간격으로 BST 측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저혈당은 생후 30분에서 4시간 내에 나타나며 갑작스러운 혈당저하는 심각한 신경손상이나 사망에 이르는 원인이 된다.(조결자외(2005))
6월 17일 21시 30분까지 정상혈당을 유지하여서 BST를 중단하였다.
2. 필요시 포도당을 구강으로 준다.
-출생 직후 BST 측정결과 41임을 확인하고, 10% 포도당 10cc를 구강으로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출생 1시간 후에 BST 측정 후 48임을 확인하고, 10% 포도당 10cc를 구강으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5%, 10%포도당, 조제유 순으로 조기 수유를 실시한다.(김미예 외(2004))
3. 저혈당 증상을 관찰한다.
-6월16일부터 6월17일까지 관찰결과 경련이나 진전 무표정, 청색증, 수유 곤란과 눈동자를 굴리는 증상이 없었다.
저혈당증의 임상증상은 보통 애매하고 드러나지 않는다. 증상은 떨림, 진전, 무표정, 청색증, 경련, 간헐적 무호흡, 빈맥, 호흡곤란, 약하거나 날카로운 울음소리, 기면, 수유곤란과 눈동자 굴리기 등이다.(김미예 외(2004))
4. 신생아에게서 출생손상 및 선천성 기형과 -호흡기 및 심혈관 문제의 증상을 사정한다.
ChestAP와 brain sono 검사 시 선천성 심장기형이 없었으며, 출생시 손상과 호흡기, 심혈관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선천성 기형과 호흡기 및 심혈관계 문제의 증상들을 조기에 파악하고, 적절한 체온을 유지하며 가능하면 조기에 포도당으로 수유를 시작하고 혈당수치를 모니터한다.(김미예 외(2004))
4. 부적절한 체위, 구토와 관련된 기도흡인위험성(6/16)
객관적자료: 모유수유 후 눕혀놓았을 때, 입 밖으로 약간 모유가 나오는 것을 관찰하였다.
트름을 시키려고 등을 두드려줬을 때, 구토를 하였다.
간호목표: 6월19일까지 기도가 확보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호흡곤란의 징후를 관찰하고 이상이 있을 시 즉시 보고한다.
-호흡수 측정시 48회/분으로 정상이었고, 피부에 청색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6월 19일까지 흡인으로 인한 호흡이상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2.수유 시 호흡곤란이 있는지 사정한다.
-수유 시 입술주위가 파랗게 변하는 것과 호흡곤란의 증상이 없었다.
흡인으로 인한 부작용(부정맥, 미주신경자극, 심정지, 뇌조직의 저산소증)과 기도협착을 예방한다.(김미예 외(2004))
3.수유 후 등을 두드려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대에 눕힐 때 오른쪽으로 눕히거나 복위를 취해준다.
-모유 수유 후 바로 눕히지 않고 등을 두드려주고 오른쪽으로 눕혀서 역류되는 것을 예방하였다.
수유 후에는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오른쪽 혹은 복위로 눕힌다.수유 후 적어도 30분간 옆으로 또는 엎드려서 등을 들어 역류되는 것을 흡인하지 않게 한다.(김미예 외(2004))
4.부모에게 수유 후에 관찰해야 할 사항을 교육한다.
-부모에게 수유 후에 기도흡인이 되어 호흡양상이 변할 수 있으며 증상을 관찰할 것을 교육하였다.
활력증상을 측정하고 다음 증상이 있으며 보고한다.: 무호흡, 빈호흡, 신음, 비정상적인 호흡음, 비익호흡, 청색증, 창백, 흉부함몰.(김미예 외(2004))
5. 고빌리루빈혈증과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6/18)
객관적 자료: 6월18일 광대뼈를 눌렀다가 땠을 때, 피부가 노랗게 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간호목표: 6월19일까지 부모가 황달의 증상을 알며 추후관리의 필요성을 말한다.
간호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빌리루빈 수치와 황달을 사정한다.
-빌리루빈을 수치를 검사하지 않아서 관찰하지 못했다.
황달의 정도는 혈청빌리루빈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간접빌리루빈의 정상치는 0.2-1.4mg/dl이며, 신생아에서는 5mg/dl이상일 때 황달을 관찰할 수 있다.(조결자외(2005))
6월 19일 부모에게 황달로 인해 올 수 있는 증상을 물어봤을 때, 졸려하거나 수유거절 현상이 있다고 말하였다.
2.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짐에 따라 올 수 있는 증상을 관찰한다.
-고빌리루빈혈증 환아는 기면증상, 수유거절 등을 보이는데,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고빌리루빈혈증 환아는 기면증상, 수유거절 등을 보인다.(조결자외(2005))
3.퇴원시 부모에게 모유수유로 황달이 올 수 있으며 적절한 관리가 필요함을 교육한다.
-부모에게 모유수유로 황달이 생길 수 있으며 황달이 왔을 때, 병원에 가서 확인하도록 말했으며, 모유수유를 1~2일정도 중단하고 분유수유를 할 것을 권유하였다.
모유수유에 의한 황달은 생후 4-7일째부터 불포합빌리루빈이 상승하여 2~3주째 최고치에 달하게 되는데, 계속하여 모유수유를 하면 빌리루빈치는 서서히 감소한다. 모유수유로 황달이 있을 때 1~2일간 수유를 중단하고 대신 분유수유를 하면 혈청빌리루빈이 급격히 감소하며 그후 다시 모유수유를 재개하여도 고빌리루빈혈증은 재발하지 않는다.(조결자외(2005))
참고문헌
김미예외(2004),최신 아동건강 간호학 총론,수문사
조결자외(2005),아동간호학1,현문사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학술편찬위원회(2006),군자출판사
서울대학교병원(1995),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서울대학교출판부
4.제대 잘린 끝을 깨끗이 유지한다.
-제대를 소독 용액인 포타딘을 적신 솜으로 제대 위부분부터 닦아준다.
-제대가 마르기 전까지 기저귀를 채워줄 때 제대의 끝을 위로 향하게 하고, 제대부분은 기저귀로 덮지 않았다.
탯줄 절단면은 박테리아 성장에 좋은 배지가 되므로 여러 가지의 택줄 간호 방법이 적용되어 오고 있다.(김미예 외(2004))
5.감염을 막기 위해 기저귀를 적절하게 교환해준다.
-기저귀를 수시로 확인하고 교환해 주었으며, 교환 전후에 손 소독을 철저히 하여 감염을 예방하였다.
3. 모체 당뇨와 관련된 성장발달장애(6/16)
주관적 자료: 어머니가 GDM으로 식이조절로만 관리했다고 하였다.
객관적 자료: 38주 2일에 출생하였음.
어머니가 GDM으로 3.22kg으로 출생하였음.
간호목표: 6월 17일까지 혈당이 정상(60-100mg/dl)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 혈당을 측정한다.
-출생 직후와 1시간, 2시간 후에 측정하고 4시간 간격으로 BST 측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저혈당은 생후 30분에서 4시간 내에 나타나며 갑작스러운 혈당저하는 심각한 신경손상이나 사망에 이르는 원인이 된다.(조결자외(2005))
6월 17일 21시 30분까지 정상혈당을 유지하여서 BST를 중단하였다.
2. 필요시 포도당을 구강으로 준다.
-출생 직후 BST 측정결과 41임을 확인하고, 10% 포도당 10cc를 구강으로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출생 1시간 후에 BST 측정 후 48임을 확인하고, 10% 포도당 10cc를 구강으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5%, 10%포도당, 조제유 순으로 조기 수유를 실시한다.(김미예 외(2004))
3. 저혈당 증상을 관찰한다.
-6월16일부터 6월17일까지 관찰결과 경련이나 진전 무표정, 청색증, 수유 곤란과 눈동자를 굴리는 증상이 없었다.
저혈당증의 임상증상은 보통 애매하고 드러나지 않는다. 증상은 떨림, 진전, 무표정, 청색증, 경련, 간헐적 무호흡, 빈맥, 호흡곤란, 약하거나 날카로운 울음소리, 기면, 수유곤란과 눈동자 굴리기 등이다.(김미예 외(2004))
4. 신생아에게서 출생손상 및 선천성 기형과 -호흡기 및 심혈관 문제의 증상을 사정한다.
ChestAP와 brain sono 검사 시 선천성 심장기형이 없었으며, 출생시 손상과 호흡기, 심혈관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선천성 기형과 호흡기 및 심혈관계 문제의 증상들을 조기에 파악하고, 적절한 체온을 유지하며 가능하면 조기에 포도당으로 수유를 시작하고 혈당수치를 모니터한다.(김미예 외(2004))
4. 부적절한 체위, 구토와 관련된 기도흡인위험성(6/16)
객관적자료: 모유수유 후 눕혀놓았을 때, 입 밖으로 약간 모유가 나오는 것을 관찰하였다.
트름을 시키려고 등을 두드려줬을 때, 구토를 하였다.
간호목표: 6월19일까지 기도가 확보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호흡곤란의 징후를 관찰하고 이상이 있을 시 즉시 보고한다.
-호흡수 측정시 48회/분으로 정상이었고, 피부에 청색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6월 19일까지 흡인으로 인한 호흡이상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2.수유 시 호흡곤란이 있는지 사정한다.
-수유 시 입술주위가 파랗게 변하는 것과 호흡곤란의 증상이 없었다.
흡인으로 인한 부작용(부정맥, 미주신경자극, 심정지, 뇌조직의 저산소증)과 기도협착을 예방한다.(김미예 외(2004))
3.수유 후 등을 두드려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대에 눕힐 때 오른쪽으로 눕히거나 복위를 취해준다.
-모유 수유 후 바로 눕히지 않고 등을 두드려주고 오른쪽으로 눕혀서 역류되는 것을 예방하였다.
수유 후에는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오른쪽 혹은 복위로 눕힌다.수유 후 적어도 30분간 옆으로 또는 엎드려서 등을 들어 역류되는 것을 흡인하지 않게 한다.(김미예 외(2004))
4.부모에게 수유 후에 관찰해야 할 사항을 교육한다.
-부모에게 수유 후에 기도흡인이 되어 호흡양상이 변할 수 있으며 증상을 관찰할 것을 교육하였다.
활력증상을 측정하고 다음 증상이 있으며 보고한다.: 무호흡, 빈호흡, 신음, 비정상적인 호흡음, 비익호흡, 청색증, 창백, 흉부함몰.(김미예 외(2004))
5. 고빌리루빈혈증과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6/18)
객관적 자료: 6월18일 광대뼈를 눌렀다가 땠을 때, 피부가 노랗게 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간호목표: 6월19일까지 부모가 황달의 증상을 알며 추후관리의 필요성을 말한다.
간호계획 및 중재
이론적 근거
평가
1.빌리루빈 수치와 황달을 사정한다.
-빌리루빈을 수치를 검사하지 않아서 관찰하지 못했다.
황달의 정도는 혈청빌리루빈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간접빌리루빈의 정상치는 0.2-1.4mg/dl이며, 신생아에서는 5mg/dl이상일 때 황달을 관찰할 수 있다.(조결자외(2005))
6월 19일 부모에게 황달로 인해 올 수 있는 증상을 물어봤을 때, 졸려하거나 수유거절 현상이 있다고 말하였다.
2.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짐에 따라 올 수 있는 증상을 관찰한다.
-고빌리루빈혈증 환아는 기면증상, 수유거절 등을 보이는데,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고빌리루빈혈증 환아는 기면증상, 수유거절 등을 보인다.(조결자외(2005))
3.퇴원시 부모에게 모유수유로 황달이 올 수 있으며 적절한 관리가 필요함을 교육한다.
-부모에게 모유수유로 황달이 생길 수 있으며 황달이 왔을 때, 병원에 가서 확인하도록 말했으며, 모유수유를 1~2일정도 중단하고 분유수유를 할 것을 권유하였다.
모유수유에 의한 황달은 생후 4-7일째부터 불포합빌리루빈이 상승하여 2~3주째 최고치에 달하게 되는데, 계속하여 모유수유를 하면 빌리루빈치는 서서히 감소한다. 모유수유로 황달이 있을 때 1~2일간 수유를 중단하고 대신 분유수유를 하면 혈청빌리루빈이 급격히 감소하며 그후 다시 모유수유를 재개하여도 고빌리루빈혈증은 재발하지 않는다.(조결자외(2005))
참고문헌
김미예외(2004),최신 아동건강 간호학 총론,수문사
조결자외(2005),아동간호학1,현문사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학술편찬위원회(2006),군자출판사
서울대학교병원(1995),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서울대학교출판부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간호학]급성위장염(AGE), 급성인후두염(APT) case study
발달상 고관절 형성장애c(DDH)case study
[아동간호학] 폐렴 간호과정 (Pneumonia case study)
[아동간호학][UTI][요로감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urinary tract infection]
[여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sarean section]
[여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sarean section]
[아동간호학][미숙아][premature][조산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미숙아][저체중아][Prem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분만실 실습) 자연분만(NSVD) case study
제왕절개분만 (cesarean section)간호과정 제왕절개 케이스 case study
[정신간호학][Mental retardation][정신지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모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크룹 케이스 (Croup Case Study) (A+)
[모성간호학] 자궁근종(myoma uteri) 간호과정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