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음악 교과서 감상곡 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임용] 음악 교과서 감상곡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6학년 감상곡
2. 5학년 감상곡
3. 4학년 감상곡
4. 3학년 감상곡

본문내용

역할을 함.
잡는 방법
-끈을 매는 한 개의 구멍을 통하여 작은 고리를 만들어 엄지에 거는 방법
-두 줄을 엄지에 걸고 돌려서 잡는 방법
-집게손가락을 쇠의 안쪽에 넣어 받치며, 나머지 손가락을 자연스럽게 펼친다.
연주법
-꽹과리를 가슴 중앙의 위치에 오도록 하고, 보통 꽹과리의 중앙보다 조금 윗부분을 친다.
-음색을 조절하기 위하여 바깥 또는 중앙부분을 치기도 하며, 가락을 칠 때는 꽹과리면과 나란히 굴려 친다.
-왼 손은 꽹과리의 안쪽 바닥에 대거나 떼는 동작을 함으로써 소리를 조절한다.
-음의 조절 방법은 대부분 오른손으로 치기 직전에 대고 뗀다.

징 채를 짧게 하고 징의 한 가운데를 부드럽게 밀듯이 쳐야 소리가 되바라지지 않고 웅장한 소리가 남.
징은 연주가 다양하지 못한 점이 있으나 여유가 있어 춤으로 신명을 표출하기가 좋음
장구
궁채와 열채 잡는 방법
-궁채: 채의 윗부분을 엄지와 집게 사이에 넣어 잡고, 약손가락과 새끼손가락 사이에 끼고 가볍게 감싼다.
-열채: 엄지와 검지로 잡고, 다른 손가락으로 가볍게 감싸 쥔다.
앉는 자세와 치는 방법
-앉아서 칠 때는 가슴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양 발바닥으로 채편의 테를 고정시킨다.
-궁채: 채를 잡은 손을 얼굴 부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 테의 위 가장자리에 대면서 동시에 손목을 돌려 중앙을 치고 다시 손을 듬.
-열채: 손목에 반동을 주어 부채질하듯이 돌려서 치고, 다음 동작이 이어질 때까지 채를 떼지 않는다.
-궁채를 넘겨 채편을 칠 때는 손바닥이 안쪽을 향하도록 하여, 손목에 반동을 주어 친다.

잔가락을 엮어 가는 것이 주가 아니므로 다양한 가락의 연주보다는 박을 힘입게 짚어 가면서 친다.
연주자세
-발목 위에 얹어놓고 몸으로부터 약간 떨어지게 하는 것이 힘있는 연주에 도움이 된다.
-서서 연주할 때는 북 끈을 왼쪽 어깨에 멘다. 북통은 왼쪽 허벅지 부근에 비스듬히 대고 왼손으로 북통 머리를 잡고 친다.
소고
풍물굿에 쓰이는 작은북을 소고라 함.
가벼워서 장단마다 첫 박에 한 번씩 치며 춤추기도 하고 장단을 쳐 나가기도 함.
판소리<흥보가>
여러 가지 놀이가 벌어지는 장소, 즉 놀이판에서 불려지는 소리
한 사람의 창자가 소리와 아니리와 발림을 섞어 가며 긴 이야기를 연출하는 극음악
현재 판소리는 모두 다섯 마당으로 <춘향가>,<심청가>,<수궁가>,<흥보가>,<적벽가>가 있음.
구성 요소
-소리(창) -대화나 설명을 하는 아니리
-동작이나 몸짓을 의미하는 발림(너름새) -창자가 소리를 하는 데 흥을 돋우어 주는 말인 추임새
사용 장단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엇모리, 엇중모리가 있다.
판소리 감상법
1) 명창이 고수와 함께 판을 벌이는 공연장에서 직접 감상하는 것이 좋다. 소리하는 명창의 발림이며 표정을 보고 고수와 청중의 추임새를 들으며 가능하면 함께 추임새를 하면서 감상하는 것이 좋다.
2) 음향자료를 이용하여 감상하는 경우 먼저 가사를 보지 말고 그냥 소리로만 전체 줄거리를 기억할 수 있도록 처음부터 끝까지 들어보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음악은 귀로 먼저 익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전체의 소리가 어느정도 익숙해진 다음 가사를 보면서 다시 들어보면 소리로만 들어서는 분명하지 않던 가사의 뜻과 흐름을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3) 판소리를 잘 감상하기 위해서는 장단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물의 사육제
여러 동물의 특징을 재미있고도 풍자적으로 표현한 음악
동물의 특징과 관련하여 빠르기, 빠르기의 변화, 악기의 음색, 가락선의 흐름 등에 중점
1) 서주와 사자왕의 행진- 피아노의 트레몰로로 서주가 나오고 이어 사자왕의 행진과 같은 행진 주제가 나온다.
2) 암탉과 수탉- 암탉과 수탉의 소리를 현악기와 피아노로 흉내 내고 있다.
3) 당나귀- 정신 없이 뛰어다니는 나귀를 표현한다. 나귀의 빠른 움직임과 빠른 음악, 빠른 발소리와 두 대의 피아노의 음색, 음악의 높낮이 등에 중점을 두어 지도한다.
4) 거북이- 오펜바흐의 <천국과 지옥>중 ‘캉캉’ 모티브를 느린 빠르기로 연주함으로써 거북이의 느린동작을 표현한다. 거북이의 느린 움직임과 음악의 빠르기를 관련시키고, 캉캉 모티브도 같이 들려줌으로써 악곡의 QK르기에 따라 음악적인 느낌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한다.
5) 코끼리- 느린 왈츠 리듬과 저음이 몸집이 큰 코끼리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6) 캥거루- 두 대의 피아노가 뛰어다니는 캥거루를 표현한다. 뛰는 음과 빨라졌다가 느려지는 음악을 캥거루가 뛰는 모습과 관련지어 지도한다.
7) 수족관- 두 대의 피아노가 신비로운 물 소리를, 칠레스타와 플루트가 물고기의 헤엄치는 모습을 표현한 것임을 알게하고 가락의 높낮이를 손으로 그려 보면서 들어보게 한다.
8) 귀가 긴 신사- 당나귀와 대조적으로 한가로운 나귀를 표현하며 나귀의 울음소리를 바이올린으로 표현했다. 같은 패턴이 반복된다는 것과 이 패턴이 짧게 축소된 음으로 연주됨으로써 더욱 흥분된 나귀의 울음소리를 표현한다는 것, 그리고 바이올린의 음색과 나귀의 음색을 관련시켜 보도록 한다.
9) 고요한 숲속의 뻐꾸기- 피아노의 여린 화음이 산 속의 고요함을 나타내고 클라리넷의 음색이 뻐꾹 소리를 나타낸다. 고요함으로 나타내기 위해 음악의 세기도 여리게 했다는 것과 뻐꾸기의 울음소리를 나타낸 클라리넷의 음색에 중점.
10) 새- 플루트가 재잘거리는 새의 소리를 묘사한다. 새소리와 비슷한 플루트의 음색에 중점
11) 피아니스트- 서툰 피아노 연습을 나타낸다. 음의 높낮이를 손으로 표현하면서 가르치는 것이좋다.
12) 화석- 목금이 뼈가 부딪히는 소리를 묘사한다.
13) 백조- 우아하고 부드러운 첼로의 선율이 유유자적하게 노니는 백조의 모습을, 아르페지오의 피아노 반주는 잔잔한 물결이나 물 속에서 움직이는 백조의 발 움직임을 연상시킨다. 첼로의 음색과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운 선율을 마닉하도록 하고 음의 흐름을 손으로 표현해보게 한다.
14) 종곡- 모든 동물들이 등장하여 떠들썩하게 소동을 일으킨다. 어떤 동물들이 등장하는지 들어보도록 한다. 사자의 행진, 캥거루, 당나귀, 암탉, 귀가 긴 신사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3.08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