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자살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자살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자살의 정의

Ⅲ. 자살의 현황과 원인
1. 자살의 현황
2. 자살의 원인

Ⅳ. 자살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전문직의 개입의 필요성

Ⅴ. 자살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및 전문사회복지사의 역할
1. 외국
2. 한국

참고문헌

본문내용

예방 전략의 일반적인 목표와 세부 목표들, 전략의 감시와 평가들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자살 예방을 위한 전략적인 예방 접근의 대상이 되는 주요 주제들은 ①대중교육 ②미디어대책 ③ 학교 예방 프로그램 ④정신 질환 정책 ⑤알콜 및 약물 남용 대책 ⑥신체 질환 대책 ⑦정신 보건 서비스 개선 ⑧자살 시도자 관리 대책 ⑨사후 관리 대책 ⑩자살 위기 개입 대책 ⑪직장 및 실업 대책 ⑫훈련과 교육 대책 ⑬자살 방법 제한 대책 등이 있다. 한국자살예방협회(http://www.suicideprevention.or.kr)
2. 한국
위험요소에 노출되어 있는 그룹의 자살을 정책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각 그룹의 특수성에 따라 다양한 정책적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프로그램은 우리 주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서울에 있는 한강대교가 자살다리로 유명해지자 많은 사람들이 한강대교의 철제 아치 위에 올라가 자살시위를 했다. 이것을 막기 위해 서울시에서는 윤활유를 다리에 바르는 정책적 예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후로 자살시위는 많이 사라졌다고 한다. 단순한 예방이 실효성을 거둔 사례는 이외에도 많이 있다. 부산과 제주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있었다. 사람들이 자살바위로 소문난 곳에서 계속 추락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시청에서는 자살바위 앞에 다음과 같은 표지판을 붙였다. "살자 바위". 그 후 자살자 수는 놀랍게도 감소했다.
정책적 차원에서의 자살예방은 자살하려는 부류의 사람들이 원천적으로 자살수단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거나 자살하려는 의사를 희석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박영숙·최상진, 자살 예방할 수 있다, 학지사, 서울, 1999, pp. 211~212.
우리나라의 자살 예방 국가 전략 개발을 위한 단기·중장기 계획을 살펴보면서 정책적 노력을 더 살펴보기로 한다.
구분
계획내용
단기 과제
(1) 정부는 자살 예방 전략의 개발과 시행을 담당할 기구를 복지부 산하에 설립한다.
- 담당 기구의 설립과 운영에 대한 법적 근거와 예산을 준비한다.
- 자살 예방 활동과 관련된 정부, 비정부 단체 및 민간 연구자 기구를 구성한다.
(2) 자살 예방 전략은 다음 순서를 따라 개발 한다;
- 우리나라의 자살과 관련된 초기 연구 시행;
- 자살 예방의 개념과 기본 원칙, 목적 선정;
- 예방 전략의 시행 대상과 개입 수준 결정;
- 자살 예방 전략의 초안 작성;
-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한 자문.
(3) 국가 예방 전략을 최종적으로 수립하고 실행한다.
중장기 과제
(1) 자살 예방 전략을 지원할 정부 정책과 법안들을 개발한다.
(2) 자살 예방을 위한 인적 자원을 개발한다.
(3) 자살 통계와 관련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선한다.
(4) 연구를 토대로 자살 예방 전략을 수정하고 새로운 전략을 개발한다.
한국의 경우 사회복지전문가들의 역할은 첫째, 자살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의 마련을 통해 국가 기관과 민간이 서로 연계, 협력하고 적절한 역할 분담을 해서 관리를 해야 한다. 둘째,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해서는 교육부와 복지부가 공동으로 학생 수준에 맞는 정신 보건, 생명 존중에 대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자살 위기 상황에서 현장 출동이나 위기 개입과 같은 사회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경찰이나 119 등과의 연계와 사회적인 지지 체계가 마련 한다. 넷째, 자살 예방을 위한 전담 기구의 준비, 자살 예방 전문가 양성과 우리의 데이터를 확보해야 한다. 한국자살예방협회(http://www.suicideprevention.or.kr)
참고문헌
1) 서동우, 자살사망의 추이와 예방대책,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월간 복지동향 제59호, 2003. 9.
2) 신성원, 우리나라의 자살 추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3호, 2008. 3.
3) 최병목. 청소년자살예방론. 홍익재, 서울, 2002.
4) 박영숙·최상진, 자살 예방할 수 있다, 학지사, 서울, 1999.
5) 민병원, 한국 사회의 자살유형의 특징과 원인, 고시계사, 고시계 1990년 6월호(통권 제400호), 1990, pp. 315 ~ 316.
6) 한국자살예방협회(http://www.suicideprevention.or.kr).
7) 대전일보, 대전중부경찰서 방범순찰대 소대장 경위 안상규, 자살 ‘세계 1위’ 예방교육 의무화 시급, 2009. 5. 24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821977#
  • 가격6,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08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1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