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구조
1) 필로티
2) 자유로운 평면
환경
1)건물의 배치
2) 옥상 정원 실현
3)채광방식
4) 자연형 환기와 통풍
입면
Le Corbusier의 “근대 건축의 5원칙”
1) 필로티
2) 자유로운 평면
환경
1)건물의 배치
2) 옥상 정원 실현
3)채광방식
4) 자연형 환기와 통풍
입면
Le Corbusier의 “근대 건축의 5원칙”
본문내용
적 필연성을 제거하고 콘크리트와 철골기둥으로 구조체를 대신 할 수 있게 했다. 가구의 다리와 같은 필로티가 "거주하는 상자"를 지탱하고 있는데 이러한 건축은 지구위의 어디서나 응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호상도시"로까지 확대 될 수도 있었다. 1929년에 이르자 꼬르뷔제는 이 같은 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전개하여 모든 지면은 사람들의 활동과 식물에게 할애되어야 하며 일과 거주를 위한 공간은 지면 위에 자리잡으면 된다고 제안했다.
뼈대와 벽의 기능적인 독립-La Fenetre en Longeu
꼬르뷔제가 제안한 도미노 시스템은 파사드의 폭 안에서 창의 가로폭은 무제한으로 확정될 수 있다는 특성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실내공간을 한결같이 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트로앙주택 이나 바이센호프주택에서 이 같은 창들은 필로티 위에 얹혀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어 국제연맹본부 계획안에서는 길이 200m에 이르는 가로로 긴 창이 선보이게 되기도 한다.
자유로운 평면-Le Plan Livre
건축평면은 구조벽의 구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는데 꼬르뷔제는 건축의 참된 유연성을 추구하였다. 즉 내부공간의 구성을 사용자의 자유에 맡긴다는 사고방식으로 1932년 알지에 계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고 바이센호프 주택에서 꼬르뷔제는 가동식 칸막이를 도입, 야간에는 거실을 3개의 작은 침실로 바꿀수 있게 처리하였다. 이 작품에서 나타난 자유로운 평면의 개념은 단지 주거공간에 참다운 가동성을 확보한다는 방법에 그치지 않고 그의 공간적이고 조형적인 의지를 관철시키는 방법이 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자유로운 건물 정면-Le Facade Livre
자유로운 파사드의 건축원리는 독립되어 구상된 원리라기보다는 이상의 네 가지 원리의 준수에 뒤따르는 조형상의 결과라고 볼 수 있는데, 이 같은 파사드의 구상원리는 미스의 경우처럼 완전한 유리상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꼬르뷔제의 경우 파사드란, 회화의 화면과 마찬가지로 항상 개구부와 비개구부로 질서가 부여되어야 하는 면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옥상 정원-Le Toit-Terrasse
옥상테라스의 장점을 이해시키기 위해 꼬르뷔제는 주로 실용적인 이유를 들었다. 그에 의하면 옥상테라스의 장점은 눈이 많은 북유럽 지방의 경우 눈이 녹아 흐르는 물의 누수 위험인데 이때 물이 집의 중심을 향해 흐를 수 있지만 이 물은 주택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동결의 위험은 없게 된다. 여기에 엷은 층의 흙을 덮어둘 경우 옥상테라스는 언제나 적당한 습기가 유지되어 식물이 자랄 수 있으며 공간을 추위와 더위로부터 완전히 차단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참고 자료
http://www.archimind.com.ne.kr/archistory/architecture/le-cor-1.htm
http://sa.cau.ac.kr/seminar/pdf/HCL/08last.pdf
http://myhome.nate.com/rok9808/younite.htm
르 코르뷔지에-인간을 위한 건축 전재국 시공사
도시주거 형성의 역사 이기웅 열화당
뼈대와 벽의 기능적인 독립-La Fenetre en Longeu
꼬르뷔제가 제안한 도미노 시스템은 파사드의 폭 안에서 창의 가로폭은 무제한으로 확정될 수 있다는 특성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실내공간을 한결같이 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트로앙주택 이나 바이센호프주택에서 이 같은 창들은 필로티 위에 얹혀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어 국제연맹본부 계획안에서는 길이 200m에 이르는 가로로 긴 창이 선보이게 되기도 한다.
자유로운 평면-Le Plan Livre
건축평면은 구조벽의 구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는데 꼬르뷔제는 건축의 참된 유연성을 추구하였다. 즉 내부공간의 구성을 사용자의 자유에 맡긴다는 사고방식으로 1932년 알지에 계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고 바이센호프 주택에서 꼬르뷔제는 가동식 칸막이를 도입, 야간에는 거실을 3개의 작은 침실로 바꿀수 있게 처리하였다. 이 작품에서 나타난 자유로운 평면의 개념은 단지 주거공간에 참다운 가동성을 확보한다는 방법에 그치지 않고 그의 공간적이고 조형적인 의지를 관철시키는 방법이 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자유로운 건물 정면-Le Facade Livre
자유로운 파사드의 건축원리는 독립되어 구상된 원리라기보다는 이상의 네 가지 원리의 준수에 뒤따르는 조형상의 결과라고 볼 수 있는데, 이 같은 파사드의 구상원리는 미스의 경우처럼 완전한 유리상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꼬르뷔제의 경우 파사드란, 회화의 화면과 마찬가지로 항상 개구부와 비개구부로 질서가 부여되어야 하는 면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옥상 정원-Le Toit-Terrasse
옥상테라스의 장점을 이해시키기 위해 꼬르뷔제는 주로 실용적인 이유를 들었다. 그에 의하면 옥상테라스의 장점은 눈이 많은 북유럽 지방의 경우 눈이 녹아 흐르는 물의 누수 위험인데 이때 물이 집의 중심을 향해 흐를 수 있지만 이 물은 주택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동결의 위험은 없게 된다. 여기에 엷은 층의 흙을 덮어둘 경우 옥상테라스는 언제나 적당한 습기가 유지되어 식물이 자랄 수 있으며 공간을 추위와 더위로부터 완전히 차단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참고 자료
http://www.archimind.com.ne.kr/archistory/architecture/le-cor-1.htm
http://sa.cau.ac.kr/seminar/pdf/HCL/08last.pdf
http://myhome.nate.com/rok9808/younite.htm
르 코르뷔지에-인간을 위한 건축 전재국 시공사
도시주거 형성의 역사 이기웅 열화당
추천자료
르꼬르뷔제의 역사
현대건축의이해-르꼬르뷔지에를 통해서 살펴본 현대건축의 경향
르꼬르뷔제의 유니떼 다비따시옹과 올림픽선수촌아파트 비교분석
색채 심리 분석을 통해 바라본 건축적 색채 선택과 그 사례로서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
[르꼬르뷔제][건축][르꼬르뷔제 건축][라 뚜레트][롱샹 성당]르꼬르뷔제의 생애, 건축원리, ...
르꼬르뷔지에 - 유니테다비타시옹 과 관련입니다.
르꼬르뷔제
르꼬르뷔제
르꼬르뷔제 - 유니떼 다비따시옹
[독후감상문] 건축을향하여[Vers Une Architecture]-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