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피해사례
1) 구입방법에 따른 피해사례
2) 부가서비스 관련 피해사례
3) 기기문제로 인한 피해사례
4) 허위과장광고에 따른 피해사례
5) 기타 피해사례
2. 구제방법
1) 소비자 피해 보상(배상)받는 방법
2) 이동전화서비스에 따른 보상기준
3) 휴대폰 단말기 자체 문제에 대한 보상기준
3. 구매 잘하는 방법
1) 사전 준비
2) 흥정 과정
3) 구매 결정 후
Ⅲ. 결 론
※ 휴대폰관련 소비자피해 설문조사
Ⅱ. 본 론
1. 피해사례
1) 구입방법에 따른 피해사례
2) 부가서비스 관련 피해사례
3) 기기문제로 인한 피해사례
4) 허위과장광고에 따른 피해사례
5) 기타 피해사례
2. 구제방법
1) 소비자 피해 보상(배상)받는 방법
2) 이동전화서비스에 따른 보상기준
3) 휴대폰 단말기 자체 문제에 대한 보상기준
3. 구매 잘하는 방법
1) 사전 준비
2) 흥정 과정
3) 구매 결정 후
Ⅲ. 결 론
※ 휴대폰관련 소비자피해 설문조사
본문내용
휴대폰가격에서 할인해주기로 한 금액은 최대한 현장에서 받는다.(보통 부가서비스가
들어가는 경우 한 달이나 석 달 유지 등의 조건이 붙는데 그 기간이 다 끝나면 돈을 준
다는 식이므로 첨부터 부가서비스 없는 금액을 요구하는 것임)
⑤ 복사본은 당연히 꼭 챙긴다.
⑥ 새 휴대폰이 아닐 확률이 꽤 높으므로 (만약 휴대폰을 가지러 어딘가로 간다면 새 제
품이 아닐 확률은 더욱 높음) 판매자가 상자를 가져오면 라벨이 붙어있는지 꼭 확인한
다.
⑦ 라벨이 붙어있어도(라벨은 얼마든지 새로 붙일 수 있음) 휴대폰을 켜서 배터리가 꽉
차 있는지 통화기록이나 사진앨범 전화번호부 같은 것을 꼭 확인한다.
⑧ 충전기에는 모델별 정품, TTA정품, 기품이 있는데 굳이 비싼 모델별 정품을 살 필요
는 없으나 절대로 기품을 돈 주고 사는 일은 없도록 한다.(TTA정품은 모델별 정품에서
이름만 빠진 것으로 약 만원에 구매가능)
⑨ 구매 후 3일 정도 지난 후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부당하게 가입된 부가서비스가 없는지
확인해 본다.
⑩ 구매 후 2주안에는 개통취소 할 수 있다.
⑪ 구매 후 2주안에는 불량휴대폰을 새 것으로 교환할 수 있다.
Ⅲ. 결 론
휴대폰은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문명의 이기를 누려보려는 기대심으로 구매하게 된다. 소비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비싼 사은품도, 최초나 최고의 첨단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사업자들 간의 과당 경쟁보다는 이용요금에 적합한 서비스나 품질을 제공받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업계는 한정된 통신시장에서 새로운 소비자를 찾아 나서기 보다는 기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오히려 새로운 고객을 창출하는 가장 좋은 방법임을 인식해야한다. 또한 소비자들도 단지 저렴하다는 이유로 필요도 없는 이동통신에 가입하거나 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현명한 소비선택이 요구된다. 그리고 혹시라도 구매 후 문제가 발생했을 시에는 귀찮다거나 번거롭다는 이유로 충분히 보상(배상)받을 수 있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포기해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도 소비자의식의 정립이 필요하다.
※ 핸드폰에 대한 피해사례 설문조사 결과
1. 설문 대상자 연령
20대 초반 81명, 10대 후반 17명, 20대 후반 2명
2. 설문 대상자 성별
여 69, 남 31
3. 현재 사용 중인 통신회사
KTF 48, SK 41, LG 11
4. 휴대폰 구입경로
대리점 84, 가판판매 6, 전자상거래 3, 기타 7(친인척의 통신회사 직원으로 인해 구입, 대형할인마트, 전화국, 타대학입학시 학교에서 받음)
5. 핸드폰으로 인한 피해경험 유무
있다 39, 없다 61
⇒ 있다 : 6. 피해의 종류
부가서비스 21, 기기 8, 요금제 5, A/S 1, 기타 4
7. 피해 대처 방법
무시하고 계속 사용한다 23, 통신사로 항의한다 15, 소비자센터에 신고한다 1
8. 설문 대상자 주변의 피해사례
있다 55, 없다 45
⇒ 있다 : 9. 대상은
친구 39, 가족 10, 선후배 5, 기타 1(친구부모님)
10. 피해의 종류
부가 서비스 25, 기기 13, 요금제 12, A/S 3, 기타 2(분실, 스팸메일)
11. 피해 대처 방법
통신사로 항의한다 32, 무시하고 계속 사용한다 19, 소비자센터에 신고한다 4
12. 부가서비스나 요금의 사용 가입 강요의 유무
있다 48, 없다 52
13. 알려주지 않은 정보에 대한 피해의 유무
있다 33, 없다 67
14. 부당한 요금금액 받아본 경험
있다 41, 없다 59
⇒ 있다 : 15. 부당한 요금에 대한 대책
항의하지만 어쩔 수 없이 요금을 낸다 16, 항의를 하고 돈을 내지 않는다 11, 참고 요금을 낸다 8, 소비자센터에 신고한다 5, 기타 1(휴대폰을 정지한다)
16. 핸드폰 수리 횟수
없다 38, 있다 62(1~3 : 58, 4~6 : 4)
⇒ 있다 : 17. 핸드폰 수리 시 친절에 대한 만족도
매우만족 5, 만족 20, 보통 32, 불만 3, 매우불만 2
18. 핸드폰으로 인한 개인 정보 유출 경험의 유무
있다 22, 없다 78
19. 핸드폰 문제 발생시 대처 방법
A/S 83, 꾹 참는다 9, 소비자센터 신고 7, 기타 1(통신사에 항의)
20. 자신도 모르게 부가서비스에 가입된 경험 유무
있다 22, 없다 78
⇒ 있다 : 20-1. 부가서비스의 내용
무선 인터넷에 관한 정액제 서비스(ex. 뱅크온, 네이트 정액제 등)
통화연결음 서비스(컬러링, 링투유)
광고 메시지 받는 서비스
휴대폰 메인 화면에 광고화면이 제공되는 서비스(ex. SK의 MOA서비스)
휴대폰이 꺼져있을 때 온 전화를 문자 메시지로 알려주는 서비스(ex. SK의 콜키퍼, KTF의 캐치콜)
21. 피해인지도 모르고 지나친 경험의 유무
있다 34, 없다 66
22. 핸드폰에 관한 지식
잘 안다 5, 조금 안다 28, 보통 46, 조금 모른다 15, 잘 모른다 6
23. 피해발생에 대한 생각
통신사와 소비자 모두의 책임이다.
통신사의 무리한 영업으로 인해서 피해가 발생하는 것 같다.
소비자의 무지에 의해 발생한다.
24. 피해발생을 없애기 위한 생각
소비자측에서 대답한 설문 대상자들의 생각
→ 가입 전 미리 정보 수집, 가입시 약관 꼼꼼히 읽기, 요금 청구서 꼼꼼히 확인, 궁금한 건 그때 그때 문의, 피해발생시 즉각적이고 강력한 대응, 신고정신이 투철할 필요 있음, 소 비자의 적극적인 권리찾기가 필요, 불매운동, 소비자센터 적극 활용
통신사측에서 대답한 설문 대상자들의 생각
→ 양심적 행동필요, 소비자를 위한 자기 회사의 요금 서비스에 관한 안내 책자 제작, 투 명한 경영, 고객확보시 가입자에게 자세히 설명부당한 가입 강요하지 말아야 함
정부측에서 대답한 설문 대상자들의 생각
→ 통신사간의 과도한 유치경쟁 막기, 철저한 감시와 법적 조치 강화, 소비자가 주체가 되는 통신환경 만들기, 소비자 교육 필요
☞ 자신의 피해와 주변의 피해 모두 합쳐서 통계(총 200명)
피해발생의 유무 : 있다 94, 없다 106
피해의 종류 : 부가서비스 46, 기기 21, 요금제 17, A/S 4, 기타 6
피해 대처 방법 : 통신사로 항의한다 47, 무시하고 계속 사용한다 42, 소비자센터에 신
고 한다 5
들어가는 경우 한 달이나 석 달 유지 등의 조건이 붙는데 그 기간이 다 끝나면 돈을 준
다는 식이므로 첨부터 부가서비스 없는 금액을 요구하는 것임)
⑤ 복사본은 당연히 꼭 챙긴다.
⑥ 새 휴대폰이 아닐 확률이 꽤 높으므로 (만약 휴대폰을 가지러 어딘가로 간다면 새 제
품이 아닐 확률은 더욱 높음) 판매자가 상자를 가져오면 라벨이 붙어있는지 꼭 확인한
다.
⑦ 라벨이 붙어있어도(라벨은 얼마든지 새로 붙일 수 있음) 휴대폰을 켜서 배터리가 꽉
차 있는지 통화기록이나 사진앨범 전화번호부 같은 것을 꼭 확인한다.
⑧ 충전기에는 모델별 정품, TTA정품, 기품이 있는데 굳이 비싼 모델별 정품을 살 필요
는 없으나 절대로 기품을 돈 주고 사는 일은 없도록 한다.(TTA정품은 모델별 정품에서
이름만 빠진 것으로 약 만원에 구매가능)
⑨ 구매 후 3일 정도 지난 후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부당하게 가입된 부가서비스가 없는지
확인해 본다.
⑩ 구매 후 2주안에는 개통취소 할 수 있다.
⑪ 구매 후 2주안에는 불량휴대폰을 새 것으로 교환할 수 있다.
Ⅲ. 결 론
휴대폰은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문명의 이기를 누려보려는 기대심으로 구매하게 된다. 소비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비싼 사은품도, 최초나 최고의 첨단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사업자들 간의 과당 경쟁보다는 이용요금에 적합한 서비스나 품질을 제공받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업계는 한정된 통신시장에서 새로운 소비자를 찾아 나서기 보다는 기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오히려 새로운 고객을 창출하는 가장 좋은 방법임을 인식해야한다. 또한 소비자들도 단지 저렴하다는 이유로 필요도 없는 이동통신에 가입하거나 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현명한 소비선택이 요구된다. 그리고 혹시라도 구매 후 문제가 발생했을 시에는 귀찮다거나 번거롭다는 이유로 충분히 보상(배상)받을 수 있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포기해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도 소비자의식의 정립이 필요하다.
※ 핸드폰에 대한 피해사례 설문조사 결과
1. 설문 대상자 연령
20대 초반 81명, 10대 후반 17명, 20대 후반 2명
2. 설문 대상자 성별
여 69, 남 31
3. 현재 사용 중인 통신회사
KTF 48, SK 41, LG 11
4. 휴대폰 구입경로
대리점 84, 가판판매 6, 전자상거래 3, 기타 7(친인척의 통신회사 직원으로 인해 구입, 대형할인마트, 전화국, 타대학입학시 학교에서 받음)
5. 핸드폰으로 인한 피해경험 유무
있다 39, 없다 61
⇒ 있다 : 6. 피해의 종류
부가서비스 21, 기기 8, 요금제 5, A/S 1, 기타 4
7. 피해 대처 방법
무시하고 계속 사용한다 23, 통신사로 항의한다 15, 소비자센터에 신고한다 1
8. 설문 대상자 주변의 피해사례
있다 55, 없다 45
⇒ 있다 : 9. 대상은
친구 39, 가족 10, 선후배 5, 기타 1(친구부모님)
10. 피해의 종류
부가 서비스 25, 기기 13, 요금제 12, A/S 3, 기타 2(분실, 스팸메일)
11. 피해 대처 방법
통신사로 항의한다 32, 무시하고 계속 사용한다 19, 소비자센터에 신고한다 4
12. 부가서비스나 요금의 사용 가입 강요의 유무
있다 48, 없다 52
13. 알려주지 않은 정보에 대한 피해의 유무
있다 33, 없다 67
14. 부당한 요금금액 받아본 경험
있다 41, 없다 59
⇒ 있다 : 15. 부당한 요금에 대한 대책
항의하지만 어쩔 수 없이 요금을 낸다 16, 항의를 하고 돈을 내지 않는다 11, 참고 요금을 낸다 8, 소비자센터에 신고한다 5, 기타 1(휴대폰을 정지한다)
16. 핸드폰 수리 횟수
없다 38, 있다 62(1~3 : 58, 4~6 : 4)
⇒ 있다 : 17. 핸드폰 수리 시 친절에 대한 만족도
매우만족 5, 만족 20, 보통 32, 불만 3, 매우불만 2
18. 핸드폰으로 인한 개인 정보 유출 경험의 유무
있다 22, 없다 78
19. 핸드폰 문제 발생시 대처 방법
A/S 83, 꾹 참는다 9, 소비자센터 신고 7, 기타 1(통신사에 항의)
20. 자신도 모르게 부가서비스에 가입된 경험 유무
있다 22, 없다 78
⇒ 있다 : 20-1. 부가서비스의 내용
무선 인터넷에 관한 정액제 서비스(ex. 뱅크온, 네이트 정액제 등)
통화연결음 서비스(컬러링, 링투유)
광고 메시지 받는 서비스
휴대폰 메인 화면에 광고화면이 제공되는 서비스(ex. SK의 MOA서비스)
휴대폰이 꺼져있을 때 온 전화를 문자 메시지로 알려주는 서비스(ex. SK의 콜키퍼, KTF의 캐치콜)
21. 피해인지도 모르고 지나친 경험의 유무
있다 34, 없다 66
22. 핸드폰에 관한 지식
잘 안다 5, 조금 안다 28, 보통 46, 조금 모른다 15, 잘 모른다 6
23. 피해발생에 대한 생각
통신사와 소비자 모두의 책임이다.
통신사의 무리한 영업으로 인해서 피해가 발생하는 것 같다.
소비자의 무지에 의해 발생한다.
24. 피해발생을 없애기 위한 생각
소비자측에서 대답한 설문 대상자들의 생각
→ 가입 전 미리 정보 수집, 가입시 약관 꼼꼼히 읽기, 요금 청구서 꼼꼼히 확인, 궁금한 건 그때 그때 문의, 피해발생시 즉각적이고 강력한 대응, 신고정신이 투철할 필요 있음, 소 비자의 적극적인 권리찾기가 필요, 불매운동, 소비자센터 적극 활용
통신사측에서 대답한 설문 대상자들의 생각
→ 양심적 행동필요, 소비자를 위한 자기 회사의 요금 서비스에 관한 안내 책자 제작, 투 명한 경영, 고객확보시 가입자에게 자세히 설명부당한 가입 강요하지 말아야 함
정부측에서 대답한 설문 대상자들의 생각
→ 통신사간의 과도한 유치경쟁 막기, 철저한 감시와 법적 조치 강화, 소비자가 주체가 되는 통신환경 만들기, 소비자 교육 필요
☞ 자신의 피해와 주변의 피해 모두 합쳐서 통계(총 200명)
피해발생의 유무 : 있다 94, 없다 106
피해의 종류 : 부가서비스 46, 기기 21, 요금제 17, A/S 4, 기타 6
피해 대처 방법 : 통신사로 항의한다 47, 무시하고 계속 사용한다 42, 소비자센터에 신
고 한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