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와 정신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신분석이란
2. 실수 행위
3. 꿈의 해석
4. 꿈의 내용
5. 꿈의 검열
6. 꿈의 상징적 표현
7. 꿈의 작업
8. 꿈의 성질
9. 정신분석과 예술

본문내용

잠재의식에만 적용된다는 것을 인정해야 된다. 꿈의 작업은 낮의 잠재의식에 속하지 않지만 꿈 형성의 원동력인 그 무엇을 항상 그 위에 덧붙인다. 꿈을 만드는데 없어서는 안될 이 부가물은 무의식적인 소망이며, 이 소망은 채우기 위해서 꿈의 내용이 변형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러분이 꿈속에 나타난 관념만을 고려한다면 꿈은 의도, 경고, 준비 등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꿈의 잠재의식에 관하여 중요한 것은
1.잠재의식은 꿈을 꾼 당사자에게는 의식되지 않으며 2.이 잠재의식은 완전히 합리적인 것이므로 꿈을 일으키는 자극에는 명백한 반응으로서 이해될 수 있고 3.잠재의식은 어떤 심리적 충동, 또는 지적 조작으로서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낮의 잔재 위에 무의식에 속해 있던 것, 강력하긴 하지만 억압된 어떤 소망 충동이 첨부된다. 그리하여 이 소망 충동만이 꿈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낮의 잔재에 소망 충동이 작용하여 꿈의 잠재의식의 다른 부분이 형성된다.
9. 정신분석과 예술
프로이드는 우선 무의식에 대한 그의 이론을 예술가와 예술작품, 그리고 그들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에 적용하였다. 그는 무의식의 영향이 없이는 예술작품의 그 큰 힘이 존재할 수 없음을 알고 있었으며, 무의식의 어떤 내용이 어떤 길을 통해서 인간을 그토록 움직일 수 있는 예술작품이 될 수 있는 지에 대해 진지한 질문을 던지고 있었다. 그의 예술이론은 정신분석 이론의 발달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데,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은 편협한 추동이론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포괄적이 되면서 자아심리학, 대상관계이론, 자기심리학을 통합하게 된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3.0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