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대와 남녀공학대 차이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분석 결과

2. 종합 분석

3. 한계

본문내용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귀무 가설과 대립가설은 다음과 같다.
귀무 가설: 학년별로 학교생활의 적극성 정도에는 차이가 없다.
대립 가설: 학년별로 학교생활의 적극성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투표참여와 등록금투쟁참여가 유의확률이 0.05보다 크므로 귀무 가설을 채택해야 한다. 그러나 나머지 7개의 변수들은 유의확률이 0.05보다 작으므로 귀무 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하여야 한다.따라서 학년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분산분석을 한 결과 유의확률이 0.05이하인 변수들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변수들을 통해 각 학년간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정을 하였다.먼저 학회참여는 2학년과 4학년의 평균 차가 -0.475로 2학년의 평균이 4학년보다 낮다. 따라서 2학년이 4학년보다 학회참여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학년과 4학년의 평균 차는 -0.525로 3학년의 평균이 4학년보다 낮다. 따라서 3학년이 4학년보다 학회참여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각각 4학년과 비교할 때 평균 차의 절대값은 3학년 쪽이 더 크므로 3학년 > 2학년 > 4학년의 순으로 참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학생회활동은 2학년과 4학년의 평균 차가 -0.388로 2학년이 4학년보다 학생회활동참여도가 더 높다. 또한 3학년과 4학년의 평균 차는 -0.475로 3학년이 4학년보다 참여도가 높다. 각각의 평균 차가 3학년쪽이 더 많으므로 학생회활동참여도는 3학년 > 2학년 > 4학년의 순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MT참여는 2학년과 4학년의 차이가 -1.350이므로 2학년이 4학년보다 MT참여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학년 역시 4학년과의 평균 차가 -1.088로서 4학년보다 참여도가 더 높다. 두 경우의 평균 차는 2학년쪽이 더 크므로 MT참여도는 2학년 > 3학년 > 4학년의 순으로 높다.특강참여는 2학년과 3학년의 평균 차가 0.425로 양의 값이기 때문에 2학년이 3학년보다 특강참여도가 더 낮다. 또한 2학년과 4학년의 평균차도 역시 0.863으로 양의 값을 나타내어 2학년이 4학년보다 참여도가 낮다. 3학년과 4학년의 차이는 0.438로 양의 값이며 3학년이 4학년보다 특강참여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강참여도는 4학년 > 3학년 > 2학년의 순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3.0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588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