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2. Date
3. Object
4. Apparatus & Reagents
5. Theory
6. Procedure
7. Data & Result
8. Discussion
9. Reference
2. Date
3. Object
4. Apparatus & Reagents
5. Theory
6. Procedure
7. Data & Result
8. Discussion
9. Reference
본문내용
기 상태를 띄기 위해 1.5를 곱한다.)
실험 A에서 얻은 아세트아닐라이드의 무게 1.75 g
수율 : 아세트아닐라이드 175 %
1.75g/1g x 100% = 175%
8. Discussion
이번 실험의 목적은 산-염기 성질을 이용해서 용해도가 비슷한 두 물질을 분리 정제하는 것이다. 실험은 A,B 두 가지가 있지만 실험 A 아세트아닐라이드의 분리와 재결정만 하게 되었다. 아세트 아닐라이드와 벤조산의 분리 및 재결정은 산,염기가 서로 중화반응을 이용해 용해도의 차이를 만들어 재결정하는 방법이다.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 혼합물이 녹아있는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을 가하면 벤조산과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게 되어 염이 생성되고 이온성 물질인 염의 높은 용해도를 이용하여 용해도가 서로 비슷한 아세트아닐라이드와 벤조산 중에 벤조산의 용해도를 높이는 것이다.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가 다 녹게 되고 천천히 냉각시키면 아세트아닐라이드만 고체로 추출된다. 즉, 아세트 아닐라이드는 염기성 수용액에서 침전되고 벤조산은 염기성 수용액에서 해리되기 때문에 실험 A에서 용매가 약염기가 되면 아세트 아닐 라이드의 침전을 얻어 재결정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강염기가 아닌 약염기가 되어야하는 이유는 급격한 pH변화로 인해 시료에 원하지 않는 변형이 이루어 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재결정을 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원인은 용해도이다. 용해도가 많이 다르면 온도 차이를 이용해서 재결정하고 용해도의 차이가 심하지 않을 때는 용해도의 차이를 늘려주는 실험적 처리를 방법과 어떠한 조건이 생길때 한쪽의 용해도가 0이 되는 지를 확인하여 분별 결정하는 법이 있다. 이번 실험 용매에 따른 용해도 차이를 이용한 추출을 이용한 것 같다.
수율은 175%가 나왔다. 수율이 이렇게 높게 나온 이유는 재결정되어 나온 아세트 아닐라이드를 충분히 건조시킬만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아 물의 무게가 더 해졌기 때문인 것 같다. 또한 물에 들어간 고체가 잘 녹지 않아 NaOH를 2mL정도 더 넣어주었는데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가 비교적 안정한 상태였지만 혹시 pH의 변화커져서 원하지 않은 변형이 이루어져 수율이 높게 나왔을것 같다.
9. Reference
일반화학 / Oxtoby Freeman Block / 청문각 / 1998 / p348~360
이화학대사전 / 이화학대사전 편찬 위원회 / 집분사 / 1990 / p33, p40~43
실험 A에서 얻은 아세트아닐라이드의 무게 1.75 g
수율 : 아세트아닐라이드 175 %
1.75g/1g x 100% = 175%
8. Discussion
이번 실험의 목적은 산-염기 성질을 이용해서 용해도가 비슷한 두 물질을 분리 정제하는 것이다. 실험은 A,B 두 가지가 있지만 실험 A 아세트아닐라이드의 분리와 재결정만 하게 되었다. 아세트 아닐라이드와 벤조산의 분리 및 재결정은 산,염기가 서로 중화반응을 이용해 용해도의 차이를 만들어 재결정하는 방법이다.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 혼합물이 녹아있는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을 가하면 벤조산과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게 되어 염이 생성되고 이온성 물질인 염의 높은 용해도를 이용하여 용해도가 서로 비슷한 아세트아닐라이드와 벤조산 중에 벤조산의 용해도를 높이는 것이다.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가 다 녹게 되고 천천히 냉각시키면 아세트아닐라이드만 고체로 추출된다. 즉, 아세트 아닐라이드는 염기성 수용액에서 침전되고 벤조산은 염기성 수용액에서 해리되기 때문에 실험 A에서 용매가 약염기가 되면 아세트 아닐 라이드의 침전을 얻어 재결정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강염기가 아닌 약염기가 되어야하는 이유는 급격한 pH변화로 인해 시료에 원하지 않는 변형이 이루어 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재결정을 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원인은 용해도이다. 용해도가 많이 다르면 온도 차이를 이용해서 재결정하고 용해도의 차이가 심하지 않을 때는 용해도의 차이를 늘려주는 실험적 처리를 방법과 어떠한 조건이 생길때 한쪽의 용해도가 0이 되는 지를 확인하여 분별 결정하는 법이 있다. 이번 실험 용매에 따른 용해도 차이를 이용한 추출을 이용한 것 같다.
수율은 175%가 나왔다. 수율이 이렇게 높게 나온 이유는 재결정되어 나온 아세트 아닐라이드를 충분히 건조시킬만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아 물의 무게가 더 해졌기 때문인 것 같다. 또한 물에 들어간 고체가 잘 녹지 않아 NaOH를 2mL정도 더 넣어주었는데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가 비교적 안정한 상태였지만 혹시 pH의 변화커져서 원하지 않은 변형이 이루어져 수율이 높게 나왔을것 같다.
9. Reference
일반화학 / Oxtoby Freeman Block / 청문각 / 1998 / p348~360
이화학대사전 / 이화학대사전 편찬 위원회 / 집분사 / 1990 / p33, p40~4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