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영국 극작가 벤존슨의 시대적 배경
1. 청교도 문학
2. 벤존슨의 풍자희극
Ⅱ. 영국 극작가 벤존슨의 생애
Ⅲ. 영국 극작가 벤존슨의 희곡작품 볼포네의 책소개와 줄거리
1. 책소개
2. 줄거리
Ⅳ. 영국 극작가 벤존슨의 희곡작품 볼포네의 내용 분석
1. 남녀관계에서의 자발성의 문제
2. 구원자이자 파괴자인 Henry
3. 상반된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Lawrence의 이원론
4. 이상적인 남녀의 관계
참고문헌
1. 청교도 문학
2. 벤존슨의 풍자희극
Ⅱ. 영국 극작가 벤존슨의 생애
Ⅲ. 영국 극작가 벤존슨의 희곡작품 볼포네의 책소개와 줄거리
1. 책소개
2. 줄거리
Ⅳ. 영국 극작가 벤존슨의 희곡작품 볼포네의 내용 분석
1. 남녀관계에서의 자발성의 문제
2. 구원자이자 파괴자인 Henry
3. 상반된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Lawrence의 이원론
4. 이상적인 남녀의 관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현은 모든 것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때 인간이 진정하고 창조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나타내고자 했다고 본다. 이러한 사상은 작품 속에서 드러날 때 때로는 작품이 사상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작가의 사상을 작품 작품에 명확하게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작품 자체에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독자가 읽어 낼 수 없어 혼돈이 생기기도 한다. 이 작품은 작가의 사상자체가 녹아 있긴 하지만 읽는 사람으로부터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집어낼 수 없게 한다. 이는 등장인물과 Fox를 통해 상징과 무엇을 말하고, 작가가 어느 편에 서있는지 알 수 없게 얘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작가도 어느 누가 옳고 어떻게 해야 된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진 않다. 위에서 얘기했듯이 Henry 와 March의 감정의 본질 역시 딱 나누어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사랑과 증오는 비슷한 것이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 사람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합쳐져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Lawrence의 입장을 전제로 보면 이들의 관계 역시 사랑, 또는 지배-복종문제 하나로 보기 어렵다. 사람이 사람을 만날 때 한 감정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중에도 여러 감정이 순간순간 교차하며, 그렇기에 이 관계는 계속해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Lawrence는 이러한 이원론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서로 다른 성질의 것으로 보이는 것 들간의 조화를 이루어 나가는 삶이야말로 생명력의 원동력이 되며, 이러한 생명력을 지녔을 때만이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다고 보았다.
4. 이상적인 남녀의 관계
Lawrence는 서로를 지배하지 않고 상대의 육체와 영혼을 균등하게 중시하는 조화로운 남녀관계에 육체적 생명력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또한 올바른 육체적 관계를 통해서만이 자신의 생명력을 온전히 회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The Fox의 마지막 부분은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녀는 그가 자신을 소유하길 바라고 거의 모든 면에서 그는 그녀를 소유했지만 그녀는 완전히 성공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그녀가 생각하는 소유의 의미, 행복의 의미, 이상적인 남녀의 관계의 정의와 그가 생각하는 그것과의 차이 때문이다. Henry가 바라는 것은 그녀가 자신 속에 잠기기를 원하나 March는 그녀 스스로 보고 생각하고 이해하며 ‘공존’하기를 바란다. 이것은 거의 몇 세기 동안 또한 지금까지도 남아있는 남여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진정한 조화라는 것은 단순한 혼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지배-피지배의 관계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조화를 이룬다는 것은 누가 누구인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같아지려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아정체성이 확립되고 난 후에 각자의 독립성을 바탕으로 한 혼합만이 이상적인 남녀관계의 틀이 될 것이다. Lawrence가 꿈꾸는 이상적인 남녀 관계는 March가 원하는 공존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이는 남녀관계뿐만이 아니라 나아가서 타인과의 관계, 즉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에서도 자기의 개성을 잃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 나아 갈 때 창조적이고 진정한 의미에서의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1. 김만수, 희곡 읽기의 방법론, 태학사
2. 김회진(1996), 영·미 문학의 이해, 서울 한신문화사
3. 김성희(1996), 연극의 세계, 태학사
4. 민병욱, 현대희극론, 삼영사
5. 송관식 외(1987), 영미문학개론, 개문사
6. 영국문학 탐험 http://mail.suwon.ac.kr/mjlee/400/428.htm
7. 에드윈 윌슨, 세계연극사, (주)한신문화사
작가도 어느 누가 옳고 어떻게 해야 된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진 않다. 위에서 얘기했듯이 Henry 와 March의 감정의 본질 역시 딱 나누어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사랑과 증오는 비슷한 것이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 사람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합쳐져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Lawrence의 입장을 전제로 보면 이들의 관계 역시 사랑, 또는 지배-복종문제 하나로 보기 어렵다. 사람이 사람을 만날 때 한 감정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중에도 여러 감정이 순간순간 교차하며, 그렇기에 이 관계는 계속해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Lawrence는 이러한 이원론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서로 다른 성질의 것으로 보이는 것 들간의 조화를 이루어 나가는 삶이야말로 생명력의 원동력이 되며, 이러한 생명력을 지녔을 때만이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다고 보았다.
4. 이상적인 남녀의 관계
Lawrence는 서로를 지배하지 않고 상대의 육체와 영혼을 균등하게 중시하는 조화로운 남녀관계에 육체적 생명력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또한 올바른 육체적 관계를 통해서만이 자신의 생명력을 온전히 회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The Fox의 마지막 부분은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녀는 그가 자신을 소유하길 바라고 거의 모든 면에서 그는 그녀를 소유했지만 그녀는 완전히 성공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그녀가 생각하는 소유의 의미, 행복의 의미, 이상적인 남녀의 관계의 정의와 그가 생각하는 그것과의 차이 때문이다. Henry가 바라는 것은 그녀가 자신 속에 잠기기를 원하나 March는 그녀 스스로 보고 생각하고 이해하며 ‘공존’하기를 바란다. 이것은 거의 몇 세기 동안 또한 지금까지도 남아있는 남여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진정한 조화라는 것은 단순한 혼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지배-피지배의 관계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조화를 이룬다는 것은 누가 누구인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같아지려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아정체성이 확립되고 난 후에 각자의 독립성을 바탕으로 한 혼합만이 이상적인 남녀관계의 틀이 될 것이다. Lawrence가 꿈꾸는 이상적인 남녀 관계는 March가 원하는 공존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이는 남녀관계뿐만이 아니라 나아가서 타인과의 관계, 즉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에서도 자기의 개성을 잃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 나아 갈 때 창조적이고 진정한 의미에서의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1. 김만수, 희곡 읽기의 방법론, 태학사
2. 김회진(1996), 영·미 문학의 이해, 서울 한신문화사
3. 김성희(1996), 연극의 세계, 태학사
4. 민병욱, 현대희극론, 삼영사
5. 송관식 외(1987), 영미문학개론, 개문사
6. 영국문학 탐험 http://mail.suwon.ac.kr/mjlee/400/428.htm
7. 에드윈 윌슨, 세계연극사, (주)한신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