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타운하우스의 기원
2. 타운하우스 개념
3. 타운하우스의 발전 과정
4. 타운하우스의 유형
5. 타운하우스 특징
6. 타운하우스의 연접개발 제한 법률
7. 타운하우스의 앞으로 나아갈 방향
8. 타운하우스 사례
2. 타운하우스 개념
3. 타운하우스의 발전 과정
4. 타운하우스의 유형
5. 타운하우스 특징
6. 타운하우스의 연접개발 제한 법률
7. 타운하우스의 앞으로 나아갈 방향
8. 타운하우스 사례
본문내용
아파트가 인기가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단독주택 형을 한국인이 생각하는 단점은 관리하기 어렵고 난방비 편리함이 떨어진다는 단점과 보안시스템이 문제점이 있었지만 요즘 들어서는 타운하우스(Town House)는 단독주택 같으면서도 보안시스템이 갖춰져 있고 가격도 아파트에 비해 훨씬 더 비싸게 거래되고 있으며 성향이 같은 이들끼리 같이 아래집 윗집 공동체 성격을 띤 생활도 아파트와 다른 점이다.
도심형 단독주택이 주택시장에 강자로 재부상할지는 좀 더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적어도 5년 후 길게는 10년 후에 도심형 단독형을 선호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젠 우리나라도 주거문화 패턴이 확실하게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외국에 호주나 필리핀, 미국 같은 단독주택 문화하고는 조금 다르지만 추구하는 쾌적한 주거환경 욕구는 높다. 그 높은 주거환경 욕구가 가 타운하우스(Town House)를 요구하고 있으며 "환경과 주거가 한 단계 더 고급화"하고자 하는 욕구가 향후 우리나라를 주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주5일근주제로 인한 생활변화이며 웰빙이 조화 가된 `친환경`이다. 도심을 벗어난 타운 하우스에도 강과 바다, 산, 호수, 숲속 수목원등 친환경 지역이 인기가 있을 것이다. 요즘은 흙으로 이용한 집들과 정해진 규격화된 집들 보다는 개성을 건축 소재를 살려 어우러진 주택들도 인기들이 있다. 내부적으로 조금 불편하지만 생긴 대로 지형대로 자재에 따라 건축물을 지은 집들도 개성만점이다. 도심을 벗어난 주말 주택에서도 그 평수들 인기가 높은 편이다. 실 평수 70~80평대 이상 주택의 별장형 주택 단지형 타운하우스도 인기이다.
한국형 타운하우스는 외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형태가 다르다. 한국 도심에 저층 다세대(빌라) 주택개념의 주택이 아니며 도심을 벗어난 수도권 외곽 지역 양평, 가평, 용인, 광주지역 등 메인거주지역이 아닌 세컨드 하우스 주택 개념에 단지형 전원주택 토지와 건물이 단독소유권을 가진 주택을 말하는 것이다.
8. 타운하우스 사례
1) 메조트론Ⅱ
대지위치 :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249-23,24(2필지)
대지면적 : 1515.7m2 (458.5 평)
건물면적 : 894.77m2 (270.67 평)
건 폐 율 : 59.03%
(=894.77 / 1515.70)
연 면 적 : 3485.82m2 (1054.46 평)
주차대수 : 30대 (법정: 2485.62
85=29.24대)
규모/구조 : 지하1층 / 지상3층
(노출콘크리트조)
주 용 도 : 공동주택 (연립) - 14세대
-특징
노출콘크리트 건물은 가장 견고한 인위적 구조체이면서도 자연의 변화를 그대로 흡입하고 반영하며, 때로는 부드러움을 보이기도 하는 오묘함을 지니고 있습니다. 메조트론는 3개 층이 한 세대로 2층에는 현관, 거실, 식당 등의 공동공간을 1층과 3층에는 3세대가 별거를 통한 공존 생활을 하거나, 재택 비즈니스의 장으로 활용이 감안된 새로운 수직공간 형태의 배열로서 특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3개 층을 한 가구가 쓰는 '복복층 공동주택'이 국내에서 처음 선보인다. 세진주택이 서울 마포구 망원동에 짓고 있는 '메조트론Ⅱ'는 한 세대가 3개 층을 사용토록 설계한 단독주택 개념의 공동주택이다.
대지 459평에 지하 1층, 지상 3층의 빌라 형태로 들어서는데 분양면적 67(전용 43평)~101평형(64평) 14가구다. 1층에 침실 2개와 정원을 꾸미고, 2층은 거실과 주방. 식당을 마련해 가족 공동공간으로 만들었으며 3층은 침실 2개로 설계한 형태다. 현관이 있는 2층이 자연스럽게 생활의 중심공간이 되도록 꾸몄다. 2세대(부모 및 자녀 세대) 및 3세대(조부모-부모-자녀 세대)가 2층 거실을 중심으로 독립공간을 확보하면서 자연스럽게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특징이다.
2)헤르만하우스
헤르만하우스는 100년을 내다본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한 주)제이비에스의 미래형 '타운 하우스'로 삼성중공업이 시공하였고 국내 유명 건축가들의 작품으로 이루어진 파주출판도시의 랜드 마크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갈대샛강과 심학산을 배경으로 펼쳐진 137세대의 타운 하우스는 은회색 빛 최고급 외장재인 징크로 마무리된 라운드형 경사지붕의 수려한 외관을 갖고 있으며 펜트하우스에서 볼 수 있는 6m 천정고의 거실 전면에 단열 및 방음 효과가 탁월하고 고효율 에너지 제품인 초대형 마빈 창호를 통해 따사로운 햇살을 집안 가득 유입할 수 있다. 라운드형 높은 천정의 안방과 16평 규모의 다용도실(층고 3.4)도 공간감과 개방감이 뛰어나다. 헤르만 하우스는 층간 소음에서 자유로울 수 있으며, 세대별로 개별정원과 전용주차장을 갖춰 단독주택 같은 독립성을 확보한다. 아울러 공동관리, 공동경비를 통해 아파트의 편리성을 겸비하고 있다. 중앙공원에는 잔디광장, 놀이터, 실개천과 연못, 데크 등 품격 높은 단지조성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찾는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3)동백어울림
대지면적 : 4324평
연 면 적 : 5600평
층 수 : 지상4층 6개동
가 구 수 : 총48가구
78평형 32가구
84평형 16가구
-특징
큰 평형에 걸맞은 높은 천장고…채광ㆍ통풍이 좋은 동백 아울림은 됐다. 2개 블록(D1-2블록,D1-4블록)으로 나뉘어 있다. 동백 어울림의 최대 장점은 넓은 녹지 공간이다.
금호건설은 '그린 네트워크'를 조경 컨셉트로 내세우고 자연 지형을 최대한 활용한 설계를 선보였다. 우선 주택지가 구릉지에 자리 잡은 점을 십분 고려해 1층 가구에 발코니와 테라스를 모두 설치한다. 그 하부에는 야외 카페테리아를 만드는 한편 단지를 감싸는 해자(垓子·땅을 파서 만든 넓은도랑) 형태의 수로도 조성할 계획이다. 해자 주변은 수경 공간이 되는 셈이다. 다양한 문화시설 역시 동백 어울림의 자랑거리다.
단지 내 가족들이 모두 모여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가든'을 총 6개 설치한다.
각 블록당 2개씩이다. 해자 주변 수경 공간에 만드는 나릿물(냇물) 가든이나 소나무 숲에 조성하는 다솜(사랑) 가든이 대표적이다. 동백 어울림의 설계는 현대 유럽식 스타일이다. 고급스럽고 편안함이 배어나오는 형태다.
도심형 단독주택이 주택시장에 강자로 재부상할지는 좀 더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적어도 5년 후 길게는 10년 후에 도심형 단독형을 선호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젠 우리나라도 주거문화 패턴이 확실하게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외국에 호주나 필리핀, 미국 같은 단독주택 문화하고는 조금 다르지만 추구하는 쾌적한 주거환경 욕구는 높다. 그 높은 주거환경 욕구가 가 타운하우스(Town House)를 요구하고 있으며 "환경과 주거가 한 단계 더 고급화"하고자 하는 욕구가 향후 우리나라를 주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주5일근주제로 인한 생활변화이며 웰빙이 조화 가된 `친환경`이다. 도심을 벗어난 타운 하우스에도 강과 바다, 산, 호수, 숲속 수목원등 친환경 지역이 인기가 있을 것이다. 요즘은 흙으로 이용한 집들과 정해진 규격화된 집들 보다는 개성을 건축 소재를 살려 어우러진 주택들도 인기들이 있다. 내부적으로 조금 불편하지만 생긴 대로 지형대로 자재에 따라 건축물을 지은 집들도 개성만점이다. 도심을 벗어난 주말 주택에서도 그 평수들 인기가 높은 편이다. 실 평수 70~80평대 이상 주택의 별장형 주택 단지형 타운하우스도 인기이다.
한국형 타운하우스는 외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형태가 다르다. 한국 도심에 저층 다세대(빌라) 주택개념의 주택이 아니며 도심을 벗어난 수도권 외곽 지역 양평, 가평, 용인, 광주지역 등 메인거주지역이 아닌 세컨드 하우스 주택 개념에 단지형 전원주택 토지와 건물이 단독소유권을 가진 주택을 말하는 것이다.
8. 타운하우스 사례
1) 메조트론Ⅱ
대지위치 :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249-23,24(2필지)
대지면적 : 1515.7m2 (458.5 평)
건물면적 : 894.77m2 (270.67 평)
건 폐 율 : 59.03%
(=894.77 / 1515.70)
연 면 적 : 3485.82m2 (1054.46 평)
주차대수 : 30대 (법정: 2485.62
85=29.24대)
규모/구조 : 지하1층 / 지상3층
(노출콘크리트조)
주 용 도 : 공동주택 (연립) - 14세대
-특징
노출콘크리트 건물은 가장 견고한 인위적 구조체이면서도 자연의 변화를 그대로 흡입하고 반영하며, 때로는 부드러움을 보이기도 하는 오묘함을 지니고 있습니다. 메조트론는 3개 층이 한 세대로 2층에는 현관, 거실, 식당 등의 공동공간을 1층과 3층에는 3세대가 별거를 통한 공존 생활을 하거나, 재택 비즈니스의 장으로 활용이 감안된 새로운 수직공간 형태의 배열로서 특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3개 층을 한 가구가 쓰는 '복복층 공동주택'이 국내에서 처음 선보인다. 세진주택이 서울 마포구 망원동에 짓고 있는 '메조트론Ⅱ'는 한 세대가 3개 층을 사용토록 설계한 단독주택 개념의 공동주택이다.
대지 459평에 지하 1층, 지상 3층의 빌라 형태로 들어서는데 분양면적 67(전용 43평)~101평형(64평) 14가구다. 1층에 침실 2개와 정원을 꾸미고, 2층은 거실과 주방. 식당을 마련해 가족 공동공간으로 만들었으며 3층은 침실 2개로 설계한 형태다. 현관이 있는 2층이 자연스럽게 생활의 중심공간이 되도록 꾸몄다. 2세대(부모 및 자녀 세대) 및 3세대(조부모-부모-자녀 세대)가 2층 거실을 중심으로 독립공간을 확보하면서 자연스럽게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특징이다.
2)헤르만하우스
헤르만하우스는 100년을 내다본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한 주)제이비에스의 미래형 '타운 하우스'로 삼성중공업이 시공하였고 국내 유명 건축가들의 작품으로 이루어진 파주출판도시의 랜드 마크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갈대샛강과 심학산을 배경으로 펼쳐진 137세대의 타운 하우스는 은회색 빛 최고급 외장재인 징크로 마무리된 라운드형 경사지붕의 수려한 외관을 갖고 있으며 펜트하우스에서 볼 수 있는 6m 천정고의 거실 전면에 단열 및 방음 효과가 탁월하고 고효율 에너지 제품인 초대형 마빈 창호를 통해 따사로운 햇살을 집안 가득 유입할 수 있다. 라운드형 높은 천정의 안방과 16평 규모의 다용도실(층고 3.4)도 공간감과 개방감이 뛰어나다. 헤르만 하우스는 층간 소음에서 자유로울 수 있으며, 세대별로 개별정원과 전용주차장을 갖춰 단독주택 같은 독립성을 확보한다. 아울러 공동관리, 공동경비를 통해 아파트의 편리성을 겸비하고 있다. 중앙공원에는 잔디광장, 놀이터, 실개천과 연못, 데크 등 품격 높은 단지조성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찾는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3)동백어울림
대지면적 : 4324평
연 면 적 : 5600평
층 수 : 지상4층 6개동
가 구 수 : 총48가구
78평형 32가구
84평형 16가구
-특징
큰 평형에 걸맞은 높은 천장고…채광ㆍ통풍이 좋은 동백 아울림은 됐다. 2개 블록(D1-2블록,D1-4블록)으로 나뉘어 있다. 동백 어울림의 최대 장점은 넓은 녹지 공간이다.
금호건설은 '그린 네트워크'를 조경 컨셉트로 내세우고 자연 지형을 최대한 활용한 설계를 선보였다. 우선 주택지가 구릉지에 자리 잡은 점을 십분 고려해 1층 가구에 발코니와 테라스를 모두 설치한다. 그 하부에는 야외 카페테리아를 만드는 한편 단지를 감싸는 해자(垓子·땅을 파서 만든 넓은도랑) 형태의 수로도 조성할 계획이다. 해자 주변은 수경 공간이 되는 셈이다. 다양한 문화시설 역시 동백 어울림의 자랑거리다.
단지 내 가족들이 모두 모여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가든'을 총 6개 설치한다.
각 블록당 2개씩이다. 해자 주변 수경 공간에 만드는 나릿물(냇물) 가든이나 소나무 숲에 조성하는 다솜(사랑) 가든이 대표적이다. 동백 어울림의 설계는 현대 유럽식 스타일이다. 고급스럽고 편안함이 배어나오는 형태다.
추천자료
창업-러브하우스
(A+레포트)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의 성공마케팅 분석 및 전략방안 제시
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와 T.G.I.Friday’s의 비교를 통한 현재 패밀리 레스토랑의 직원 동기 ...
[서비스마케팅]'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마케팅전략 분석 및 서비스개선방안
프랜차이즈 사업 분석 - 내츄럴 하우스 올가닉
[식품기업][식품회사][롯데리아][풀무원][네슬레][아웃백][동양제과]식품기업(롯데리아), 식...
[국제경영전략론]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 경영전략분석
[동양제과][풀무원][삼양][빙그레][네슬레][코카콜라]식품기업 동양제과, 식품기업 풀무원, ...
녹생성장 추진내용 중 건축물(패시브 하우스)관련 신재생 애너지에 대하여
[A+] 호텔 하우스맨 업무 조사보고서 - 서울 리베라호텔 조사방문, 리베라호텔 선정동기, 인...
빕스(VIPS)의 서비스 개선방안 - T.G.I.Fridays(T.G.I.프라이데이스)와 OUTBACK STEAKHOUSE(...
[외식업]외식업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맥도날드), 외식업 프랜차이즈 패밀리레스토랑(아웃...
코오롱스포츠 마케팅전략분석및 경쟁사(노스페이스,콜롬비아,밀레,버그하우스,라푸마)전략 비...
효율적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인간중심 경영 (인간중심 경영, 인간중심 경영의 필요성, 인간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