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ⅰ) 모택동(毛澤東)을 선택한 이유
ⅱ) 리더쉽에 있어서의 정치적 리더쉽
Ⅱ. 본론
ⅰ) 모택동의 리더쉽의 형성
ⅱ) 모택동의 리더쉽의 획득과 행사
ⅲ) 모택동의 군중노선에 있어서의 리더쉽
Ⅲ. 결론
모택동의 리더쉽의 요약과 자질이론의 한계점 언급
ⅰ) 모택동(毛澤東)을 선택한 이유
ⅱ) 리더쉽에 있어서의 정치적 리더쉽
Ⅱ. 본론
ⅰ) 모택동의 리더쉽의 형성
ⅱ) 모택동의 리더쉽의 획득과 행사
ⅲ) 모택동의 군중노선에 있어서의 리더쉽
Ⅲ. 결론
모택동의 리더쉽의 요약과 자질이론의 한계점 언급
본문내용
적 측면이 강한 덕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모택동의 군중노선은 운용방식에 있어 당기구와 행정조직은 물론이고, 신문 라디오와 같은 대중 매체 뿐만 아니라 예술 문화 사회전체까지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조직을 동원하고 있다. 이러한 집체적이고 전민적인 동원과 학습은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로 이어져 왔다고 볼 수 있겠다. 그는 이와 같이 준거적 권력을 이끌어내면서, 그것을 토대로 리더쉽 발휘에 있어 더욱 박차를 가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Ⅲ. 결론
자질이론에 근거한 모택동의 리더쉽을 다시 한번 간단히 요약하면서 그러한 자질이론이 가지는 한계에 대한 부분을 잠시 언급하면서 이번 과제를 마칠까 한다.
어려서부터 부모의 품을 떠나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가운데 남다른 독립심과 투쟁심을 키운 모택동은 비계서적(非繼序的)인 가운데 안정되고 일관된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면서도 학창 시절 동료들 사이에서는 적극적인 리더쉽을 발휘하였는데, 이와 같은 특징은 후일 정치권력의 행사에 있어 천단에 가까운 성격으로 정형화되었다. 정치적 리더쉽을 장악하는 과정에 있어 모택동은 필요한 시간을 벌거나 혹은 더 큰 적과 싸우기 위해 ‘통일전선’과 ‘이이제이’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해 왔으며, 조급하게 권력을 장악하려 들기보다는 단기적인 양보를 통해 명분과 실리를 저울질 하며 운신하였다. 그리고 남달리 정세를 정확히 판단하고 동지를 규합하는 조직력과 판별력이 뛰어난 자질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책략가적 자질은 모택동으로 하여금 중국 사회에서 수십 년에 걸쳐 절대 권력자로 군림할 수 있게 할 수 있었다. 한편 모택동은 정치적 리더쉽을 장악하는 과정에 있어 농민운동을 통해 획득한 독자세력의 지지기반에 근거하여 코민테른과 소련유학파세력을 물리치고 권력을 획득하였다. 이와 같은 모택동의 사회주의중국을 건설하는 데 있어 소련의 영향력을 최대한 배제하려는 노력은 중 소 분쟁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인민통치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던 군중노선의 논리와 운용에 있어서 모택동은 인민 대중의 역할과 신뢰를 강조함으로써 밑으로부터의 충성심을 이끌어내고 대규모 군중동원을 통한 사회주의 건설을 추진하였으며, 군중노선에 근거한 집단적이고 거국적인 학습과정 속에서 철저한 개인숭배를 유도해 냈다. 또한 정적을 제거함에 있어서도 인민의 적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처단함으로써 군중노선에 기반한 대중정치가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집단기술체제의 권력구조 속에서 모택동은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정치투쟁의 성격이 강하게 부과된 대중운동으로서의 군중노선을 추진하였다. 이상으로 모택동의 자질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언급해 보았고, 자질을 근거로 한 정치적 리더쉽의 유형론을 살펴보면, 모택동은 그의 생애 전반을 사회주의 혁명이라는 목표에 매진하였을 뿐 아니라 신 중국을 창건한 이후에도 부단혁명론을 주장하면서 수술(守戌)보다는 창업에 몰두한 창업형 지도자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치적 리더쉽을 획득하고 행사하는 데 따르는 과정과 상황을 놓고 볼 때, 그가 처했던 상황적 논리에 철저했던 것을 간과할 수는 없다. 정치적 리더의 자질에 대한 논의는 동서고금을 망라하여 폭넓게 전개 되어왔다. 그러나 지도자의 특성으로 일반화 될 수 있는 보편타당한 요소를 제시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정치적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자질의 유효성을 지도자와 인민이 처한 역사적 상황과 정치제도에 따라 상대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동 서양에 따라 바람직한 지도자형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점에 비추어 동양의 지도자를 논의할 때는 동양적 관점의 정치 지도자론에 입각하여 연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할 것이다.
Ⅲ. 결론
자질이론에 근거한 모택동의 리더쉽을 다시 한번 간단히 요약하면서 그러한 자질이론이 가지는 한계에 대한 부분을 잠시 언급하면서 이번 과제를 마칠까 한다.
어려서부터 부모의 품을 떠나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가운데 남다른 독립심과 투쟁심을 키운 모택동은 비계서적(非繼序的)인 가운데 안정되고 일관된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면서도 학창 시절 동료들 사이에서는 적극적인 리더쉽을 발휘하였는데, 이와 같은 특징은 후일 정치권력의 행사에 있어 천단에 가까운 성격으로 정형화되었다. 정치적 리더쉽을 장악하는 과정에 있어 모택동은 필요한 시간을 벌거나 혹은 더 큰 적과 싸우기 위해 ‘통일전선’과 ‘이이제이’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해 왔으며, 조급하게 권력을 장악하려 들기보다는 단기적인 양보를 통해 명분과 실리를 저울질 하며 운신하였다. 그리고 남달리 정세를 정확히 판단하고 동지를 규합하는 조직력과 판별력이 뛰어난 자질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책략가적 자질은 모택동으로 하여금 중국 사회에서 수십 년에 걸쳐 절대 권력자로 군림할 수 있게 할 수 있었다. 한편 모택동은 정치적 리더쉽을 장악하는 과정에 있어 농민운동을 통해 획득한 독자세력의 지지기반에 근거하여 코민테른과 소련유학파세력을 물리치고 권력을 획득하였다. 이와 같은 모택동의 사회주의중국을 건설하는 데 있어 소련의 영향력을 최대한 배제하려는 노력은 중 소 분쟁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인민통치의 수단으로 활용되었던 군중노선의 논리와 운용에 있어서 모택동은 인민 대중의 역할과 신뢰를 강조함으로써 밑으로부터의 충성심을 이끌어내고 대규모 군중동원을 통한 사회주의 건설을 추진하였으며, 군중노선에 근거한 집단적이고 거국적인 학습과정 속에서 철저한 개인숭배를 유도해 냈다. 또한 정적을 제거함에 있어서도 인민의 적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처단함으로써 군중노선에 기반한 대중정치가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집단기술체제의 권력구조 속에서 모택동은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정치투쟁의 성격이 강하게 부과된 대중운동으로서의 군중노선을 추진하였다. 이상으로 모택동의 자질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언급해 보았고, 자질을 근거로 한 정치적 리더쉽의 유형론을 살펴보면, 모택동은 그의 생애 전반을 사회주의 혁명이라는 목표에 매진하였을 뿐 아니라 신 중국을 창건한 이후에도 부단혁명론을 주장하면서 수술(守戌)보다는 창업에 몰두한 창업형 지도자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치적 리더쉽을 획득하고 행사하는 데 따르는 과정과 상황을 놓고 볼 때, 그가 처했던 상황적 논리에 철저했던 것을 간과할 수는 없다. 정치적 리더의 자질에 대한 논의는 동서고금을 망라하여 폭넓게 전개 되어왔다. 그러나 지도자의 특성으로 일반화 될 수 있는 보편타당한 요소를 제시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정치적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자질의 유효성을 지도자와 인민이 처한 역사적 상황과 정치제도에 따라 상대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동 서양에 따라 바람직한 지도자형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점에 비추어 동양의 지도자를 논의할 때는 동양적 관점의 정치 지도자론에 입각하여 연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