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민화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민화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작호도(鵲虎圖) 또는 호작도
◎ 십장생도(十長生圖)
※ 소재별 상징
◎ 산수도(山水圖)
작품설명1. 소상팔경도 (가회박물관 소장.)
작품설명2. 금강산도

본문내용

본문내용 중 일부 발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작호도 鵲虎圖
작호도(鵲虎圖): 까치와 호랑이를 그린 그림
한 마리의 까치와 한 마리의 호랑이 함께 그려진다.
까치는 호랑이를 향해 무언가 의사를 전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호랑이는 그 까치를 쳐다보거나 앞을 보고 있는 자세를 취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작호도에 내재된 의미: 신년보희
까치: 상서로움과 기쁨을 전해준다고 하여 기쁠 희(喜)를 나타낸다.
호랑이: ‘알리다’는 뜻의 보(報)는 중국식 발음이 ‘pao'이다. 이것은 표범의 ’표(豹)‘ 자와 중국식 발음이 같아 본래 표범을 그렸다. 그러나 우리나라로 전래되며 범보다 친숙한 소재인 호랑이로 점차 변화했다.
소나무: 소나무[松]는 중국식 발음이 보낸다는 의미의 送과 같다. 따라서 이것은 묵은 해를 보낸다는 의미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십장생 소재의 의미-학
1. 학: 중국에서 봉황 다음으로 진중하게 여겨진다. 그것은 신선의 공중사자(空中使者)로 간주하여 신비적인 동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정철: <성산별곡 星山別曲> 중
“하늘 높이 떴는 학이 이골의 참된 신선이라”
송순: 〈면앙정가 俛仰亭歌〉중
“구름 탄 청학(靑鶴)이 천리를 가리라”
<열녀춘향수절가> 중
선녀가 청학을 타고 내려오는 장면을 묘사했다.
학이 선계의 상징적 동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말해 주는 것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소상팔경도
중국 북송의 송적이 그린 여덟 폭의 그림이 전형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전해져 조선시대 말기까지 유행했다.
고려시대: 이인로, 이규보 등이 소상팔경 시
조선시대 : 안견파 화가들이 즐겨 그렸다.
특히, 조선시대 중기- 이징, 김명국
후기- 정선, 심사정
뛰어난 직업 화가들이 활약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금강산도
금강산을 구경한 적 없는 민화 화가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고 생각하고 있는 금강산을 그렸다.
그들은 정선, 김홍도와 같은 직업 화가들이 실제로 금강산 경치를 보고 그린 금강산도를 본 적이 있었을 것이고, 그 그림에서 눈여겨보았던 구도를 빌어 와 금강산도를 그렸을지도 모른다.
금강산도는 관념의 세계와 조형적 시각의 경계를 허물어버린 그림이라 할 수 있다.

키워드

조선,   민화,   십장생,   작호도,   미술,   산수도,   한국화,   호작도
  • 가격3,3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0.03.11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589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