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거리 탐방기 A+받은 자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사동 거리 탐방기 A+받은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본문내용

때문에 일요일에 쇼핑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간대별로는 인터넷 쇼핑몰이 오전 10시∼오후 6시인 근무시간에 매출건수의 62.2%를 차지한 반면 대형 유통점은 오후 4∼8시의 매출 건수가 전체의 42%를 차지하였다. 이는 직접 매장을 방문할 시간이 없는 직장인이나 주부들이 주로 이용하는 인터넷 쇼핑몰은 낮 시간에 상품을 구입하고, 대형쇼핑몰은 퇴근 전후의 시간대에 이용하기 때문이다.
(2) '엔포테인먼트' 마케팅 전략 -상품정보와 생활정보 결합
상품 정보와 생활문화 정보를 결합시키는 서비스가 인터넷 쇼핑을 중심으로 보편화되고 있다. 단순한 나열식 상품 소개에서 벗어나 콘텐츠를 결합시킨 테마숍, 상품 정보와 생활정보를 재미있게 결합시킨 엔포테인먼트 형식을 띠고 있다.
LG-e숍은 '테마토크 광장'을 마련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노하우에 대한 의견을 서로 교환하며 전문가들의 조언도 덧붙여 올바르고 유용한 쇼핑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 '전문몰' 마케팅 전략 -특정계층, 특정제품별
인터넷 쇼핑몰이 전문점 시대로 나가고 있다. 유아, 독신, 여성, 매니아 등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하거나, 가전, 인테리어 등 특정 제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인터넷 사이트 전문몰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한솔CS클럽은 상품군별로 매장을 전문화한다는 계획에 따라 6월부터 가구·생활용품, 패션잡화, 스포츠·건강용품 등 전문매장을 오픈한데 이어 최근에는 가전, 핸드폰 매장과 유아, 아동 매장을 새 단장했다.
(4) '숫자' 마케팅 전략
백화점, 홈쇼핑, 인터넷 쇼핑몰 등 유통업계는 창립 기념일을 맞아 설립 햇수와 연관된 숫자를 이용한 각종 이벤트를 마련하여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숫자 마케팅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업종은 젊은 고객들이 많이 몰리는 인터넷 쇼핑몰이다.
창립 7주년을 맞는 인터파크는 숫자 7과 관련된 '7대 이벤트'를 열어 고객을 유혹하고 있다. 즉, 7시간 핫 경매, 인터파크 7년 베스트 상품 퀴즈, 7대 휴양지 초대, 7대 공연 초대 등 숫자 7을 강조하는 행사를 하고 있다.
(5) '아바타' 마케팅 전략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아바타 마케팅이 한창이다. 아바타(Avata)란 사이버 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3차원이나 가상현실게임 또는 웹에서의 채팅, 쇼핑몰 등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젊은층 고객이 좋아하는 아바타를 이용하여 아바타 의상이나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아바타 마케팅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아바타 마케팅은 타깃 고객을 회원으로 유치함은 물론 제품 홍보까지 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9. 인터넷쇼핑몰의 경영전략
(1) 쇼핑 재미 극대화를 통해 젊은 층을 집중 공략
전통업체와의 경쟁은 인터넷 쇼핑몰의 성장을 위한 전제조건이며, 이와 관련하여 젊은 세대는 현재와 미래의 가장 중요한 목표 시장이다.
가격, 정보, 브랜드, 쇼핑재미를 중시하는 젊은 층의 욕구를 경매, 다양한 제품, 솔직한 댓글로 충족시켜 준 것이 성공의 주요 원인이다.
(2) 백화점보다 더 백화점다운 제품 구색
백화점은 최고 명품만을 지향하고 있어, 유통업체 중 다양한 제품구색을 갖춘 `백화점`다운 유통업체는 인터넷 쇼핑몰 뿐이다. 실례로 인터넷 업체들은 자동차에서 여행상품까지 3만여 종의 상품 이외에, IKEA 등 오프라인에서 구매가 불가능한 브랜드도 취급하고 있다.
(3) 할인점보다 더 할인점다운 가격 제공
할인점이 다점포 전략과 글로벌 소싱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했다면, 인터넷 업체들은 다양한 판매자 유입을 통한 경쟁으로 저가를 실현한다. 또한 할인점들이 가격정찰제로 고정된 거래방식을 고수하는 반면, 인터넷 쇼핑몰들은 공동구매, 경매, 즉시구매 등 다양한 거래방식을 제공한다.
(4) 정보 공유 사이트와의 적극적인 연계
인터넷 구매의 가장 큰 강점은 동일 브랜드, 동일 사양이라도 가격비교사이트를 통해 어느 판매자가 가장 저렴한지 검색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다나와’ 같은 비교 사이트나 ‘디씨인’ 과 같은 마니아 사이트는 쇼핑몰 이벤트, 신제품 정보, 구매가이드, 전문가 의견 등을 제공함으로서 객관적인 제품평가기관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5) 판매자의 유입과 경쟁을 촉진
중개몰이 성공한 이유는 소비자 유인과 함께 다양한 판매자들을 중개몰로 유인하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즉, 고객에게 쇼핑재미를 제공해 주는 제품구색, 저렴한 가격, 가격비교사이트와의 연계는 판매자 수가 증가했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업체와의 경쟁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판매자의 유입에 노력한 후, 전략적으로 판매자간 경쟁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10. 인터넷쇼핑몰의 향후전망
(1) 전문쇼핑몰의 활성화
기존 종합물에 이어 특정 아이템만을 다루는 전문몰 시장이 크게 활성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대기업들이 쇼핑몰시장에 적극 참여하면서 틈새시장을 겨냥한 전문몰 시장이 각광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응해 이미 종합쇼핑몰업체도 전문몰을 강화하고 있다. 인터파크는 티켓, 북, 게임파크 등 5개의 전문몰 외에 CD전문매장인 CD파크와 아동용품 전문 매장인 키즈파크를 열 예정이다. 삼성몰은 자동차, 가구, 여행, 서적 등을 다루는 특화된 전문점을 개설키로 했다.
(2) 중소 쇼핑몰의 제휴와 합병
유통과 물류, 15만~20만종에 달하는 메가 아이템을 갖춘 대기업에 대항해 중소기업은 제휴나 합병을 통해 공동마케팅에 적극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기업들이 일제히 인터넷 시장에 뛰어들어 경쟁이 치열해진 상황에서 중소 쇼핑몰업체들의 살아남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일 것이다.
(3) 콘텐츠, 커뮤니티, 커머스 통합
쇼핑몰 고객을 잡기위한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점차 커머스와 커뮤니티, 콘텐츠의 구분이 없어질 전망이다. 회원 확보를 위해 쇼핑몰에서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각종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등 지금까지의 사업 경계가 점차 사라진다. 또 이런 통합화 작업은 쇼핑몰업체가 직접 사이트를 개설하는 비생산적인 방법보다는 콘텐츠 혹은 커뮤니티 특성을 갖춘 사이트와 제휴하는 등 윈-윈 차원에서의 구축 움직임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3.14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