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는 매우 작지만
우리가 계산하는 값들은 대부분이 소수 몇 번째 자리에 해당하는 값이므로 작은 오차도 계산을 통해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그 밖에 아무래도 콘덴서 내부에도 저항이 있기 때문에 전압강하 현상이 나타나므로 오차를 제공했다고 본다.
그리고 이번에는 실험을 하는 과정과 결과를 통해 오차를 구하는 과정에는 큰 무리가 없었지만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그 중에 질문1이 가장 어려웠다. 위의 질문1에서 언급되었듯이 RL 회로에서는 역기전력이 약간 작게
나왔다. 나는 이러한 원인에 대해 많이 고민해 보았지만 정확한 이유가 생각나지 않았다. 그런 와중에 샘플링 속도를
다르게 하여 얻은 그래프를 유심히 보다가 우연히 역기전력의 크기에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도선의
내부저항과 코일 자체의 저항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오차로 생각해 보았지만 지금까지 배워왔던 이론으로는 더 이상
설명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본다.
/////////////////////////////////////////////////////////
2.
2.결과 및 토의
교류전압을 걸었을 때, R, L, C 각각에 흐르는 전류 파형의 위상과 최대값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 또, RLC 회로에서의
공명현상을 관찰하고, 공명주파수를 실제로 측정하여 확인하는 실험이다.
도선 및 회로 연결 요소의 저항과 전원장치의 내부저항에, 처음 주어진 5V의 일부가 할당되어서 실제 R, L, C에 할당된 전압은
5V보다 적었고, 따라서 그에 따른 최대 전류도 예상보다 적었다. 또, 인덕터에는 인덕턴스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약 3Ω 정도의
내부저항이 있었다. 그래서 실제로는 RL 회로에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었을 것이다.
또, 각 요소들의 공칭값이 미세하게나마 부정확한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저항 R의 공칭값은 10Ω이지만 실제로는
10.1Ω이었다.
최대 전류값을 부정확하게 구한 것도 원인이다. 어느 지점이 정확히 최대 전류값의 위치인지 불분명했다. 소수 셋째
자리까지 얻을 수 있도록 설정했으나, 컴퓨터를 통한 수작업의 한계 때문에, 한 지점 주변에서 얻을 수 있는 값이
매우 불연속적으로 몇 개로 제한되어 있었다.
이 원인들은 RLC 공명 회로에서도 마찬가지로 오차 원인으로 작용했다. 공명이 이루어지는 실제 주파수는 이론값보다
낮았다. 리액턴스 이기 때문에 R이 예상보다 크면 전류가 그만큼 작아지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를 입력할 때에도 단시간 내에 입력하는 값이 많다보니 소수점 단위로까지 입력할 수는 없었다.
정수 단위의 주파수까지 구하지 못해서 이론값과 1이하의 차이를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덧붙여서, L만의 회로에서 철심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역시 큰 차이를 보였다. 5V의 전압을 입력했을 때 나타나는
최대 전류를 비교해 보면, 철심이 있는 경우가 2배 정도 크게 나타나서, 공심의 인덕턴스인 12mH의 이론값과는 당연히
크게 어긋났다. 인덕턴스값이 이미 코어 내부의 물질을 고려한 값이란 사실을 확인했다.
우리가 계산하는 값들은 대부분이 소수 몇 번째 자리에 해당하는 값이므로 작은 오차도 계산을 통해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그 밖에 아무래도 콘덴서 내부에도 저항이 있기 때문에 전압강하 현상이 나타나므로 오차를 제공했다고 본다.
그리고 이번에는 실험을 하는 과정과 결과를 통해 오차를 구하는 과정에는 큰 무리가 없었지만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그 중에 질문1이 가장 어려웠다. 위의 질문1에서 언급되었듯이 RL 회로에서는 역기전력이 약간 작게
나왔다. 나는 이러한 원인에 대해 많이 고민해 보았지만 정확한 이유가 생각나지 않았다. 그런 와중에 샘플링 속도를
다르게 하여 얻은 그래프를 유심히 보다가 우연히 역기전력의 크기에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도선의
내부저항과 코일 자체의 저항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오차로 생각해 보았지만 지금까지 배워왔던 이론으로는 더 이상
설명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본다.
/////////////////////////////////////////////////////////
2.
2.결과 및 토의
교류전압을 걸었을 때, R, L, C 각각에 흐르는 전류 파형의 위상과 최대값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 또, RLC 회로에서의
공명현상을 관찰하고, 공명주파수를 실제로 측정하여 확인하는 실험이다.
도선 및 회로 연결 요소의 저항과 전원장치의 내부저항에, 처음 주어진 5V의 일부가 할당되어서 실제 R, L, C에 할당된 전압은
5V보다 적었고, 따라서 그에 따른 최대 전류도 예상보다 적었다. 또, 인덕터에는 인덕턴스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약 3Ω 정도의
내부저항이 있었다. 그래서 실제로는 RL 회로에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었을 것이다.
또, 각 요소들의 공칭값이 미세하게나마 부정확한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저항 R의 공칭값은 10Ω이지만 실제로는
10.1Ω이었다.
최대 전류값을 부정확하게 구한 것도 원인이다. 어느 지점이 정확히 최대 전류값의 위치인지 불분명했다. 소수 셋째
자리까지 얻을 수 있도록 설정했으나, 컴퓨터를 통한 수작업의 한계 때문에, 한 지점 주변에서 얻을 수 있는 값이
매우 불연속적으로 몇 개로 제한되어 있었다.
이 원인들은 RLC 공명 회로에서도 마찬가지로 오차 원인으로 작용했다. 공명이 이루어지는 실제 주파수는 이론값보다
낮았다. 리액턴스 이기 때문에 R이 예상보다 크면 전류가 그만큼 작아지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를 입력할 때에도 단시간 내에 입력하는 값이 많다보니 소수점 단위로까지 입력할 수는 없었다.
정수 단위의 주파수까지 구하지 못해서 이론값과 1이하의 차이를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덧붙여서, L만의 회로에서 철심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역시 큰 차이를 보였다. 5V의 전압을 입력했을 때 나타나는
최대 전류를 비교해 보면, 철심이 있는 경우가 2배 정도 크게 나타나서, 공심의 인덕턴스인 12mH의 이론값과는 당연히
크게 어긋났다. 인덕턴스값이 이미 코어 내부의 물질을 고려한 값이란 사실을 확인했다.
추천자료
시스템 자동화및 설비(센서,스위치)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 응답
RLC 교류 회로의 임피던스 측정 예비 보고서
[전자회로실험] AVR을 이용한 DC전압, 전류 측정
연산증폭기 전압비교기(예비보고서)
(결과보고서) 실험2. 전자공학센서 활용 및 실험 데이터 분석(공통2)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실습] (결과) 설계실습 02. 접촉식 초전형(Pyroelectric) 적외...
미약생체신호, 인체신호전달, 68000의 신호, 디지털신호처리의 압축알고리즘, 컬러TV의 신호...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 (결과) 실험 10: 온도 센서
접촉식 초전형(Pyroelectric) 적외선 센서
RLC소자의 이해
대학물리실험 -변압기(유도전압)
[일반물리학 실험] R-L-C 회로 측정 : ① R, L, C 각 소자의 특성을 알아본다, ② 교류 회로에...
숭실대 2-2학기 기초회로실험 예비리포트 31개 모음 {전압분할 및 전류분할 회로,키르히호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