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의미와 용어, 국악(한국전통음악)과 국악기(한국전통악기), 국악(한국전통음악) 상설기획공연, 국악(한국전통음악) 국제교류활동, 국악(한국전통음악)과 서양음악 비교 및 국악인(전통음악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의미와 용어, 국악(한국전통음악)과 국악기(한국전통악기), 국악(한국전통음악) 상설기획공연, 국악(한국전통음악) 국제교류활동, 국악(한국전통음악)과 서양음악 비교 및 국악인(전통음악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의미

Ⅲ. 국악(한국전통음악) 용어의 정리
1. 국악동요
2. 전래동요
3. 국악기
4. 국악표현

Ⅳ. 국악(한국전통음악)과 국악기(한국전통악기)
1. 편종
2. 양금
3. 징
4. 자바라
5. 꽹과리
6. 편경
7. 거문고
8. 가야금
9. 해금
10. 아쟁
11.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
12. 대금
13. 소금
14. 단소
15. 생황
16. 나각
17. 장구
18. 좌고
19. 소고
20. 박
21. 태평소

Ⅴ.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상설기획공연

Ⅵ.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국제교류활동

Ⅶ. 국악(한국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의 비교
1. 악식
2. 연음
3. 꾸밈음
4. 조바꿈
1) 직접 조바꿈
2) 간접 조바꿈
5. 음악형식
1) 정악
2) 기악

Ⅷ. 현대의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으로 진행한 후 그 선법의 특징인 선율 진행으로 곧 바꾸는 (가곡의 경우) 두 가지 방법이 있다.
2) 간접 조바꿈
이것은 <본디조>와 <목적조> 사이에 공통 악절이나 (타령->군악의 경우) 또는 악절이 아닌 특수한 악기의 신호로 (삼현도드리->도드리의 경우) 목적조에 이르는 것이다.
5. 음악형식
1) 정악
우리 나라 음악은 서양 음악처럼 [소나타] [론도]등, 특이하고 일정한 형식이 없으며 느린 선율로 말미암아 동기를 정하기 어려우므로 단지 반복되는 장단에 의해 형식을 가르는 수 밖에 없다. [정악]에서 특별한 형식이란 [환입] 형식을 말할 수 있겠다. 이것은 곡을 처음부터 시작하여 끝에서 다시 중간부로 돌아가 끝나는 것인데 이는 서양 음악의 달 세뇨(dal segno) 와 같은 것이다. 이렇게 전반과 후반의 첫머리가 다른 것을 [환두] 라 하고 이와 같이 반복되는 부분을 일러 [도드리]라 하며 이것을 [도드리 형식] 이라 한다. 한편 계면 가락도 도드리에서처럼 곡조 처음으로 반복되어 중간부에서 끝나는 다 카포 (da capi) 와 같은 [도드리 형식] 도 있다. 이 외의 다른 형식은 모두 장단에 의해 구별되고 있으며 멜로디로 형식을 구별하는 일은 거의 없다.
2) 기악
기악에서 느림--보통--빠름의 순서로 되는 곡은 이미 산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느린 한배로 시작하여 보통 중간의 속도, 그리고 끝에 이르러 아주 빠르게 여미는 악곡 형식은 산조에서 처음 창출된 것이 아니고 훨씬 전부터 있어 왔다. 광해군 2년 양덕수 편찬의 <양금신보> 에 보면 [시용만중삭 개출어정삼기회중] 이라 하여 느림, 보통, 빠름의 삼체는 이미 고려때 일명 [진작] 으로 이르던 [정과정곡]에 연유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가곡] 의 <만대엽 <중대엽> <삭대엽>, [영산회상] 의 <상영산> <중영산> <세영산>, [무용곡] 의 <염불> <타령> <굿거리> 등은 모두가 느린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가장 빠른 장단에서 끝을 맺는다.
한국 음악은 서양 음악과는 달리 일정한 형식이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장단이 음악을 대표한다.
Ⅷ. 현대의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국악연주단체에서 활동하는 기악연주가는 국악 실내악단관현악단의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 등의 국악기로 정악민속악 등의 전통국악을 연주하거나 신국악, 즉 창작국악을 합주하며 정기비정기 특별 연주회를 개최하고 개인 연주회를 연다. 지방공연을 하거나 해외공연을 하기도 하며 다른 연주단체의 공연에 객원 연주자로 협연할 때도 있다. 공연시간은 1회 공연에 약 90분 정도 소요된다. 또 성악가는 정가(正歌)에 포함되는 가곡가사시조를 노래하고 판소리, 민요, 가야금병창을 하는데 연주단과 함께 공연을 하거나 개인공연을 가진다. 또 각 장르를 함께 공연하기도 한다. 판소리는 1인의 창자(唱者)가 북장단에 맞추어 긴 줄거리를 가진 사설을 부르는 것으로 소리(창), 아니리(독백), 발림(몸짓)으로 구성한 극적 음악이다. 현재는 대표적으로 다섯 마당(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심청가)이 전하고 있다. 판소리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창극(唱劇)은 춘향전, 심청전 등의 고전작품을 무대 양식화하거나 창작대본을 바탕으로 공연하는 것으로 연기와 판소리가 결합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국악인들은 또한 우리 고유의 음악뿐만 아니라 서양음악, 무용 등 다양한 예술장르와 협연을 하거나 국악강습감상회를 개최하여 일반인들의 국악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높이려는 시도도 한다. 그리고 국악의 특성상 화성보다는 가락과 장단을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국악연주단의 합주에서는 각 악기 파트가 나름대로 최대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통국악합주에서는 별도의 지휘자가 없으므로 단원들간의 호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악인들은 이처럼 국악연주단체 혹은 개인활동을 하면서 신문, 방송, 잡지 등에 국악관련 기사를 기고하여 우리 음악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기도 하고 초중고교 음악교사, 대학 음악강사, 교수로 있으면서 학생들을 지도하거나 국악관련 교습학원을 운영하면서 공연에 참가하기도 한다. 또 각종 국악 경연대회에 참가하여 자신의 실력을 인정받는다. 국악관현악단은 각 악기부문별로 부수석과 수석단원이 있고 전 단원의 공연작품연습을 지휘감독하는 악장이 있다.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문예연감}에 의하면 한 해의 국내국악공연은 총 1,440회로 전통음악 연주회가 전체 40.4%를 차지하는 582회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사물놀이와 굿, 탈춤 등 민속공연이 313회로 21.7%이다. 연주형태별로는 기악연주회의 공연이 가장 활발했으며 특히 관현악연주회가 전체 기악연주회의 74.6%를 차지하고 있다.
Ⅸ. 결론
한국의 전통 음악은 지금까지 우리 민족이 이 땅에서 이루어 놓은 음악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런데 전통 음악을 잘못 해석하면 옛날 음악이 되어 버리는데 그렇게만 해석하면 부족하다. 전통이란 옛날부터 오늘날을 거쳐 미래에도 지속되는 하나의 흐름 전체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 각도에서 전통음악이란 용어를 해석하고 이해해야 한다. 그 흐름에서는 수많은 음악이 생겨나고 발전하고 또 변하기도 하며 없어지기도 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결국 전통음악의 흐름 자체는 우리 나라 사람의 생활과 우리에게 어울리는 음악이 주류를 이루어 갈 것이고, 예술성이 높고 생명력이 있는 것들이 살아남는 것 또한 당연한 일이다. 이와 같이 ‘전통음악’이란 용어는 우리 나라 역사 속의 음악이란 뜻이 짙고 옛날음악이면서도 오늘날까지 그 음악이 살아 있는 지속적인 음악이란 뜻이 있다. 또한 우리 나라 민족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 그리고 생활과 정서 속에서 나타나고 성장하여 다듬어진 음악의 전부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오성, 한민족 음악론, 학문사
나원화(1994), 제의/민족음악, 정악의 부흥을 위하여, 신천지
박범훈(1992), 국악기이해, 서울 세광출판사
손태룡(1996), 한국음악개론
이성천 외(1997), 한국 한국인 한국음악, 서울 풍남
이성재(1994), 재미있는 국악 길라잡이, 서울미디어
전인평(1993), 국악감상-한국 음악의 멋, 중앙대학교출판부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2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