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며
▶ 문학관, 세계관과 사상
▶ 시세계의 특징
▶ 나오며
▶ 문학관, 세계관과 사상
▶ 시세계의 특징
▶ 나오며
본문내용
서 일정한 역사적 진보성을 지니고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지배세력으로 편입되면서 기성권력적인 보수성 역시 지니게 된 것이다. 이런 이중적 모순심리는 정치적으로는 토지제도의 개혁에 대한 입장에서 확인되듯 점전적 개혁주의자로 현상화되었으며, 또한 교화주의에 대한 의존으로 나아가게 했던 것이다. 그것은 편향성을 띠고 있어 위에 대한 풍간에는 소홀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가 사회문제를 환기시키는 경우에도 강렬한 비판의식은 자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색은 뛰어난 시적 자질과 넉넉한 학문을 소유한고 있었으며 많은 후진들을 배출해 냄으로써 이후의 문풍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조선 전기 사대부 문학의 두 갈래 조류, 관각문학과 처사문학의 근원을 소급한다면 그 발원지는 이색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