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마토그래피 결과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시간
3. 이 름
4. 공동실험자
5. 시약 및 기구
6. 실험 방법
7. 실험 결과

본문내용

품이고 나머지는 부작용을 일으키는 불순물일 경우에 TLC를 사용해서 원하는 성분만을 순수한 고체 상태로 얻으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 우선 원하는 물질과 불순물의 전개율(Rf)이 최대한 많이 차이나도록 전개용매를 만든다. 그 후 혼합물을 최소한의 용매에 녹이고 보통의 TLC plate 보다 두껍게 코팅된 TLC plate에 균일하게 로딩(loading)하여 전개시킨 후 원하는 부분을 긁어내어 원하는 물질이 잘 녹는 용매를 가하여 녹인 후 여지 등으로 여과한 후 건고시키면 원하는 성분의 고체를 얻을 수 있다.
4) 이 실험에서 TLC를 이용해 혼합물을 구성하는 화합물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만약 혼합물에 섞여있는 화합물의 농도도 함께 알고 싶을 경우에는 어떤 방법이 가능 하겠는가?
- 먼저 농도를 알고 있는 물질을 농도별로 동량으로 정적한 후 전개시켜 spot의 강도와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혼합물도 역시 동량으로 정적하여 전개시킨 후 spot의 강도를 계산하고 표준물질의 spot의 강도와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식에 대입하여 농도를 산출한다.
8. 고 찰
이번 실험은 전개용매를 일정 비율(1-Butanol : Acetic acid : H2O = 6 : 1.5 : 2.5로 만든 후, TLC plate에 각각의 다른 식용 색소 3개를 찍은 후 전개용매에 담근 후에 전개율(Rf)을 이용하여 미지 시료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일반적으로 정상 크로마토그래피는 정지상이 극성, 이동상이 무극성이다. 이번 실험 역시, 정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실험한 것이다. 따라서 극성 성분일수록 정지상이 되어, 더 오래 머무르게 되어 시료의 이동속도가 느려진다. 실험을 통해 얻은 전개율(Rf)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시료들 간의 극성정도는 ‘황색 5호 > 적색 40호 > 미지시료’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자 내에서 양전하와 음전하의 무게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때 극성을 갖는다고 하는데 위 실험을 통해 극성화합물은 극성 용매에 잘 녹는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용질이 고정상에 대해 서로 다른 분배 계수(K)를 갖는 이유는 용질 분자와 고정상을 이루는 물질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힘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고정상이 극성을 뛰는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극성이 작은 용질 분자보다는 극성이 큰 용질분자와 상호작용이 더 크게 되기 때문이었다.
이 실험에서 대략의 전개율(Rf)은 측정했지만 정확하지는 못했던 것 같다. 여러 번의 반복 실험을 하지 못한 것도 있지만 TLC plate의 길이가 짧아, 전개용매가 TLC plate를 타고 올라오는 시간이 충분치 못했던 것도 한 이유이다. 아마 TLC plate가 길었더라면 좀 더 정확한 결과 값을 도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TLC plate에 모세관으로 색소를 찍을 때 너무 세게 찍는 바람에 얇게 도핑(dopping)되어있던 실리카가 파이는 바람에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는 데 실패하였다. 매번 실험 때마다 오차를 줄일려고 노력은 하는데 그게 잘 안 되는 것 같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1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