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년실업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 자료

본문내용

도움이 돼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청년 고용창출효과 가 큰 산업분야를 우선적으로 육성해야한다. 특히 요즘 청년들이 선호하는 IT, 문화 콘텐츠, 디자인 등을 전략 산업으로 키워야한다.
현재의 기업들은 인건비 부담, 노사분규 문제, 고용조정 애로 등을 이유로 채용능력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채용을 기피하고 있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런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투자에 나서도록 정책 일관성을 유지하고, 기업 활동 관련 규제를 완화하여야 한다.
청년들의 안정적인 취업을 돕고 기업의 신규인력 비용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는 인턴제의 도입도 실업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인턴제의 도입을 꺼리는 회사들도 있을 수 있으니 어떠한 혜택을 줘서 인턴제의 대중화를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경쟁력 있는 미취업자들의 경우 해외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가 있겠다.
학교에서부터 기업이 원하는 인재로 길러낸다면 더욱더 좋은 해결방안이 될 수있다고 생각한다. 기업은 학교에 원하는 인재 양성과정을 요구하고, 연구개발비를 지원하며, 산학협동을 통하여 필요한 인재를 길러 낼 수 있으며, 학교로서는 경쟁력 있는 인재를 길러내 학교 가치가 높아지므로 서로 서로에게 좋은 WIN-WIN 전략이 아닐 수 없다.
우리의 청소년들은 대학을 자신의 미래 직업과 연관지어 진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청소년 시절부터 진로 탐색을 돕기 위해서 조기 직업교육과 진로지도를 실시하여야한다.
3. 결 론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은 많이 있다. 하지만 나는 국가나 기업들이 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이 아닌 우리 스스로의 의식의 변화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최고의 대책이라고 생각한다.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 사회에 나가서 남들과 경쟁하였을 때이길 수 있는 자신만의 경쟁력을 쌓아야하며, 또한 우리 청년들의 자신의 눈을 조금 낮출 줄 알아야한다. ‘대기업이 아니면 안 돼’, ‘연봉 3000만원 이하면 안 돼’ 이러한 생각들을 버리고 비록 자그마한 중소기업이지만 연봉은 얼마 안 되지만 자신의 일자리를 찾아 그곳에서 자신의 분야에서 열심히 노력만 한다면 연봉은 얼마든지 올라갈 것이며, 노력만 한다면 대기업에서 스카웃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심각한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 젊은이들은 눈을 낮추며, 자기 자신만의 독특한 경력을 만들며 스스로의 경쟁력을 쌓아야 할 것이다.
4. 참고 자료
채창균(2002), 『청년층의 취업능력 제고를 위한 학교와 노동시장의 연계강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신영수 '최근 실업동향과 청년실업', 2006
이병희(2003),『청년층 노동시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교육인적자원부ㆍ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2007
이병희안주엽(2003), “청년실업의 현황과 원인: 교육과 노동시장,”
진경화 '청년실업과 고용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7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08
황준욱(2003), 『미국프랑스의 고용창출지원 프로그램 연구』,한국노동연구원.
  • 가격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20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