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나라의 추석
2. 다른 나라의 추석
(1) 미국의 추수감사절
(2) 일본의 오봉
(3) 중국의 중추절(중치우지에)
(4) 그 밖의 다른 나라들
- 북한의 추석
- 프랑스의 투생
- 러시아의 성 드미티리 토요일
3. 결론
2. 다른 나라의 추석
(1) 미국의 추수감사절
(2) 일본의 오봉
(3) 중국의 중추절(중치우지에)
(4) 그 밖의 다른 나라들
- 북한의 추석
- 프랑스의 투생
- 러시아의 성 드미티리 토요일
3. 결론
본문내용
명절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놀랐으며 또한 그것이 우리와 문화나 역사적인 측면에서 차이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비슷한 점이 많다는 점에서 새삼 놀랐다. 어느 새 추석에 별 의미를 두지 않고 '휴일'이라는 점으로만 즐겼다면 이러한 의미를 찾아본 지금부터는 추석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면서 알차게 보내는 것 또한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앞으로 초등교사가 되어 나와 같이 추석을 '휴일'로만 생각하는 아이들에게 많은 이야기를 해줄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다른 나라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봄으로써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에게 모국의 명절과 우리의 추석이 비슷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야기를 나눌 수 있으며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서 최대 명절인 추석이 가지는 의의를 가르치는 뜻 깊은 시간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