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결혼 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결혼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를 찾는다면 하겠다 (70.0%)
- 결혼하는 이유 (미혼자)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있고 싶어서 (61.1%)
정신적인 안정을 원해서 (54.2%)
아이를 갖고 싶어서 (43.1%)
노후를 위해 (18.1%)
경제적 여유를 원해서 (9.7%)
당연하니까 (6.9%)
어른들 눈치 (6.9%)
그 외 (4.2%)
- 결혼에 대한 만족도 (기혼자)
전체 : 대체로 만족 (19.2%), 그럭저럭 만족 (68.5%), 조금 불만 (9.6%), 매우 불만 (2.7%)
남자 : 대체로 만족 (26.23), 그럭저럭 만족 (63.2%), 조금 불만 (10.5%), 매우 불만 (0.0%)
여자 : 대체로 만족 (9.1%), 그럭저럭 만족 (75.8%), 조금 불만 (9.1%), 매우 불만 (6.1%)
2. 결혼년령
미혼자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은 27~29세 (50.0%)가 가장 많고, 24~26세 (28.4%) 가 2위였다. 기혼자가 실제로 결혼한 연령은 24~26세 (35.1%)가 가장 많고, 그 뒤를 이어 27~29세 (31.1%) 가 많았다. 그러나 기혼자에게 이상적인 결혼연령을 물어본 결과, 27~29세 (39.7%) 가 가장 많아, 실제와 이상에 차이가 보였다.
- 결혼년령 (기혼자) - 괄호 안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나이의 비율
~19세 : 2.7% (1.6%)
20~23세 : 20.3% (11.1%)
24~26세 : 35.1% (34.9%)
27~29세 : 31.1% (39.7%)
30~34세 : 10.8% (11.1%)
35~40세 : 0.0% (0.0%)
40세 이상 : 0.0% (1.6%)
3. 상대를 선택하는 포인트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는, 미혼, 기혼자 관계없이 '성격', '가치관', '애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혼에서 남녀차가 큰 것은, 남성에서는 '용모'가, 여성은 '수입'을 원하고 있는 부분이었다. 기혼자는 건강도 중요시하고 있었다.
-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 (기혼자) (전체, 남, 여)
인품 (36.1, 46.6, 28.6)
가치관 (29.9, 41.4, 22.6)
애정 (19.0, 25.9, 14.3)
건강 (12.9, 20.7, 8.3)
용모 (8.8, 8.6, 9.6)
부모와 친척관계 (6.1, 5.2, 7.1)
수입 (2.0, 0.0, 3.6)
학력 (1.4, 1.7, 1.2)
교우관계 (0.7, 1.7, 0.0)
연령차 (0.0, 0.0, 0.0)
그 외 (1.4, 1.7, 1.2)
-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 (미혼자) (전체, 남, 여)
성격 (66.2, 75.0, 63.3)
가치관 (63.4, 65.0, 63.3)
애정 (50.7, 50.0, 51.0)
수입 (28.2, 5.0, 38.8)
용모 (21.1, 35.0, 14.2)
건강 (14.1, 0.0, 18.4)
아이에 대한 선호 (9.9, 10.0, 10.2)
부모와 친척관계 (5.6, 5.0, 6.1)
연령차 (2.8, 5.0, 2.0)
학력 (0.0, 0.0, 0.0)
그 외 (1.4, 0.0, 2.0)
3. 결 론
우리 옛말에 ‘결혼은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다.’ 라는 말이 있다. 서로 다른 두 남녀가 만나서 가족이 되는 결혼이라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잘 나타내고 있는 말이다. 하지만 ‘결혼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정의를 내릴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아마도 정확한 대답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얼마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 일까? 세계적으로 결혼율의 감소와 이혼율의 증가는 많은 문제를 낳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나는 이번 과제를 통해, 결혼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결혼 문화’에 대해 알아보고 싶었다. 일본의 결혼은 근대의 격변과 함께 많은 변화의 양상을 보이면서 오늘날에 와서는 '결혼 산업'을 낳는 커다란 이벤트로서 존재하게 되었다. 결혼이 사회 문화의 하나로서 그 사회의 풍토와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라면 개방 앞에서 그들의 문화를 받아들여야만 하는 지금의 우리들은 결혼에 있어서도 편리하고 조직적인 첨단 결혼 산업으로 치닫는 일본 사회의 분위기를 과연 어떻게 조망해야 하는 것일지 궁금하기만 하다.
4. 참고 자료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다락원, 2001년)
『일본 문화의 이해』(학문사, 1999년)
일본인과 일본문화 / 김대한 / 을유문화사
일본의 새소식 제 338호 (재대한민국일본국대사관 공보문화원 발행)
일본문화 백과 / 홍윤기
  • 가격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22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