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자료
2. 본론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를 찾는다면 하겠다 (70.0%)
- 결혼하는 이유 (미혼자)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있고 싶어서 (61.1%)
정신적인 안정을 원해서 (54.2%)
아이를 갖고 싶어서 (43.1%)
노후를 위해 (18.1%)
경제적 여유를 원해서 (9.7%)
당연하니까 (6.9%)
어른들 눈치 (6.9%)
그 외 (4.2%)
- 결혼에 대한 만족도 (기혼자)
전체 : 대체로 만족 (19.2%), 그럭저럭 만족 (68.5%), 조금 불만 (9.6%), 매우 불만 (2.7%)
남자 : 대체로 만족 (26.23), 그럭저럭 만족 (63.2%), 조금 불만 (10.5%), 매우 불만 (0.0%)
여자 : 대체로 만족 (9.1%), 그럭저럭 만족 (75.8%), 조금 불만 (9.1%), 매우 불만 (6.1%)
2. 결혼년령
미혼자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은 27~29세 (50.0%)가 가장 많고, 24~26세 (28.4%) 가 2위였다. 기혼자가 실제로 결혼한 연령은 24~26세 (35.1%)가 가장 많고, 그 뒤를 이어 27~29세 (31.1%) 가 많았다. 그러나 기혼자에게 이상적인 결혼연령을 물어본 결과, 27~29세 (39.7%) 가 가장 많아, 실제와 이상에 차이가 보였다.
- 결혼년령 (기혼자) - 괄호 안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나이의 비율
~19세 : 2.7% (1.6%)
20~23세 : 20.3% (11.1%)
24~26세 : 35.1% (34.9%)
27~29세 : 31.1% (39.7%)
30~34세 : 10.8% (11.1%)
35~40세 : 0.0% (0.0%)
40세 이상 : 0.0% (1.6%)
3. 상대를 선택하는 포인트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는, 미혼, 기혼자 관계없이 '성격', '가치관', '애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혼에서 남녀차가 큰 것은, 남성에서는 '용모'가, 여성은 '수입'을 원하고 있는 부분이었다. 기혼자는 건강도 중요시하고 있었다.
-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 (기혼자) (전체, 남, 여)
인품 (36.1, 46.6, 28.6)
가치관 (29.9, 41.4, 22.6)
애정 (19.0, 25.9, 14.3)
건강 (12.9, 20.7, 8.3)
용모 (8.8, 8.6, 9.6)
부모와 친척관계 (6.1, 5.2, 7.1)
수입 (2.0, 0.0, 3.6)
학력 (1.4, 1.7, 1.2)
교우관계 (0.7, 1.7, 0.0)
연령차 (0.0, 0.0, 0.0)
그 외 (1.4, 1.7, 1.2)
-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 (미혼자) (전체, 남, 여)
성격 (66.2, 75.0, 63.3)
가치관 (63.4, 65.0, 63.3)
애정 (50.7, 50.0, 51.0)
수입 (28.2, 5.0, 38.8)
용모 (21.1, 35.0, 14.2)
건강 (14.1, 0.0, 18.4)
아이에 대한 선호 (9.9, 10.0, 10.2)
부모와 친척관계 (5.6, 5.0, 6.1)
연령차 (2.8, 5.0, 2.0)
학력 (0.0, 0.0, 0.0)
그 외 (1.4, 0.0, 2.0)
3. 결 론
우리 옛말에 ‘결혼은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다.’ 라는 말이 있다. 서로 다른 두 남녀가 만나서 가족이 되는 결혼이라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잘 나타내고 있는 말이다. 하지만 ‘결혼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정의를 내릴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아마도 정확한 대답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얼마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 일까? 세계적으로 결혼율의 감소와 이혼율의 증가는 많은 문제를 낳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나는 이번 과제를 통해, 결혼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결혼 문화’에 대해 알아보고 싶었다. 일본의 결혼은 근대의 격변과 함께 많은 변화의 양상을 보이면서 오늘날에 와서는 '결혼 산업'을 낳는 커다란 이벤트로서 존재하게 되었다. 결혼이 사회 문화의 하나로서 그 사회의 풍토와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라면 개방 앞에서 그들의 문화를 받아들여야만 하는 지금의 우리들은 결혼에 있어서도 편리하고 조직적인 첨단 결혼 산업으로 치닫는 일본 사회의 분위기를 과연 어떻게 조망해야 하는 것일지 궁금하기만 하다.
4. 참고 자료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다락원, 2001년)
『일본 문화의 이해』(학문사, 1999년)
일본인과 일본문화 / 김대한 / 을유문화사
일본의 새소식 제 338호 (재대한민국일본국대사관 공보문화원 발행)
일본문화 백과 / 홍윤기
- 결혼하는 이유 (미혼자)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있고 싶어서 (61.1%)
정신적인 안정을 원해서 (54.2%)
아이를 갖고 싶어서 (43.1%)
노후를 위해 (18.1%)
경제적 여유를 원해서 (9.7%)
당연하니까 (6.9%)
어른들 눈치 (6.9%)
그 외 (4.2%)
- 결혼에 대한 만족도 (기혼자)
전체 : 대체로 만족 (19.2%), 그럭저럭 만족 (68.5%), 조금 불만 (9.6%), 매우 불만 (2.7%)
남자 : 대체로 만족 (26.23), 그럭저럭 만족 (63.2%), 조금 불만 (10.5%), 매우 불만 (0.0%)
여자 : 대체로 만족 (9.1%), 그럭저럭 만족 (75.8%), 조금 불만 (9.1%), 매우 불만 (6.1%)
2. 결혼년령
미혼자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은 27~29세 (50.0%)가 가장 많고, 24~26세 (28.4%) 가 2위였다. 기혼자가 실제로 결혼한 연령은 24~26세 (35.1%)가 가장 많고, 그 뒤를 이어 27~29세 (31.1%) 가 많았다. 그러나 기혼자에게 이상적인 결혼연령을 물어본 결과, 27~29세 (39.7%) 가 가장 많아, 실제와 이상에 차이가 보였다.
- 결혼년령 (기혼자) - 괄호 안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나이의 비율
~19세 : 2.7% (1.6%)
20~23세 : 20.3% (11.1%)
24~26세 : 35.1% (34.9%)
27~29세 : 31.1% (39.7%)
30~34세 : 10.8% (11.1%)
35~40세 : 0.0% (0.0%)
40세 이상 : 0.0% (1.6%)
3. 상대를 선택하는 포인트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는, 미혼, 기혼자 관계없이 '성격', '가치관', '애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혼에서 남녀차가 큰 것은, 남성에서는 '용모'가, 여성은 '수입'을 원하고 있는 부분이었다. 기혼자는 건강도 중요시하고 있었다.
-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 (기혼자) (전체, 남, 여)
인품 (36.1, 46.6, 28.6)
가치관 (29.9, 41.4, 22.6)
애정 (19.0, 25.9, 14.3)
건강 (12.9, 20.7, 8.3)
용모 (8.8, 8.6, 9.6)
부모와 친척관계 (6.1, 5.2, 7.1)
수입 (2.0, 0.0, 3.6)
학력 (1.4, 1.7, 1.2)
교우관계 (0.7, 1.7, 0.0)
연령차 (0.0, 0.0, 0.0)
그 외 (1.4, 1.7, 1.2)
- 상대를 고르는 포인트 (미혼자) (전체, 남, 여)
성격 (66.2, 75.0, 63.3)
가치관 (63.4, 65.0, 63.3)
애정 (50.7, 50.0, 51.0)
수입 (28.2, 5.0, 38.8)
용모 (21.1, 35.0, 14.2)
건강 (14.1, 0.0, 18.4)
아이에 대한 선호 (9.9, 10.0, 10.2)
부모와 친척관계 (5.6, 5.0, 6.1)
연령차 (2.8, 5.0, 2.0)
학력 (0.0, 0.0, 0.0)
그 외 (1.4, 0.0, 2.0)
3. 결 론
우리 옛말에 ‘결혼은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다.’ 라는 말이 있다. 서로 다른 두 남녀가 만나서 가족이 되는 결혼이라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잘 나타내고 있는 말이다. 하지만 ‘결혼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정의를 내릴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아마도 정확한 대답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얼마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 일까? 세계적으로 결혼율의 감소와 이혼율의 증가는 많은 문제를 낳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나는 이번 과제를 통해, 결혼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결혼 문화’에 대해 알아보고 싶었다. 일본의 결혼은 근대의 격변과 함께 많은 변화의 양상을 보이면서 오늘날에 와서는 '결혼 산업'을 낳는 커다란 이벤트로서 존재하게 되었다. 결혼이 사회 문화의 하나로서 그 사회의 풍토와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라면 개방 앞에서 그들의 문화를 받아들여야만 하는 지금의 우리들은 결혼에 있어서도 편리하고 조직적인 첨단 결혼 산업으로 치닫는 일본 사회의 분위기를 과연 어떻게 조망해야 하는 것일지 궁금하기만 하다.
4. 참고 자료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다락원, 2001년)
『일본 문화의 이해』(학문사, 1999년)
일본인과 일본문화 / 김대한 / 을유문화사
일본의 새소식 제 338호 (재대한민국일본국대사관 공보문화원 발행)
일본문화 백과 / 홍윤기
추천자료
[전통혼례][전통혼례 절차][전통혼례 의복][외국의 혼례복][이색적인 혼례(결혼식)][결혼][결...
[세계의풍속과문화]한국남성과 동남아 여성의 국제결혼가족에서 발견되는 문화적 적응과 갈등...
[신세대 발생조건][신세대 특성과 가치관][신세대 결혼관][신세대와 컴퓨터문화][신세대 식생...
[가족사회복지론] 다문화가정,국제결혼 현황 및 문제점,해결방안 분석
다문화 사회의 국제결혼 이주가족의 문제점 및 지원 대책방안
[다문화사회]국제결혼의 현황과 이주여성에 대한 정책과 인식
2016년올해최신 결혼식사회멘트요령[결혼사회멘트요령][결혼식사회멘트예시문]
[2016년최신트렌드반영]결혼식사회멘트하는요령및결혼식사회멘트실전예문4편수록[결혼식사회...
[2016년최신트렌드반영]결혼식사회멘트요령[결혼식사회멘트실전예문][결혼식사회멘트][결혼식...
결혼이민자의 지원센터 및 단체 (다문화사회report)
우즈베키스탄 결혼이민자 여성 - 영등포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기관방문
여성과 문학 - 다문화 가정의 결혼
[다문화교육론 공통] 국제결혼이주여성 혹은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책을 읽고 다음에 답하시오...
[결혼식] 결혼식 및 신혼여행 - 전통혼례와 현대식 결혼, 신혼여행의 의의와 고려사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