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디자인의 이해
디자인의 역사
기초디자인
색의 기능과 생활
구성
시각전달 디자인...............
디자인의 역사
기초디자인
색의 기능과 생활
구성
시각전달 디자인...............
본문내용
에 의해서 나타나는 채도
(4) 색의 혼합 (2005 출제) ★
① 가산혼합
a. 조명등을 통한 색광(빛)의 혼합
b. 색을 섞을수록 명도가 높아지며, 채도는 낮아진다.
c. 색광의 3원색인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을 모두 섞으면 흰색이 된다.
② 감산혼합
a. 색료(물감, 도료)의 혼합을 말한다.
b. 색을 섞을수록 명도, 채도가 낮아진다.
c. 색료의 3원색인 마젠타(자줏빛 빨강), 노랑, 사이안(청록빛 파랑)을 모두 섞으면
검정에 가까운 어둡고 탁한 회색이 된다.
③ 중간혼합
a. 색의 직접적인 혼합이 아니고 망막상에서 섞인 것처럼 보이는 혼색
b. 회전혼합 : 색팽이나 바람개비 등과 같이 빠른 회전에 의해 일어나는 혼합.
- 배열된 모든 색의 평균 명도, 채도가 낮아진다.
c. 병치혼합 : 두 개 이상의 선이나 점을 나란히 배열시켰을 때 혼합되어 보임.
↓ (점묘법, TV, 망점에 의한 원색 인쇄)
배열된 모든 색의 평균 명도, 배열된 모든 색의 평균 채도.
(5) 색의 대비 : 하나의 색이 주위 색의 영향을 받아 색의 3속성이 원래 색과 다르게 보이는 현상★
색의 대비(2002출제) ★★
① 계속
대비
한 색을 본 후, 이어서 다른 색을 보았을 때, 나중의 색이 달라져 보이는 현상. (보색잔상 효과) - 빨간색의 금붕어를 보다가 빈 어항을 보면 순간적으로 청록색의 금붕어가 어항 속에 있는 것처럼 보임.
- 정의잔상: 예를 들면 쥐불놀이- 돌리면 하나의 원처럼 보임
- 부의잔상: 잔상효과
② 동시
대비
시간차 없이 두 개의 색을 동시에 보았을 때 색의 3속성이 달라져 보이는 현상
명도대비 : 주위 색의 명도에 따라 원래 색의 명도가 다르게 느껴지는 현상
주위색의 명도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고, 주위색의 명도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밝게 보인다.
채도대비 : 주위 색의 채도에 따라 원래 색의 채도가 다르게 느껴지는 현상
같은 채도의 색이라도 채도가 높은 바탕 위에 놓일 때보다 채도가 낮은 바탕위에 놓일 때 더욱 선명하게 보인다.
색상대비 : 주위 색의 색상에 따라 두 색의 색상차가 커지는 현상, 색상차가 있는 두 색 사이에서 상대색의 반대쪽 색기운을 띄는 현상
같은 보라색이 파란색 위에서는 빨강 보라로, 빨간색 위에서는 파랑 보라로 보임.
보색대비 : 보색끼리의 배색은 서로 상대방의 채도를 높아 보이게 하여, 상대 쪽의 색을 뚜렷하게 한다.
빨강 바탕 위의 청록이나, 남색 바탕 위의 노랑은 다른 색 바탕 위에 있을 때보다 더욱 선명하게 된다.
한란대비 : 한색 계통의 색과 난색 계통의 색을 대비시키면, 한색은 더욱 차갑게 느껴지고, 난색은 더욱 따뜻한 느낌이 드는 현상이다.
면적대비 : 같은 색일지라도 면적이 클수록 명도, 채도가 높아 보이고, 면적이 작을수록 명도, 채도가 낮아 보인다.
연변대비 : 색과 색이 인접한 부분에서 대비가 더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
2. 색의 기능과 생활
(1) 색의 기능(1998출제 - 색채 조절의 원리) ★
① 명시성
a 두 색을 배색했을 때 멀리서도 잘 보이는 성질
b 명도, 채도, 색상의 차가 클수록 명시도가 크다. 명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c 명시도가 높은 배색은 주목성도 높다.(하지만 주목성이 높은 배색이라고 모두 명시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d 노랑과 검정의 배색시 명시도가 가장 높다.(교통표지판, 도로 경계선 등)
② 주목성
a 자극성이 강하여 눈에 잘 띄는 정도를 말한다. 눈에 빨리 띄는 성질
b 난색, 고채도의 색과 색상차가 큰 색일수록 주목성이 높다.(소방차, 소화기)
(2) 색의 감정 : 여러 가지 색들은 그 나름대로의 특유한 감정을 가지는데, 연상 감정일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색 자체의 연상 감장을 일상생활이나 산업에 활용함으로써 능률적이고 쾌적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① 색의 연상과 상징
빨강 : 정열, 피, 힘, 불, 정지, 위험 노랑 : 유쾌, 명랑, 희망, 황금, 천박
녹색 : 안전, 평화, 휴식 파랑 : 차가움, 냉정, 바다,
보라 : 신비, 예술, 신성 흰색 : 순수, 순결, 청결, 정직
검정 : 허무, 절망, 침묵, 죽음
② 온도와 느낌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색상)
따뜻한 색 : 빨강, 주황, 노랑 등. 따뜻한 느낌과 함께 자극과 흥분을 가져온다. 각종 난방기구, 침구 등에 이용
차가운 색 : 파랑, 청록, 남색 등. 시원하고 차가운 느낌과 함께 안정되고 침착함을 느끼게 한다. 냉방기구, 풀장 등에 이용
③ 무게의 느낌
가벼운 색과 무거운 색(명도)
가벼운 느낌의 색 : 고명도의 색
무거운 느낌의 색 : 저명도의 색
④ 화려, 소박한 느낌
주로 채도에 의해서 느껴짐
화려한 느낌의 색 : 선명한 색
소박한 느낌의 색 :탁한 색
⑤ 진출, 후퇴의 느낌
진출색(팽창색) : 고명도, 고채도, 난색
후퇴색(수축색) : 저명도, 저채도, 한색
(3) 색의 배색과 조절
① 색의 배색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서로 배치하는 것을 배색이라 하며, 배색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느낌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② 색채 조절
★
색의 여러 가지 성질을 이용하여 살기 좋고 능률적이며, 합리적인 생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안전하고 능률적이고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눈의 피로 방지
채도가 높은 색상의 외곽에 검정 띠를 두르면 그렇지 않은 것 보다 더 화려
.즉 색과 색의 경계에 검정을 사용하면 안에 있는 색의 개성을 더 두드러짐.
비슷한 명도의 두 색상의 배색에서는 검정색이나 흰색의 띠를 사용하면 명시성이
더 높아져 그렇지 않은 것보다 눈에 더 잘 띄게 된다
(4) 우리나라의 전통색채(오방색)★☆
우리나라의 전통색채는 음양오행 사상으로부터 나왔는데, 빨강, 파랑, 노랑, 검정, 흰색의 다섯 가지 정색과 다섯 가지의 간색으로 이루어져 있음.
오방색은 음양오행의 우주적 원리를 상징하며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었다.
오행
정색
간색
계절
방위
수호신
소리
나무(木)
청
초록
봄
동
청룡
각
불(火)
적
홍색
여름
남
주작
치
쇠(金)
백
유황
가을
서
백호
상
물(水)
흑
보라
겨울
북
현무
우
흙(土)
황
하늘색
환절기
중앙
황룡
궁
※단청의 역할
① 악귀를
(4) 색의 혼합 (2005 출제) ★
① 가산혼합
a. 조명등을 통한 색광(빛)의 혼합
b. 색을 섞을수록 명도가 높아지며, 채도는 낮아진다.
c. 색광의 3원색인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을 모두 섞으면 흰색이 된다.
② 감산혼합
a. 색료(물감, 도료)의 혼합을 말한다.
b. 색을 섞을수록 명도, 채도가 낮아진다.
c. 색료의 3원색인 마젠타(자줏빛 빨강), 노랑, 사이안(청록빛 파랑)을 모두 섞으면
검정에 가까운 어둡고 탁한 회색이 된다.
③ 중간혼합
a. 색의 직접적인 혼합이 아니고 망막상에서 섞인 것처럼 보이는 혼색
b. 회전혼합 : 색팽이나 바람개비 등과 같이 빠른 회전에 의해 일어나는 혼합.
- 배열된 모든 색의 평균 명도, 채도가 낮아진다.
c. 병치혼합 : 두 개 이상의 선이나 점을 나란히 배열시켰을 때 혼합되어 보임.
↓ (점묘법, TV, 망점에 의한 원색 인쇄)
배열된 모든 색의 평균 명도, 배열된 모든 색의 평균 채도.
(5) 색의 대비 : 하나의 색이 주위 색의 영향을 받아 색의 3속성이 원래 색과 다르게 보이는 현상★
색의 대비(2002출제) ★★
① 계속
대비
한 색을 본 후, 이어서 다른 색을 보았을 때, 나중의 색이 달라져 보이는 현상. (보색잔상 효과) - 빨간색의 금붕어를 보다가 빈 어항을 보면 순간적으로 청록색의 금붕어가 어항 속에 있는 것처럼 보임.
- 정의잔상: 예를 들면 쥐불놀이- 돌리면 하나의 원처럼 보임
- 부의잔상: 잔상효과
② 동시
대비
시간차 없이 두 개의 색을 동시에 보았을 때 색의 3속성이 달라져 보이는 현상
명도대비 : 주위 색의 명도에 따라 원래 색의 명도가 다르게 느껴지는 현상
주위색의 명도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고, 주위색의 명도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밝게 보인다.
채도대비 : 주위 색의 채도에 따라 원래 색의 채도가 다르게 느껴지는 현상
같은 채도의 색이라도 채도가 높은 바탕 위에 놓일 때보다 채도가 낮은 바탕위에 놓일 때 더욱 선명하게 보인다.
색상대비 : 주위 색의 색상에 따라 두 색의 색상차가 커지는 현상, 색상차가 있는 두 색 사이에서 상대색의 반대쪽 색기운을 띄는 현상
같은 보라색이 파란색 위에서는 빨강 보라로, 빨간색 위에서는 파랑 보라로 보임.
보색대비 : 보색끼리의 배색은 서로 상대방의 채도를 높아 보이게 하여, 상대 쪽의 색을 뚜렷하게 한다.
빨강 바탕 위의 청록이나, 남색 바탕 위의 노랑은 다른 색 바탕 위에 있을 때보다 더욱 선명하게 된다.
한란대비 : 한색 계통의 색과 난색 계통의 색을 대비시키면, 한색은 더욱 차갑게 느껴지고, 난색은 더욱 따뜻한 느낌이 드는 현상이다.
면적대비 : 같은 색일지라도 면적이 클수록 명도, 채도가 높아 보이고, 면적이 작을수록 명도, 채도가 낮아 보인다.
연변대비 : 색과 색이 인접한 부분에서 대비가 더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
2. 색의 기능과 생활
(1) 색의 기능(1998출제 - 색채 조절의 원리) ★
① 명시성
a 두 색을 배색했을 때 멀리서도 잘 보이는 성질
b 명도, 채도, 색상의 차가 클수록 명시도가 크다. 명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c 명시도가 높은 배색은 주목성도 높다.(하지만 주목성이 높은 배색이라고 모두 명시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d 노랑과 검정의 배색시 명시도가 가장 높다.(교통표지판, 도로 경계선 등)
② 주목성
a 자극성이 강하여 눈에 잘 띄는 정도를 말한다. 눈에 빨리 띄는 성질
b 난색, 고채도의 색과 색상차가 큰 색일수록 주목성이 높다.(소방차, 소화기)
(2) 색의 감정 : 여러 가지 색들은 그 나름대로의 특유한 감정을 가지는데, 연상 감정일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색 자체의 연상 감장을 일상생활이나 산업에 활용함으로써 능률적이고 쾌적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① 색의 연상과 상징
빨강 : 정열, 피, 힘, 불, 정지, 위험 노랑 : 유쾌, 명랑, 희망, 황금, 천박
녹색 : 안전, 평화, 휴식 파랑 : 차가움, 냉정, 바다,
보라 : 신비, 예술, 신성 흰색 : 순수, 순결, 청결, 정직
검정 : 허무, 절망, 침묵, 죽음
② 온도와 느낌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색상)
따뜻한 색 : 빨강, 주황, 노랑 등. 따뜻한 느낌과 함께 자극과 흥분을 가져온다. 각종 난방기구, 침구 등에 이용
차가운 색 : 파랑, 청록, 남색 등. 시원하고 차가운 느낌과 함께 안정되고 침착함을 느끼게 한다. 냉방기구, 풀장 등에 이용
③ 무게의 느낌
가벼운 색과 무거운 색(명도)
가벼운 느낌의 색 : 고명도의 색
무거운 느낌의 색 : 저명도의 색
④ 화려, 소박한 느낌
주로 채도에 의해서 느껴짐
화려한 느낌의 색 : 선명한 색
소박한 느낌의 색 :탁한 색
⑤ 진출, 후퇴의 느낌
진출색(팽창색) : 고명도, 고채도, 난색
후퇴색(수축색) : 저명도, 저채도, 한색
(3) 색의 배색과 조절
① 색의 배색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서로 배치하는 것을 배색이라 하며, 배색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느낌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② 색채 조절
★
색의 여러 가지 성질을 이용하여 살기 좋고 능률적이며, 합리적인 생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안전하고 능률적이고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눈의 피로 방지
채도가 높은 색상의 외곽에 검정 띠를 두르면 그렇지 않은 것 보다 더 화려
.즉 색과 색의 경계에 검정을 사용하면 안에 있는 색의 개성을 더 두드러짐.
비슷한 명도의 두 색상의 배색에서는 검정색이나 흰색의 띠를 사용하면 명시성이
더 높아져 그렇지 않은 것보다 눈에 더 잘 띄게 된다
(4) 우리나라의 전통색채(오방색)★☆
우리나라의 전통색채는 음양오행 사상으로부터 나왔는데, 빨강, 파랑, 노랑, 검정, 흰색의 다섯 가지 정색과 다섯 가지의 간색으로 이루어져 있음.
오방색은 음양오행의 우주적 원리를 상징하며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적용되었다.
오행
정색
간색
계절
방위
수호신
소리
나무(木)
청
초록
봄
동
청룡
각
불(火)
적
홍색
여름
남
주작
치
쇠(金)
백
유황
가을
서
백호
상
물(水)
흑
보라
겨울
북
현무
우
흙(土)
황
하늘색
환절기
중앙
황룡
궁
※단청의 역할
① 악귀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