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E]중.고등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 적용] - 사회적 진단, 역학적 진단, 환경적 진단, 교육적 진단, 정책적 진단, 수행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교육E]중.고등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 적용] - 사회적 진단, 역학적 진단, 환경적 진단, 교육적 진단, 정책적 진단, 수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OO 중학교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실시 및 분석 보고
- [그린의 PRECEDE-PROCEED모형] 적용 -
* [선정된 대상의 인구 사회적 특성]

[1단계] -사회적 진단(Social diagnosis)
1) 객관적인 지표
2) 주관적인 해석
<설문조사 1>
<설문조사 2>
<설문조사 결과>

[2단계] - 역학적 진단(Epidemiological diagnosis)

[3단계] - 행동적, 환경적 진단(Behavioral and environmental diagnosis)
1) 행위적 요인
2) 비 행위적 요인
3) 변경 가능한 요인
4) 변경 불가 요인
5) 행위목록

[4단계] - 교육적, 조직적 진단(Educational and ecological diagnosis)
1) 소인성요인(predisposing factors)
2) 강화요인 (reinforcing factors)

[5단계] - 행정적, 정책적 진단 (Administrative and policy diagnosis)

[6단계] - 수행
<1 시간 분량의 보건교육지도안>

[7단계] - 과정평가

[8단계] - 영향평가

[9단계] - 결과평가

Ⅲ.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지각과 해석이 아닌지 자문해 보고, 객관적으로 생각하도록 노력할 것이며, 자아존중감을 통한 자신감 신장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단계] - 결과평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심리사회적 발달과정을 연구한 에릭 에릭슨 Erik H. Erikson의 인간 발달단계 모델에 따르면 인간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여덟 개의 단계를 거치면서 성장해 가는데 각각의 단계마다 그에 상응하는 심리적 특성과 특정한 발달과제를 가지게 된다. 자신의 주요 저서인 아동기와 사회 Childhood and Society(1950)에서 에릭슨은 생의 8 단계 (영아기, 유아기, 아동 초지, 아동 후기, 청년기, 성년기, 중년기, 노년기)를 제시하고 있으며 확고한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해 인간은 일생을 통해 여덟 가지의 갈등상황을 성공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옥분: 전 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학지사 2004, 67쪽 이하 참조.
뿐만 아니라 그의 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성숙과정의 각 단계마다 고유한 갈등 요소를 갖게 되며 개인은 이 갈등 요소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 갈등 요소들은 각 단계마다 완전히 극복될 수는 없으나 각 단계마다 습득된 경험들은 다음 단계에서 만나는 정체성 위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컨대 유아기의 과제는 생존에 필요한 세계에 대한 기초적 신뢰감을 갖는 것이며 이 때 어머니와의 관계가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에릭슨의 발달단계모델 중 청소년기는 제 5단계에 속하며, 대략 12세에서 18세에 이르는 이 시기 청소년들의 가장 중요한 과업은 역시 자아정체감의 확립이다. 사회적 환경 및 관계 내지 상호행동에 있어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관찰되거나 중요시되는 요소로 학업능력, 운동능력, 용모, 사회적 수용, 친밀한 우정, 로맨틱한 행위 등을 들 수 있다. 헨드릭 콜만 (강영배 외 옮김): 청소년과 사회. 성안당 2006, 85쪽 참조.
이미지 범람의 시대에 “타인에게 어떻게 보여질까?”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회적인 요소 중의 하나이다. 사람들이 겉으로 드러나는 이미지에 따라 타인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행동한다.
그 반응이 긍정적인 것이면 우리는 자신을 갖게 되지만 부정적일 때는 쉽게 자신을 잃고 만다. 이처럼 나의 이미지에 대한 타인의 반응은 또 다시 밖으로 드러나는 이미지에 영향을 준다.
누구나 갖고 있는 이미지, 그 이미지를 자신의 내부에 잠재한 여러 가지 자질들과 함께 조화시켜, 외적으로 훌륭하게 연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중요한 삶의 과제이다.
바로 이러한 측면을 강조하여 진행 되었던 이번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은 과제를 풀어나가는 기폭제로 작용 할 것이다.
Ⅲ. 결 론
평균적인 몸매와 평범한 외형적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물론 준수한 외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신체적 조건에 대해 불만족하거나 자신감이 부족한 학생들을 보면 안타까움이 들기도 한다. TV나 영화, 잡지 등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팔등신 미녀들의 길쭉하고 매끈한 몸매에 익숙해져서, 모델이나 영화배우 정도의 빼어난 외형적 조건을 평균적인 수준 혹은 당연히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결국 심할 경우 자신의 이상적 모습과는 다른 실제 자신의 모습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되고, 스트레스와 자신감 결여, 우울증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을 보는 마음의 거울인 신체형에 대해서 스스로 점검해보고, 자신의 신체에 대해 자신감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떨어지지 않는 외모를 가졌음에도 얼굴, 몸매에 대해 고민하거나 과체중이 아닌데도 스스로 뚱뚱하다고 생각하는 십대 청소년 등이 부정적인 신체형의 예가 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사회적 압력, 개인의 특유한 환경적 압력, 신체적으로 독특한 구별, 과거 중요한 사건 등으로 형성되고 유지되기도 한다.
이렇게 형성된 부정적인 신체형은 회피나 부정적 예측, 또는 반복적인 비판적인 생각 등을 갖게 한다. 또한 신체적 자극이나 변화 등에 대해 잘못된 해석을 낳게 하며, “말라야 성공한다” 혹은 “날씬해져야만 자신감이 생길 것이다”와 같은 역기능적 믿음으로 유지되기도 한다.
자기이미지의 형성은 인간의 오감을 통해서 인지되고 조직화하여 단기기억과 장기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된 자료 즉, 사고는 그 사람의 욕구 수준과 행동의 폭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인간의 내면에는 무한한 욕구가 있으며, 이 욕구는 인간의 내ㆍ외적인 요소들에 의해 계속적으로 자극을 받고 있다. 인간의 가치관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평생 동안 부모, 학교, 교회 그리고 사회에서 배운다. 말하자면 가치관은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형성된다. 따라서 인간은 주어진 여건과 환경 속에서 학습을 통하여 가치관이 형성되고 그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게 되며 그 사람에게 나타나는 모든 행동은 이미지로 결정되어 타인의 평가를 받게 된다.
용모, 체격, 생활상의 지위 등에 관한 자기 자신의 개인적 부적감에 대한 반응으로써 청소년과 비행문제의 관련성을 논하고 있으며(이춘재 등, 1990) 외모로 인하여 자신감을 잃게 되면 남의 시선을 과도하게 의식하게 되어 남들 앞에서 자연스럽고 당당하게 행동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자기를 평가절하하게 되는데 이는 대인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일을 추구하는 과정에서도 자신감을 잃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의 토대위에서 우리청소년들을 위한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신유선, 보건교육학, 수문사, 2010
전국대학보건관리학교육협의회, 보건학(보건교육사를 위한), 한미의학, 2009
이수경, 사춘기 여학생의 신체성장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자신존중감, 한국학술정보, 2006
헨드릭 콜만, 강영배 역, 청소년과 사회. 성안당 2006,
Kindes, Marlene V. Body Image (Hardcover). NovaSciencePubInc. 2007
Sylvia K. Blood. Body Image. Routledge. 2005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3.24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