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본론
1)간호력
2)신체사정
3)투약
4)진단적 검사
5)간호과정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설사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4. 결론
2. 문헌고찰
3. 본론
1)간호력
2)신체사정
3)투약
4)진단적 검사
5)간호과정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설사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4. 결론
본문내용
다.
1. 환아를 가습된 보육기, 방사보온 침에에 두거나 따뜻한 개방 침대에 눕힌다.
2. 두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3. 찬공기 노출과 같은 오한을 유발하는 상황을 피한다.
4. 간호사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필요시 약물 투여한다
5. 열이 오를 것 같으면 미온수 마사지를 시행한다.
간호 중재
1. 환아의 체온을 2시간에 한번씩 체크하였다.
2. 환아의 38도 이상이 되면 담당 의사에게 notify하고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다
3. 창문을 열거나 병실사람들의 잦은 출입으로 인해 찬공기가 심하게 들어오지 않도록 통제하여 오한을 유발하는 상황을 피하도록 했다.
4. 환아를 되도록이면 따뜻하게 하게 하나 열이 오르고 보채면 미온수 마사지를 해주어 환아의 안위와 열이 오르는 상황을 적절하게 중재하도록 하였다.
간호 평가
상기 환아는 3월 15일 4AM 경부터 fever 38.1 check 되어 local 경우 fever 지속되어 flu 위해 ER 경유하여 adm 된 환아이다.
ER에서 brufen 시럽 복용하고 병동으로 왔을 때에는 열은 떨어진 상태였으나 지속적인 FEVER 변화 관찰을 요구하는 시기였다.
환아의 V/S
3/15 2pm 90/60-124-36-36.4
10pm 37.1 check
3/16 stable 함.
3/17 10am 138-44-37.2
3/18 stable 함.
환아는 고체온으로 입원하였으나, 입원 기간 동안 꾸준한 약물 치료 등으로 인하여 f ever comtrol이 잘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입원 기간동안 처음과 같은 고체온은 관찰 되지 않았고, 퇴원까지 고체온으로 인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일은 우려와 같이 없었다.
환아의 자리가 바로 창문 옆에라서 여러 가지 오한 등의 문제를 걱정하였으나, 어머니와 간호사의 적절한 중재로 주변 환경으로 인하여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첫 번째 간호문제는 잘 수행된 것으로 본다.
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 호 진 단
#2
3/16
진단명 :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 과학적 근거
설사는 소아에서 매우 중요한 질병이며 개발도상국에서는 아직도 수십만명의 소아가 설사로 인하여 사망하고 있다. 1970년대에는 우리나라도 설사가 입원 환아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환이었다. 지난 수년간 사회 경제적 발전과 이에 따른 환경 위생 및 영양 상태의 호전으로 탈수로 인한 사망률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니 아직도 설사는 소아에서 호힙기 감염 다음으로 흔한 질환이다.
영유아들은 수분 필요량이 상대적으로 askg으며 설사의 이환률이 높다. 따라서 설사의 원인 및 설사를 일으키는 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설사로 인한 탈수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확실한 지식이 필요하다.
(소아과학 개정판, 홍장의, 2004, )
▶ 합리적 근거
“물같이 설사를 해요...”
“자꾸 조금씩 설사를 지리네요.. 설사 않할 수 없나요?”
(-보호자의 말)
-지리는 양상으로 약 11회 설사를 함.
-환아가 매우 힘들어하며 인상을 쓰고 우는 모습이 관찰됨.
목표 : 수화상태가 유지된다
기 대 결 과
간 호 계 획
1. 환아는 탈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1. 불감성 수분손실을 증가시키는 요법들을 감시한다.
2. 충분한 수분섭취를 유지한다.
3. 수화상태를 사정한다.(피부 탄력성, 체온, 체중, 소변비중)
4. 비경구 수액을 조절한다.
5. 고장성액 투여를 금한다.(예 :희석되지 않은 투약)
6. 주변 환경이 건조 하지 않도록 사정한다.
간호 중재
1. 환아의 주변 환경에 수분손실을 증가시키는 요인들을 사정하고 너무 덥거나 너무 춥지 않도록 중재했다.
2. oral intake가 입원 전보다 poor해진 환아의 섭취상태를 파악하고, 모유수유를 하는 환아의 어머니에게 너무 억지로 먹지 말고 자연스럽게 섭취하게 하도록 격려하였다.
3. 수액의 속도를 조절하고 환아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4. 환아에게 자주 가서 피부 상태는 어떤지 사정하고, 체중을 매일 측정하였다.
간호 평가
환아는 처음 입원 했을 때에는 설사의 징후는 보이지 않았었다.
3월15일 입원일에는 정상 변 1번을 보았으나, 3월 16일에는 diarrhea 11회 ->소량씩 지르는 양상으로 한방울씩 대변을 보았다.
3월 17에도 설사의 3번을 보았다.
3월 18일부터 설사가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환아는 r/o sepsis로 입원하여 정확한 원인균은 찾지 못했다.
환아의 상태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싶었으나, 2주차 월요일 evening 근무에 와보니 환아가 퇴원한 상태라 알길이 없어서 케이스 스터디를 하는데 약간 모자란 것이 느껴진다.
하지만, 환아의 설사는 거의 회복되었고, 퇴원할 때까지는 설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적절한 중재가 이루어 진 것으로 보인다.
]
Ⅳ. 결론
이번 소아과 실습을 하면서, 많은 것을 보고 배웠다. 사실 실습을 하면서 이렇게 많이 공부해 본 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일단 소아과에 입원하는 환아들의 병명을 보고 공부하면서 vital sign check하러 가서 그 환아의 특징을 살펴보고 또 다시 공부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무엇보다고 감염의 관리에 대하여 철저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왜냐하면 소아과 병동에는 AGE환아가 입원하여 있는데 그 환아들이 다른 환아들에게 감염을 일으킬수 있기 때문 이었다.
무엇보다도 격리병실에 있는 소아암 환아들을 만나보면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매일 손을 철저하게 씻고 마음이 힘들어져 있는 그 아이들과 이야기하고 라포를 형성하면서 그 아이들에게 조금이라도 손을 내밀며 마음을 만져주고 싶은 마음이 많이 들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는 아쉬운 점이 참 많다.
월요일날 근무를 하러 왔더니 오전에 퇴원해 버려서 충분한 자료를 얻지 못한 것 같다.
하지만, sepsis에 대한 공부와 아이의 징후들을 관찰하고 환아의 어머니와 대화하는 과정에서 얻는 것들이 더 많았던 것 같다.
소아과 실습은 요번이 마지막이지만, 3학년 아동간호학을 또 공부하면서 많이 도움이 될 수있도록 공부했던 것들을 숙지하는 자세가 중요한 것 같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정진하는 자세로 공부하겠다.
1. 환아를 가습된 보육기, 방사보온 침에에 두거나 따뜻한 개방 침대에 눕힌다.
2. 두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3. 찬공기 노출과 같은 오한을 유발하는 상황을 피한다.
4. 간호사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필요시 약물 투여한다
5. 열이 오를 것 같으면 미온수 마사지를 시행한다.
간호 중재
1. 환아의 체온을 2시간에 한번씩 체크하였다.
2. 환아의 38도 이상이 되면 담당 의사에게 notify하고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다
3. 창문을 열거나 병실사람들의 잦은 출입으로 인해 찬공기가 심하게 들어오지 않도록 통제하여 오한을 유발하는 상황을 피하도록 했다.
4. 환아를 되도록이면 따뜻하게 하게 하나 열이 오르고 보채면 미온수 마사지를 해주어 환아의 안위와 열이 오르는 상황을 적절하게 중재하도록 하였다.
간호 평가
상기 환아는 3월 15일 4AM 경부터 fever 38.1 check 되어 local 경우 fever 지속되어 flu 위해 ER 경유하여 adm 된 환아이다.
ER에서 brufen 시럽 복용하고 병동으로 왔을 때에는 열은 떨어진 상태였으나 지속적인 FEVER 변화 관찰을 요구하는 시기였다.
환아의 V/S
3/15 2pm 90/60-124-36-36.4
10pm 37.1 check
3/16 stable 함.
3/17 10am 138-44-37.2
3/18 stable 함.
환아는 고체온으로 입원하였으나, 입원 기간 동안 꾸준한 약물 치료 등으로 인하여 f ever comtrol이 잘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입원 기간동안 처음과 같은 고체온은 관찰 되지 않았고, 퇴원까지 고체온으로 인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일은 우려와 같이 없었다.
환아의 자리가 바로 창문 옆에라서 여러 가지 오한 등의 문제를 걱정하였으나, 어머니와 간호사의 적절한 중재로 주변 환경으로 인하여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첫 번째 간호문제는 잘 수행된 것으로 본다.
진단
번호
발생
날짜
간 호 진 단
#2
3/16
진단명 :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 과학적 근거
설사는 소아에서 매우 중요한 질병이며 개발도상국에서는 아직도 수십만명의 소아가 설사로 인하여 사망하고 있다. 1970년대에는 우리나라도 설사가 입원 환아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환이었다. 지난 수년간 사회 경제적 발전과 이에 따른 환경 위생 및 영양 상태의 호전으로 탈수로 인한 사망률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니 아직도 설사는 소아에서 호힙기 감염 다음으로 흔한 질환이다.
영유아들은 수분 필요량이 상대적으로 askg으며 설사의 이환률이 높다. 따라서 설사의 원인 및 설사를 일으키는 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설사로 인한 탈수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확실한 지식이 필요하다.
(소아과학 개정판, 홍장의, 2004, )
▶ 합리적 근거
“물같이 설사를 해요...”
“자꾸 조금씩 설사를 지리네요.. 설사 않할 수 없나요?”
(-보호자의 말)
-지리는 양상으로 약 11회 설사를 함.
-환아가 매우 힘들어하며 인상을 쓰고 우는 모습이 관찰됨.
목표 : 수화상태가 유지된다
기 대 결 과
간 호 계 획
1. 환아는 탈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1. 불감성 수분손실을 증가시키는 요법들을 감시한다.
2. 충분한 수분섭취를 유지한다.
3. 수화상태를 사정한다.(피부 탄력성, 체온, 체중, 소변비중)
4. 비경구 수액을 조절한다.
5. 고장성액 투여를 금한다.(예 :희석되지 않은 투약)
6. 주변 환경이 건조 하지 않도록 사정한다.
간호 중재
1. 환아의 주변 환경에 수분손실을 증가시키는 요인들을 사정하고 너무 덥거나 너무 춥지 않도록 중재했다.
2. oral intake가 입원 전보다 poor해진 환아의 섭취상태를 파악하고, 모유수유를 하는 환아의 어머니에게 너무 억지로 먹지 말고 자연스럽게 섭취하게 하도록 격려하였다.
3. 수액의 속도를 조절하고 환아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4. 환아에게 자주 가서 피부 상태는 어떤지 사정하고, 체중을 매일 측정하였다.
간호 평가
환아는 처음 입원 했을 때에는 설사의 징후는 보이지 않았었다.
3월15일 입원일에는 정상 변 1번을 보았으나, 3월 16일에는 diarrhea 11회 ->소량씩 지르는 양상으로 한방울씩 대변을 보았다.
3월 17에도 설사의 3번을 보았다.
3월 18일부터 설사가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환아는 r/o sepsis로 입원하여 정확한 원인균은 찾지 못했다.
환아의 상태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싶었으나, 2주차 월요일 evening 근무에 와보니 환아가 퇴원한 상태라 알길이 없어서 케이스 스터디를 하는데 약간 모자란 것이 느껴진다.
하지만, 환아의 설사는 거의 회복되었고, 퇴원할 때까지는 설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적절한 중재가 이루어 진 것으로 보인다.
]
Ⅳ. 결론
이번 소아과 실습을 하면서, 많은 것을 보고 배웠다. 사실 실습을 하면서 이렇게 많이 공부해 본 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일단 소아과에 입원하는 환아들의 병명을 보고 공부하면서 vital sign check하러 가서 그 환아의 특징을 살펴보고 또 다시 공부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무엇보다고 감염의 관리에 대하여 철저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왜냐하면 소아과 병동에는 AGE환아가 입원하여 있는데 그 환아들이 다른 환아들에게 감염을 일으킬수 있기 때문 이었다.
무엇보다도 격리병실에 있는 소아암 환아들을 만나보면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매일 손을 철저하게 씻고 마음이 힘들어져 있는 그 아이들과 이야기하고 라포를 형성하면서 그 아이들에게 조금이라도 손을 내밀며 마음을 만져주고 싶은 마음이 많이 들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는 아쉬운 점이 참 많다.
월요일날 근무를 하러 왔더니 오전에 퇴원해 버려서 충분한 자료를 얻지 못한 것 같다.
하지만, sepsis에 대한 공부와 아이의 징후들을 관찰하고 환아의 어머니와 대화하는 과정에서 얻는 것들이 더 많았던 것 같다.
소아과 실습은 요번이 마지막이지만, 3학년 아동간호학을 또 공부하면서 많이 도움이 될 수있도록 공부했던 것들을 숙지하는 자세가 중요한 것 같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정진하는 자세로 공부하겠다.
추천자료
욕창관리
고빌리루빈혈증-신생아실케이스
교환수혈
간성혼수(Hepatic encephalopathy)문헌고찰 및 간호
[치위생] 구강내 미생물
분만실에서의 자간전증 관련 간호과정 레포트.
중환자실케이스 (DIC, 임신중 급성 지방간, 급성신부전)
[살모넬라][식중독]살모넬라균의 정의, 살모넬라균의 특징, 살모넬라균 식중독의 감염과 전파...
[성병 임질][임질균][성병 임질 잠복기간][성병 임질 증상][성병 임질 합병증][성병 임질 치...
부검 (돌연사, SMDS, SIDS, 사후경과시간)
Gastroenteritis colitis 아동간호학 장염
PPROM(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