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진지한 여가
2. 여가사회에서 자신의 성장을 도모하는 진지한 여가
3. 진지한 여가와 일상적 여가의 차이
4. 생활중심으로 들어온 '진지한 여가'
2. 여가사회에서 자신의 성장을 도모하는 진지한 여가
3. 진지한 여가와 일상적 여가의 차이
4. 생활중심으로 들어온 '진지한 여가'
본문내용
’는 가족여가와의 관계에서 파악돼야 한다. 여가에 몰입하게 돼 전문화의 정도가 높아지게 되면 가족보다는 친구나 동아리 사람들과 함께 여가를 즐길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여가중독은 부정적인 가족관계로 이어질 수 있다. ‘주말과부’라는 말도 이런 현상을 반영한다. 마라톤에 푹 빠진 뉴욕 사람들의 이혼율이 미국 평균 이혼율의 3.5배에 달한다는 연구보고(1988년)도 있다. 우리 사회에도 조만간 전문화된 여가가 여가문화의 한 형태로 자리잡을 것이다. 이런 전문화된 여가를 가족여가로 끌어들이는 시스템을 만들지 않는다면 여가에의 몰입이 가족 간의 이해를 높이고, 가정의 행복지수를 높이기는커녕 가족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다. 우리는 주5일 근무제를 논의할 때 ‘여가 성공’을 전제로 하는 경향이 있다.‘여가 실패’ 케이스도 많다. 여가시간이 늘어난다고 행복이 보장되는 건 아니다. 실제로 1996년 주4일 근무제(주당 28.8시간 근무제)를 실시한 이후 폴크스바겐의 주요 공장이 있는 독일 볼프스부르크시에서 이혼율이 60%나 증가했다. 여가 레퍼토리가 거의 없는 여가 장애자들이 많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전문화된 여가가 늘어난다면 여가의 양극화가 초래돼 여가불평등과 여가갈등만 커질 것이다. 국내에서는 주5일 근무제가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소득에는 어떤 변화를 미치는지에만 초점을 맞춰 일면적 논쟁을 벌이고 있다. 산업사회에서는 ‘호모 파베르’(노동하는 인간)가 전부였다면 21세기는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의 시대다. ‘전문화된 여가’를 연구함으로써 놀이하는 인간에 대해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할 수 있다.
추천자료
노인여가의 개념, 현황, 실태 및 노인여가에 대한 우리나라의 정책을 알아보고 그 문제점과 ...
여가정책의 이론과 계층별 여가복지정책의 발전방향 분석(A+)
[노인 여가생활 활성화 방안] 노인 여가 생활의 특성 및 의의와 필요성 이해, 노인 여가활동 ...
여가정책과 여가복지의 발전방향
여가정책과 여가복지의 발전방향
가족여가의 공유 및 여가시간의 활동 종류
[여가와 문화] 여가문화의 형성, 여가와 하위문화
청소년여가의 현황, 청소년여가 활동의 활성화방안
[장애인복지론] 장애인 여가활동 프로그램에 대하여 조사하여보고, 조사한 여가활동 프로그...
노인여가문화에 대하여 외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서술하고 우리나라 노인여가문화를 발전시킬 ...
[청소년복지] 청소년 여가활동의 실태를 파악한 후 여가활동 활성화방안을 세 가지 제시하시...
소개글